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정계획

Search Result 26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제한된 유휴시간을 고려한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재정돈 컨테이너 선택 방안

  • Kim, Ji-Eun;Park, Gi-Yeok;Park, Tae-Jin;Ryu, Gw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177-178
    • /
    • 2009
  •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치장 재정돈이란 장치장의 컨테이너를 장치장 크레인의 유휴 시간을 이용해 적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위치로 재배치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때 재정돈에 사용한 수 있는 크레인의 유휴시간이 제한적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전체 컨테이너 중 일부를 재정돈 대상 컨테이너로 선택하여 재정돈 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재정돈 컨테이너 선택 시 사용된 선택 기준과 한 번에 선택하는 컨테이너의 범위에 따라 네 가지 재정돈 대상 컨테이너 선택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선택된 재정돈 컨테이너를 대상으로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이용해 크레인의 작업 계획을 수립하였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 결과 유휴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재정돈 대상 컨테이너를 선택 후 재정돈 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이 전체 컨테이너를 대상으로 재정돈 계획을 수립 후 주어진 유휴시간 동안 해당 계획에 따라 재정돈을 수행하는 방안보다 더 좋은 적하 작업 효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사학연금 재정계산제도 개선방향

  • Kim, Byeong-Ryul;Kim, Jae-Gyeong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1
    • /
    • pp.189-241
    • /
    • 2016
  • 1991년 사학연금제도에 재정계산제도가 도입되었으나 법적 근거만이 존재할 뿐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시행주체 및 절차, 재정계산의 역할과 범위 등 주요 내용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결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기별로 재정계산 추진방법이 다소 상이한 측면이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사학연금 재정계산 실시의 일관성(coherency)과 신뢰성(credibility) 확보에 어려움이 노정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학연금 재정계산 시행현황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국내·외 공적연금의 재정계산제도 시행사례를 비교·분석함과 동시에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사학연금 재정계산제도의 향후 정책과제 및 개선 기본방향을 ①재정평가 및 재정계획 체계, ②재정계산 실시내용, ③재정계산보고서, ④담당주체 및 보고절차, ⑤재정계산 법적 근거 등을 위주로 하여 정책제언(政策提言)하였다. 이 글이 사학연금의 발전적인 재정계산 정책수립에 이바지하고 나아가서는 우리나라 공적연금의 지속가능한 재정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적하작업 효율 향상을 위한 블록 내 재정돈 계획 수립 방안

  • Kim, Min-Jeong;Park, Gi-Yeok;Park, Tae-Jin;Ryu, Gw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357-364
    • /
    • 2007
  • 장치장 재정돈이란 장치장 크레인의 유휴시간을 활용하여 최대의 효율로 적하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장치장의 컨테이너들을 미리 재배치하는 작업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직 배치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치장을 대상으로 블록 내 재정돈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장치장 재정돈 작업 계획을 목표 장치형태 결정 및 크레인 작업 계획의 2단계로 나누어 수립한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정돈을 수행하기 전과 후의 장치장에 대해 적하 작업 효율을 비교한 결과 재정돈 후 안벽 크레인의 대기 시간이 감소하고, 장치장의 재취급 작업 수가 줄어드는 등 적하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Cooperative Coevolutionary Algorithm for Optimizing Remarshaling Plan in an Automated Stacking Yard (자동화 장치장의 재정돈 계획 최적화를 위한 협력적 공진화 알고리즘)

  • Park, Ki-Yeok;Park, Tae-Jin;Ryu, Kwang-꾜디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3 no.6
    • /
    • pp.443-450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optimizing a remarshaling plan in an automated stacking yard using a cooperative coevolutionary algorithm (CCEA). Remarshaling is the preparation task of rearranging the containers in such a way that the delay are minimized at the time of loading. A plan for remarshaling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steps: first determining the target slots to which the individual containers are to be moved and then determining the order of movement of those containers. Where a given problem can be decomposed into some subproblems, CCEA efficiently searches subproblems for a solution. In our CCEA, the remarshaling problem is decomposed into two subproblems: one is the subproblem of determining the target slots and the other is that of determining the movement priority. Simulation experiments show that our CCEA derives a plan which is better in the efficiency of both loading and remarshaling compared to other methods which are not based on the idea of problem decomposition.

Container Selecting Methods for Remarshaling Considering Restricted Idle Time of Crane in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제한된 유휴시간을 고려한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재정돈 컨테이너 선택 방안)

  • Kim, Ji-Eun;Park, Ki-Yeok;Park, Tae-Jin;Ryu, Kwang-Rye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3 no.10
    • /
    • pp.715-722
    • /
    • 2009
  • I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the remarshaling is the task of rearranging containers for the effective exporting operations. Since available time for the remarshaling is usually restricted, all containers cannot be remarshale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hat selects some containers from all export containers and then establishes the remarshaling plan with only the selected containers.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simulation system shows that our proposal planning method that plans after selecting remarshaling containers is better than plans with all loading containers and remarshals during the available time.

