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대응

Search Result 67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Efficient ICT Devices Utilization Method using Disaster Security Communication Network (재난안전통신망을 이용한 효율적인 ICT 기기 활용 방안)

  • Hong, Sung-Hwa;Lee, Seong-Rea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474-476
    • /
    • 2018
  • Natural disasters destroy decades of human effort and investments, thereby placing new demands on society for re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 In most case, the natural phenomena triggering the disasters are beyond human contro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at the information resources can not be shared among disaster management sectors and their work is hard to be coordinated in city, an idea of application of ubiquitous sense network and ICT technology to model the architecture of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 PDF

대규모 지진 등 재난재해 발생시 선박활용 방안

  • Jang, Un-Jae;Kim, Mye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258-260
    • /
    • 2013
  • 이 연구는 대규모 지진 등 재해재난 발생시 선박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 신안 등에서 진도 4.9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한반도도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될 수는 없다. 대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 도로교통 등이 마비되었을시 긴급을 요하는 환자의 후송 및 대피시설에 대한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실제 지난 한신아와지 대지진시 선박을 이용하여 이러한 조치들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도로교통 마비시 선박을 현장지휘를 위한 지휘선(실습선), 병원선 및 카페리선(피난선)을 활용한다면 보다 적극적인 위기대응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Operation of Business Buildings (업무용빌딩 운영 시 적용되는 안전 관련 법령에 대한 연구)

  • Kim, Soo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83-18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업무용빌딩 운영 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동안은 산업안전보건법 중심의 안전관리를 시행하여 왔으나 중대재해처벌법에서는 사업주와 경영책임자에게 안전8보건 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이행의 관리상 조치를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업무용 빌딩에 적용되는 관련 법령를 조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빌딩내 시설물·설비 현황을 먼저 파악하였고 각 시설 및 설비별로 적용되는 안전 관련 법령을 확인하여 법령에서 정하는 의무이행 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Guidebook to Support Victim's Life Recovery and Improvement of Domestic Earthquake Damage Recovery through Earthquake Damage Cases in Korea and Japan (국내외 지진피해 사례를 통한 국내 지진피해 복구 상의 개선방안과 피해자 생활복구 지원 가이드북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Su-Ran;Kim, Hye-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
    • /
    • pp.470-484
    • /
    • 2020
  • An earthquake of magnitude 5.4 occurred on November 15, 2017 in Pohang, which caused the damage to buildings and facilities. The earthquake displaced more than 1,700 people. After the Pohang Earthquake, immediate emergency, such as the damage survey and running of shelters have been executed appropriately. However there have been issues with subsequent restoration measures, such as the provision of temporary housing and delivery of natural disaster allowance. As there was inadequate government advertisement about the natural disaster allowance, victims of the earthquake could not receive tangible help. In Japan on the other hand where earthquakes are frequent, post-earthquake restoration protocols are planned well in advance. For example, Japanese earthquake victims are provided with a guidebook outlining different types of government aids available for them so that they can rapidly access government aid. In this study, we refer to the case of Pohang earthquake to analyse the problems in the national earthquake restoration plans and propose how they can be improved by comparing it to Japanese post-earthquake case and a Korean equivalent should be developed, to aid Korean earthquake victims to return to their every life as soon as possible.

A Comparative Study on Flood Control Policy among Countries (국가별 치수정책의 비교연구)

  • Kim, Sang-Mun;Lee, Woong-Hee;Choi, Heung-Sik;Lee, Sa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34-1738
    • /
    • 2009
  • 최근 지구의 온난화 및 급격한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수해를 촉진 시키며, 이와 같은 기상변화에 따른 우리의 치수 제도는 해마다 증가하는 재해에 대하여 발 빠른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일본, 유럽의 홍수 특성을 파악한 후 이에 대한 홍수대응 기본방침, 구조적 대책 및 비구조적 대책의 연관성을 고려한 홍수피해 대책, 치수종합계획, 극한홍수 및 이상홍수의 대응 방안 등을 우리나라의 현 치수관련 제도 및 홍수 피해 대책 등과 비교 분석 하였다. 우리나라의 치수 제도는 기본적으로 하천등급 위주의 홍수방어에서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방어대책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또한 예방, 대비, 대응, 복구의 4단계의 Feedback System이 상호 보완적 이지 못하며, 하천에 대한 계획 수립 및 관리를 중소 유역별 치수 정책에서 국가 차원의 통합치수 정책으로 확장성 있는 치수 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Forest Fire Response (산불대응을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을 위한 방안)

  • Deok-Jin Kim;Min-Ji Seo;Kwang-Yo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612-614
    • /
    • 2023
  • 대규모 산불로 인한 재해가 최근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과 대응이 중요해지고 있다. 기존 산불 화재 예방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기술 적용이 있어 왔다. 그러나 예방과 대응에 한계가 있어 필요성과 기존 사례연구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산불대응 재난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안을 7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향후 제안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해 지속적인 다양한 연구와 데이터 수집과 분석 등 기술적인 연구와 함께 법과 제도에 대한 개선 논의도 필요하다.

