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자원화기술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pplication of Smart Water Grid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Power Generation Industry (발전산업 연계 스마트워터그리드 물순환 시스템의 적용방안)

  • Jang, Dong Woo;Choi, Gye Woon;Park, Hyo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73-373
    • /
    • 2018
  • 화력발전소, 석유화학공단 등 대규모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탄소자원화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전략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자원화 기술은 아직 상용화 단계이지만 최근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의무로 인하여 탄소자원화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발생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는 응축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수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응축된 물의 최적 활용과 사용처 지향적 효율적 물순환을 위한 시설 내 스마트 워터 그리드(SWG) 개념의 물분배 시스템은 발전 산업 내에 탄소자원화의 핵심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 SWG는 시설 내 용수공급 관리에서의 관망 운영, 물 수요 관리 등 ICT를 활용한 종합적인 물 분배 시스템으로, 본 연구에서는 SWG 물순환 시스템의 국내외 기술조사를 통해 발전 산업 시설 내에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물의 재이용 시스템을 포함한 SWG 기술, 지능형 관망 운영 기법 기술, 실시간 수질 감시 체계 기술 연구를 기반으로, ICT 기반 용수공급 정보 관리 기술과 수운영 모니터링 기술을 통하여 SWG가 발전 산업 연계 기술로써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SWG 시스템을 적용한 산업 인프라를 통하여 산업적 파급 효과를 높이고, 이를 활용한 인력과 비용 절감이 기대되며, 저에너지,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력과 글로벌 물 시장진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echnological Progress and Issues on the Recycling of Urban Mine Resources - Comparison of Korea with Japan - (도시광산(都市鑛山) 재자원화기술(再資源化技術)의 진보(進步)와 과제(課題) - 일본(日本)과 한국(韓國)의 비교(比較) -)

  • Oh, Jae-Hyun;Kim, Joon-Soo;Moon, Suk-Min;Min, Ji-Won
    • Resources Recycling
    • /
    • v.21 no.2
    • /
    • pp.17-33
    • /
    • 2012
  • In order to review the recent technological progress and issues on the urban mine resources recycling in Japan and Korea, recycling process of the ELV(End of Life Vehicles) and E-waste(WEEE) were studied. Although technological level for processing of the ELV and E-waste is almost similar in both countries, the treatment of hazadous materials of ELV such as freon, air bag and ASR is unsufficient in Korea. In the E-waste recycling, the technological level is deep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nterprise size in Korea. Finally, the big R&D project on recycling of urban mine resources sponsored by government in both countries were discussed.

Technological Modules for the Recycling of Urban Mines and Non-Ferrous Smelting Processes in Korea (도시광산(都市鑛山) 재자원화(再資源化)기술의 모듈과 한국(韓國)의 비철제련(非鐵製鍊) 프로세스)

  • Oh, Jae-Hyun;Kim, Joon-Soo;Moon, Suk-Min;Min, Ji-Won
    • Resources Recycling
    • /
    • v.21 no.1
    • /
    • pp.3-16
    • /
    • 2012
  • In order to review the technological modulus of the recycling of urban mine resources and non-ferrous smelting process in Korea, key point of recycling process, physical separation, non-ferrous smelting process, unit operation for the recycling technology, recycling process of LS-Nikko Copper and Korea Zinc were studied. Finally, metal recycling processes of the typical non-ferrous smelters in Japan such sa DOWA Holdings and JX Holding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LS-Nikko Copper and Korea Zinc.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처리기술에 대한 정책방향