Searching for an Intra-block Remarshalling Plan for Multiple Transfer Cranes (복수 트랜스퍼 크레인을 활용하는 블록 내 재정돈 계획 탐색)

  • Oh Myung-Seob;Kang Jae-Ho;Ryu Kwang-Ryel;Kim Kap-Hwa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3 no.7
    • /
    • pp.624-635
    • /
    • 2006
  • This paper applies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to the problem of generating a plan for intra-block remarshalling with multiple transfer cranes. Intra-block remarshalling refers to the task of rearranging containers scattered around within a block into certain designated target areas of the block so that they can be efficiently loaded onto a ship. In generating a remarshalling plan, the predetermined container loading sequence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to avoid re-handlings that may delay the loading operations. In addition, the required time for the remarshalling operation itself should be minimized. A candidate solution in our search space specifies target locations of the containers to be rearranged. A candidate solution is evaluated by deriving a container moving plan and estimating the time needed to execute the plan using two cranes with minimum interference. Simulation experiments have shown that our method can generate efficient remarshalling plans in various situations.

Remarshalling Plan Using Neighboring Bay in Container Terminal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이웃 베이를 활용한 컨테이너 재정돈 계획)

  • Park, Young-Kyu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0 no.3
    • /
    • pp.113-120
    • /
    • 2016
  • If there are containers stacked upon the container to be fetched out of a container yard to vessel, rehandling which moves those containers to other places temporarily is needed. In order to avoid such rehandling, remarshalling which rearranges containers should be done before the vessel arrives. The remarshalling plan is commonly generated within a bay. It happens, however, that the generation of the intra-bay remarshalling plan within the permitted time is not possible because of bad stacking conditions. This paper presents the remarshalling algorithm which uses the empty slots of the neighboring bay as a temporary storage space. Simulation experiments have shown that the presented algorithm can generate the remarshalling plan within the permitted time under any staking condition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rust" Operational Scheme for Income Security and Asset Managemen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ulthood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소득보장과 재산관리를 위한 「신탁」 운영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Kim, Seong-Cheon;Kang, Ji-Hyun
    • 재활복지
    • /
    • v.21 no.2
    • /
    • pp.29-6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ain operational scheme of the "financial planning" and "the trus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means of property protecting and managing for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garding to "Financial plann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asure to meet the financial need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future plan; Issues to be taken care of in the point of financial planning include plan for the maintenance and use of property for their independent life; and public and private resources and support for the disabled. Obstacles are lack of national awareness of the financial planning for the disabled.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the "trus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rinciples of operation are assuring universality, publicness, stability, self-decision making, and individuality; operating system is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subjects of target ar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no parents or caring family as well as income. The required support is a supervisory system for the secure management of asset to entrusted institutions; th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intaining the qualification of government receipt of public assistance for those who do not redeem up to a certain amount of personal property utilizing the trust system.

Water Management Financing in Korea and S. Africa (물관리 재정의 평가: 한국-남아공)

  • Park, Doo-Ho;Ryu, M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86-590
    • /
    • 2010
  • 정부가 생각하는 중요한 정책방향은 두 가지를 보면 알 수 있다. 바로 예산과 인력이다.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곳에 정부는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게 마련이다. 따라서 국가의 재정운용에 대한 평가를 해보면 어떤 것이 중요한 것인지에 대한 가치판단을 할 수 있다. 국가의 물관리 예산도 마찬가지이다. 국민소득과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물관리예산은 국가별로 차이가 난다. 그러나 경제발전단계가 높을수록 높은 관리예산이 투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연 우리나라의 물관리예산은 적정한 것일까? 그러나 우리나라의 물관리는 여러 부처에 분산되어 있고 하천의 관리도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이 질문에 답을 하기가 어렵다. 엄밀히 말하면 우리나라의 물관리예산이 연간 모두 얼마인지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 결국 적정한 수준인지를 평가할 수도 없다. 홍수방어와 용수공급이라는 시급성으로 인해 공공투자의 성격이 강했기 때문에 굳이 평가가 필요 없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물관리가 과거와는 달리 복잡해졌고 따라서 물관리를 위한 정부의 재정계획과 집행 역시 여기에 맞게 보다 세심해져야 한다. 이제까지의 물관리예산이 사회적인 인프라를 건설하는데 주력했었다면 이제는 거버넌스와 생태계관리는 물론 물순환 전체를 위한 다양한 정책에 국가 재정이 투입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의사결정은 현재 재정계획과 투입입의 적정성과 타당성이 먼저 평가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OECD내 다른 국가들의 물관리예산과 우리나라의 물관리예산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물관리예산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특히 합리적인 재정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의 비교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의 과제가 무엇인지 검토하고자 한다.

  • PDF

장치장에서 베이 내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재정돈 방안

  • 강재호;류광렬;김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87-295
    • /
    • 2004
  • 컨테이너 터미널의 적하 작업은 사전에 계획된 순서대로 컨테이너를 장치장(yard)에서 하나씩 반출하여 선박에 선적하는 작업이다. 만일 현재 반출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의 상단에 다른 컨테이너들이 장치되어 있다면, 부득이하게 위에 놓여 있는 컨테이너들을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는 재취급(rehandling)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반출 작업은 지연된다. 본 논문에서는 적하 계획이 수립되어 장치장의 한 베이(bay)내 컨테이너들의 반출 순서가 결정되었을 때, 반출 시작 시점까지 남는 유휴 시간을 활용하여 재취급이 발생하지 않도록 컨테이너들을 재정돈(이적, 리마샬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제안 방안은 분지 한계법(branch and bound)을 적용하여 컨테이너 이동 계획을 탐색하며, 생성된 해는 최소의 컨테이너 이동 횟수가 보장된다. 4 단 6 열과 5 단 9 열의 장치장 구조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99% 이상의 상황에서 허용할 수 있는 시간 내에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