• Title/Summary/Keyword: 재해대응

Search Result 68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Flood Disaster Management for Local Government (지자체 맞춤형 홍수재해관리)

  • Cho, Wan Hee;Park, Jeong Su;Kim, Jong Rae;Shin, Cheol Kyun;Lee, Yong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14-114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촌 곳곳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극한 홍수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2011년 태국에서는 짜오프라야강 범람으로 국토의 70% 이상이 침수되었고, 2013년 인도 북부지역에서는 갠지스강 및 지류의 범람, 산사태, 가옥붕괴 등으로 1,000여명이 숨지고 관광객 및 순례객 7만여명의 발이 묶이는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2014년 발칸반도에서는 120년만의 폭우로 인하여 30여명이 사망하고 10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국내의 경우 2011년 수도권을 중심으로 하루에 300mm가 넘는 기록적 호우가 쏟아지면서 주택과 도로의 침수, 산사태 등으로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2014년 8월 경남 부산지역에는 시간당 130mm가 넘는 국지성 호우에 따른 산사태, 침수 등으로 도심기능이 마비되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자연재난은 태풍 및 집중호우 등 물재해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2012년 전체 자연재난의 95.6%, 2013년 전체 자연재난의 93%를 물재해가 차지하였다. 이에 구조적 비구조적 홍수 재해 저감대책 수립 및 시행 등 지속적인 물관리 노력으로 대하천에서 발생하는 홍수피해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운영 관리되고 있는 중소하천에서의 피해는 오히려 점차 증가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7~2011) 홍수피해의 98% 이상이 중소하천을 중심으로 발생한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특히 지자체의 경우 전문인력 및 기술력 부족, 열악한 재정 등으로 피해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중소하천과 같이 소외된 지역의 물복지 향상을 위해서는 홍수재해 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체계적인 선진 홍수재해 관리체계의 구축이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물관리 전문기관인 K-water에서는 지난 2010년부터 ICT기반의 우수한 물관리 기술력과 홍수대응 Know-How를 활용하여 '지자체 맞춤형 홍수재해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본 시스템은 상 하류의 다양한 재난 정보를 수집 통합하고, 수집된 정보를 활용한 홍수분석을 통해 예방적 재난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K-water는 지난 2010년 남원시를 시작으로 무주군, 군산시, 진안군 등의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재난은 복구보다 예방이 우선되어야 함은 모두 다 아는 사실이지만 예산문제 등으로 항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아직까지 반복되고 있다. K-water는 물관리 전문 공기업으로써의 역할을 다하고, 예방 위주의 재난관리 체계 마련을 위해 '지자체 맞춤형 홍수재해관리시스템' 구축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다.

  • PDF

Study of Patents Trend Regarding Technology of Reaction for Sediment Disaster (토사재해 대응기술 분야의 특허동향 분석 연구)

  • Suk, Jae-Wook;Kim, Yong-Soo;Lee, Jong-Gun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2 no.4
    • /
    • pp.123-131
    • /
    • 2013
  • The patents trends registered in korea, the USA, Japan and Europe were analyzed to forecast the direction of R&D for the technology of sediment disaster. As a result of portfolio analysis, the number of patents in Korea have continued to rise, but have been placed behind the other countries. The level of technology of each country was investigated. In the survey technology and sensing technology, the Korean and USA situations were classified as a period of growth, and the Japanese situation was classified as a period of decline. In the control technology and protection technology, Korean situation was classified as a period of growth, and the Japanese situation was classified as a period of decline. As a result of analysis for a direction of R&D using blank technologies, standardization of analysis technologies for mechanism, fusion techniques between ICT and conventional techniques, development of eco-friendly materials and evaluation of structure should be developed by R&D in Korea.