A Study on the Establish and Operating Plan of Reserve Components Emergency Response Forces (재난상황 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 창설 및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 Seo, SeungB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1
    • /
    • pp.9-16
    • /
    • 2018
  • In the event of a disaster, we need people who specialize in rapid regional disaster recovery. However, in the present disaster response system, disaster relief is carried out at the level of public support, volunteer service, etc.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initial response due to lack of expertise, delays in disaster recovery, and inadequate response to disas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unit with early ability to respond to local governments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expertise to enable rapid disaster recovery. Therefore, this study limited the preparation of the reserve forces emergency response units for the direction of local security, disaster relief and disaster relief through emergency disaster recovery under the disaster situation.

Development of Electronic Documents and Management System for Transfer of Disaster Damage and Recovery Information (재난피해복구정보 전자문서 및 관리시스템 개발)

  • Yoon, Hyuk-Jin;Kim, Joo-Sung;Park, Jung-Jun;Chang, Tai-Wo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2
    • /
    • pp.15-26
    • /
    • 2015
  • To prevent the spread of damage, initial reaction and emergency repair are important. But up to now they depend on some guidelines and man power owing to the lack of technical support. In this paper, we describ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several electronic documents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m to rapidly acquire and share damage information of the infrastructure. The damage information, which is acquired by the computer and smart phone, is transformed to the electronic documents and connected to data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damage information acquisition network. These systems could readily be used for preparing a countermeasure of the disaster and disaster recovery.

Study on Corresponding Water Level to Inundation of Ungaged Point using 1D Hydraulic Analysis Mode (1차원 수리해석을 통한 미계측 지점 침수대응수위 검토 연구)

  • Kim, Tae Hyung;Kim, Keuk Soo;Kwak, Jae Won;Ro, Young Sin;Park, Yong 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8-338
    • /
    • 2017
  • 하천기본계획, 생태하천 복원사업, 또는 하천재해예방 사업 등에 의해 수행되는 하천정비사업은 홍수재해예방, 생태하천 복구 등 여러 목적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이루어지는 하천정비사업은 공원, 캠핑장, 주차장 등 시민들에게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친수공간으로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구역 내의 친수공간 조성은 홍수주의보 및 홍수경보에 대응하는 유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함으로써 중소규모의 유량에 대한 홍수위험도도 함께 증가시켰다. 친수공간 및 교량하부도로 등 저수위에 대한 홍수취약구간의 홍수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위험지점의 수위관측을 통해 위험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홍수피해에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하지만, 예산과 인력 등의 문제로 인해 모든 지점에 대해 수위관측을 실시하여 홍수예보시스템에 의해 홍수예측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친수공간에서의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친수공간의 지형정보가 인근의 홍수예보지점 또는 수위관측소 지점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수위관측 및 홍수정보를 이용하여 하천구역내 위치한 친수공간에 대한 침수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원거리에 위치한 수위관측소의 수위 및 유량 정보를 활용하여 수위관측이 이루어지 않는 지점의 침수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낙동강 하류부에 대해 제시한 방법론에 의해 목표로 하는 친수공간에 대한 유량별 수위에 대한 침수도표를 작성하였다. 본 방법론과 이에 의해 작성된 친수공간의 침수도표는 취약구간에 대한 각 수위별 침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sign of Agricultural Drought Impact Assessment Platform Based on WEF(Water-Energy-Food) Nexus (WEF(물-에너지-식량) 넥서스 기반 농업 가뭄 영향 평가를 위한 플랫폼 설계)

  • Na, Ra;Joo, Donghyuk;Kim, Hayoung;Yoo, Seung-Hwan;Choi, Gyuhoon;Oh, Bu-Yeong;Hur,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2-292
    • /
    • 2022
  • 가뭄은 사회기반시설, 인적 자본 등과 같은 자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물을 중요한 투입재로 사용하는 농업부문에 피해가 집중된다. 가뭄 재해는 준비와 대응에 따라 피해에 큰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다른 재해와는 달리 강도뿐만 아니라 지속기간을 고려해야 한다. 효과적인 가뭄 위험 관리를 위해서는 가뭄의 특징과 가뭄 준비 및 대응 수단에 따른 환경 및 경제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 구축과 다양한 농업자원을 동시적으로 연계 평가하여 지속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등의 외부요인을 반영한 물-에너지-식량 (Water-Energy-Food, WEF) 넥서스 기반 농업 가뭄 평가 플랫폼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연계 해석 고도화 기술을 개발하고, 생물-물리학적 모델 및 경제학적 모델 연계형 기후-토양-물-에너지-식량 넥서스 (CS-WEF NEXUS) 플랫폼을 구축하여, 최종적으로 기후변화 및 농업부문 가뭄 준비 및 대응 수단의 영향 평가를 바탕으로 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제시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플랫폼은 넥서스 연계 해석을 통해 농업 가뭄 대응을 위한 식량 및 에너지 안보 정책에도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식량-물-에너지 정책들이 타 요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쉽게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으로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