  • Yu, Su-Hyeon;Baek, Sun-Gi;Jo, Gi-An;Cheon, Yeong-Hun;Lee, J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82-384
    • /
    • 2006
  • 우리나라의 경우 고유의 음식문화 특성상 수분과 염분이 많아 음식물쓰레기를 단순히 매립이나 소각처리, 재활용으로 매립에 의한 최종 처분의 경우 음식물쓰레기의 높은 수분함량과 높은 염분 그리고, 비교적 분해 되기 쉬운 부패성물질로 구성되어 자원화에 어려움이 많다. 현재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처리 시스템은 모든 음식물쓰레기를 한곳으로 모아 처리하는 집중처리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자원화가 재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므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의 자본 출원으로 단일처리방식이 아닌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성상과 특징을 고려하여 사료화, 퇴비화, 에너지화, 하수처리 병합등 분산처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생산품의 다양성 및 안정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시 고형폐기물의 열분해용융 특성

  • 이협희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1 no.9
    • /
    • pp.16-23
    • /
    • 2002
  • 현재 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부터 도시폐기물 소각시설을 설치하기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20 여곳의 대형 소각장이 가동되고 있으며 대기오염 방지 기술도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불과 10 여년 동안에 선진국 수준의 대기오염 배출기준을 만족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을 정도로 되었다. 그러나 소각후 발생 하는 소각재의 경우 비산재는 고형화등의 처리 후 매립하고 바닥재는 별도 처리없이 매립하는 실정이어서 매립 후 시간이 흐를수록 매립된 소각재에서 용출되는 다이옥신과 소각재 중에 포함된 중금속 등에 의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의 우려가 남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소각후 남는 소각재는 폐기물량의 약 15 %, 비산재는 약 1.5 %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볼 때 매립은, 특히 다음 세대에 유산으로 남겨진다는 점에서 더 이상 적절하지 않은 해결책으로 생각되며 유럽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이와 같은 소각재에 대한 무해화 처리기술이 개발되고 속속 상용화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하루빨리 열분해용융시설등 신기술을 개발하거나 도입하여 세계적 환경 기술경쟁 에서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함은 물론 청정한 국토를 후손에게 물려줄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이 강구되어 야 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폐기물 처리기술의 세계 적 동향을 살펴보고 폐기물의 완전 자원화에 성공한 대우 써모셀렉트 열분해용융 기술의 특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Resources of Polymer Wastes produced from Electrical Industry (전력산업분야에서 배출되는 폴리머 절연 폐기물의 자원화)

  • Chun, Sung-Nam;Park, Chul-Bae;Chu, Cheol-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9a
    • /
    • pp.58-60
    • /
    • 2008
  •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을 소비자까지 수송하는 송변전변 및 배전설비를 주 대상으로 하는 전력계통 설비의 운영에는 전력의 수송과 이를 위해 설치되는 각종 기자재로부터 인체 및 재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절연재를 사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력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절연재는 자기재(porcelain)가 주종을 이루어 왔으나 재료기술의 발달과 함께 폴리머 절연재료들이 속속 개발되면서 자기재에 비해 가격 및 시공성 등에서 이점이 많은 폴리머 절연재가 자기재를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머 절연재료는 기들의 재질 및 사용 환경 등에 따라 일정 수명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수명종기에 이르면 폐기물로 배출되게 된다. 전력산업 중 배전분야에서는 2007년 구매한 기자재를 기준으로 연간 13만연 톤의 전력폐기물이 발생될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들은 PE, XLPE, FRP, PVC, EPDM, Silicone 등 유기성분이 약 40%, Cu, Al, 철 등 금속과 무기성분이 약 60%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전선 및 케이블류를 제외한 기자재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유기성분의 함량이 90%에 이르며 이들은 석유화학공업의 원료로부터 만들어지는 특성상 높은 에너지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이들을 적정하게 처리하는 방안의 확보는 폐기물의 처리 외에 폐기물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여 자원화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진다.