A Study on the Optimum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to Establish the Early Counter System on the Industrial Accidents (산업체재난 조기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최적 재해경감활동 방안 연구)

  • Lee, Keun-Jae;Yoon, Myong-O;Lee, Won-H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2
    • /
    • pp.9-20
    • /
    • 2010
  • This study indicates direction on establishment of the operational plan for disaster mitigation and its implementation for maintaining business continuity of the local company of the first step, and seeks plans for maintaining their continu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arly counter system constructed for achieving lasting safe at the any disaster. For achieving it, we investigated the standard of disaster management selected by the government called "Incident Preparedness and Operational Continuity Plan" Guideline, and investigated a guideline to be easily applied to domestic companies. And, we also studied on how to build the operational plan of disaster mitigation and apply IT techniques to A corporation. Especially, this study indicates the models of establishment of risk assessment, impact analysis, prevention and mitigation plan, response management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plan among 5 main steps on "Incident Preparedness and Operational Continuity Management" Guideline. We devised the plan to activate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throughout the country. It shows the skills to be prepared to upgrade the level of disaster response in this study.

Making flood forecast map for coastal city : Yeosu city (연안지역에 위치한 도시의 침수예상도 작성 : 여수시를 대상으로)

  • Park, Kyu Jin;Han, Jin Gu;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89-289
    • /
    • 2019
  • 연안지역의 침수예상도 작성은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 시 진행되었으며.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통해 상습적으로 침수가 발생하는 구역에 대한 조사 결과 및 침수피해 이력 등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 발생 원인을 하천, 강 등의 범람에 의한 외수침수, 유역 내 관로의 문제에 의해 발생하는 내수침수, 조위 상승, 해수의 역류 등에 의한 해수침수로 구분하였다. 대상 지역인 여수시 여수시청 인근 지역은 남해와 인접하고 있어 조위에 의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역 내 관로와 함께 해수 내수 복합원인에 의한 침수피해가 발생한다. 침수가 발생했을 때의 피해 발생 범위를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며, 이는 XP-SWMM을 통해 작성할 수 있다. XP-SWMM에 입력하는 자료는 강우재현기간에 따른 조위(해일고), 강우지속기간에 따른 강우분포 자료 등을 입력한다. 강우자료는 실강우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 많은 시나리오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Huff 3분위 분포시킨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침수가 발생하는 지역의 강우지속시간 및 강우량에 의한 침수위를 산정하여 재해상황 대응 기준표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재현기간 100년에 따른 재해상황 대응 기준표 작성과 강우재현기간 10년-강우지속기간 60분-50mm, 110mm을 기준으로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수시청 인근(학동지구 및 도원지구)에 대한 침수예상도를 얻어낼 수 있으며, 침수예상도를 응용한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침수예상도를 통해 침수 발생 범위를 예측하여 이를 고려한 침수 시 대피경로 작성, 침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구조적 대책 수립 방안마련 등에 응용이 가능하며, 여수지역을 제외한 연안도시 지역에도 적용하여 연안도시 침수특성분석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모의 조건을 한정하여 1개의 시나리오만을 고려했지만, 강우재현기간 및 강우지속시간 등을 보정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므로, 연안도시 재해 발생 시 대응 및 기준표 작성에 실질적인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Cooling Center Manual of Facility and Maintenance for Extreme Heat Disaster (폭염재난에 대응하는 Cooling Center 시설 및 운영기준에 관한 연구)

  • Kim, Jin-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4
    • /
    • pp.17-22
    • /
    • 2008
  • Including heat wave, Climate change caused 150,000 casualty in 2000 and heat waves are meteorological events that pose a serious threat to human health. A heat wave is defined as "a period of abnormally and uncomfortably hot and usually humid weather". There is a need for the prevention of health effects due to weather and climate extremes.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the necessity of Response System to correspond to extreme heat. And this research focused on Cooling Center manual of facility and maintenance for extreme heat disaster. It would be useful to be planned based on community and to be taken a role as an E.O.C.(Emergency Operating Center). As a conclusion elderly watching system and the requirements regional cooling center facility was proposed.

Safety management service using voice chatbot for risks response of field workers (현장 작업자 위험대응을 위한 음성챗봇을 이용한 안전관리 서비스)

  • Yun-Hee Kang;Chang-Su Park;Yong-Hak Lee;Dong-Ho Kim;Eui-Gu Kim;Myung-Ju Kang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v.11 no.6
    • /
    • pp.79-88
    • /
    • 2023
  • Recently, industrial accidents have continued to increase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worker safety management is recognized as essential to reduce losses due to hazardous factors at work places. To manage the safety of workers, it is required to apply customized safety managemen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sites, and a service for real-time risk detection and response to workers depending on the situation based on safety accident types and risk analysis for each task and process. The proposed safety management service consists of worker devices to acquire sensor data, edge devices to collect from IoT-based sensors, and a voice chatbot to support workers' disaster response. The voice chatbot plays a major role in interacting with workers at disaster sites to respond to risks. This paper focuses on real-time risk response using an IoT-based system and voice chatbot on a server for work safety according to the worker's situation. A Scenario-based voice chatbot is used to process responses at the edge level to provide safety management services.

  • PDF

Proposal of Improved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Satellite Imagery for Disaster Management (재난관리분야 위성영상 활용성 및 적용성에 관한 제언)

  • Cho, Myeong Heum;Park, Young Jin;Kim, Kye Hy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64-64
    • /
    • 2011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구제역, 화산, 지진재해 등 장기적이고 광역적인 재해 재난의 심각성을 반영하는 듯 다양한 기술개발과 재난관리 적용성에 관한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그 가운데 인공위성에 대한 가치와 활용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로 신속한 재난대응 및 광역적 피해지역에 대한 조기분석 등에 관한 다양한 지원체계구축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재해 재난에 대한 인공위성의 활용성 및 실무적 대안마련에 대한 검토가 시작되고 있으며, 특히 재해시 영상의 확보 및 분석과 의사결정지원 등 재난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정부부처의 활용방안 마련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재난총괄기관인 소방방재청은 국립방재연구소에 방재영상분석팀을 신설하였다. 2010년 1월 HAITI 지진피해, 2010년 12월 삼척 산불모니터링, 2011년 1월 포항 폭설피해 등의 재해 재난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위성영상 분석기술은 국외기관과 비슷한 실정이나, 본질적으로는 영상촬영 및 수급문제 해소에 있다고 하겠다. 현재, 지구관측센터(KEOC) 및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도 이와 같은 수급체계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은 재난관리업무 담당자로서 고무적이고 개선에 대한 희망이 밝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재난관리업무에 있어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선제적이고 과학적인 재난관리기법이 개발되고 방재분야의 위성영상활용의 위상이 높게 제고 되었으면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공위성들을 대상으로, 시 공간 해상도별 분포도를 작성하여 인공위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소방방재청에서 2010년 10월에 가입한 국제재해관리를 위한 위성영상활용 협력기구인 International Charter에서 재해 재난관련 위성영상 분석 및 현황을 조사하여 재난유형별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위성영상을 통한 재난관리 분야에 적합한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또한, 재해발생지역에 대한 신속한 위성영상의 확보와 정량적 피해규모 파악에 따른 응급 복구지원이 가능한 대응전략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PDF

Disaster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Older People in Gangwon Province: A Comparison of Elderly Men and Women (강원도 노인의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연구 -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비교 -)

  • Chung, Soon-Dool;Ki, Jee-H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1
    • /
    • pp.57-62
    • /
    • 2008
  •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elderly people's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flood disasters in Gangwon province, which is mainly devastated by flood disasters, and seeking to the coping strategy against vulnerability of disaster between elderly men and women. A total of 183 elderly people aged 60 and over who were directly or indirectly damaged by flood disasters of 2006 in Pyung-chang and In-je in G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disaster experiences between elderly men and women,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ption of disaster among them. Although elderly women a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 possibility of secondary flood disasters than elderly men, elderly women are less knowledgeable than elderly men in disaster attacks and they have appeared to have low coping skills. This study showed that elderly women were more likely to live alone than elderly men and they have low income comparing to the elderly men. In conclusion, elderly women should be considered as a most vulnerable group to the disaster and gender-based approach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in disaster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