  • PDF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Refuse Derived Fuel Gasifier with Syngas Recycle (고형연료 가스화에 의해 생산된 합성가스의 재순환에 따른 가스화기 운전 특성)

  • Lee, Do-Yeon;Gu, Jea-Hoi;Jung, Woo-Hyun;Park, Jong-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825-828
    • /
    • 2009
  • 고형원료인 폐기물의 감량화 및 자원화 기술 중 가장 대표적인 기술로 폐기물의 소각(incineration)기술과 가스화(gasification)용융기술을 들 수 있다. 폐기물 가스화 기술은 폐기물 내의 탄소, 수소 성분을 가스화하여 CO, $H_2$가 주성분인 합성가스(synthesis gas, syngas)로 전환하여 불연물은 용융되어 환경적으로 무해한 슬래그로 회수하는 기술이다.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으로 발생된 합성가스를 재순환하여 사용하는 합성가스 재순환시스템을 통해 가스화에 필요한 열을 시스템 내에서 대체하여 사용하는 기술개발은 폐기물 가스화 용융기술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형 폐기물 가스화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합성가스를 재순환하여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내의 자체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성가스 재순환 시스템 및 버너의 운전특성을 고찰하였다. 합성가스의 재순환 장치에서의 운전 압력 제어 및 유량제어를 통해서 안정적인 합성가스 재순환 성능과 재순환버너의 연소 성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합성가스 재순환버너에 의한 16,800 $kcal/Nm^3$ 조건 및 33,600 $kcal/Nm^3$ 조건에서 운전시에도 가스화기의 운전온도는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생산된 합성가스의 가스화기 보조연료 대체 및 에너지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ecessity and Background of the Metal Recycling from Urban Mine Resources (도시광산(都市鑛山)(사용후제품(使用後製品)) 재자원화(再資源化)의 필요성(必要性)과 배경(背景))

  • Oh, Jae-Hyun;Kim, Joon-Soo;Moon, Suk-Min;Min, Ji-Won
    • Resources Recycling
    • /
    • v.19 no.5
    • /
    • pp.13-24
    • /
    • 2010
  •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and background of the metal recycling from urban mine resources, 4 bigger problems such as the limitation of the underground resources, consumption of the metal resources, contamination of environment and metal recycling business were reviewed. Waste management and recycling are the foremost issues facing Korea on its path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Especially, metal recycling from urban mines is the most urgent fact for global environment and resources conservation. In order to build a recycling-oriented socie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recycling technology, recycling practices and a recycling-oriented economic system.

Recycling Plating Materials Circulation Network Process from Waste Ni Resources (니켈 도금 폐액을 활용한 니켈 도금원료 생산 및 재자원화 네트워크 구축)

  • Gang, Yong-Ho;Kim, Gwang-Gyu;Sin, Gi-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86-88
    • /
    • 2014
  • 니켈도금폐액은 재자원화되지 못하고 대부분 외부로 위탁 폐수처리되고 있으며, 고가의 금속인 니켈을 회수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니켈도금폐액으로부터 니켈을 회수하고, 회수된 니켈을 이용하여 니켈화합물을 제조하여 니켈도금폐액을 재자원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PDF

Urban Mine Resources and Metals Recycling Industries in Japan (일본(日本)의 도시광산(都市鑛山)(사용후제품) 자원(資源)과 금속(金屬) 재자원화산업(再資源化産業))

  • Oh, Jae-Hyun;Kim, Joon-Soo;Moon, Suk-Min;Min, Ji-Won
    • Resources Recycling
    • /
    • v.19 no.6
    • /
    • pp.11-26
    • /
    • 2010
  • In order to review the recycling status of urban mine resources in Japan, metal consumption, metal recycling rate and metal recycling industry such as iron scrap, end of life vehiclcs(ELV), waste home appliances and spent IT equipments were surveyed. Japan took rank of top class in the world on the metal consumption and urban mine stock reserve. Metal recycling industries in Japan have been developed through excellent technologies for mineral processing and non-ferrous smelting. 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ies for recycling of rare metals are being developed now. Recycling rate of EL V, waste home appliances and personal computer are higher than the guidelines of the legislative stand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