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실자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4초

아파트 화재 사례 전산모사를 통한 화재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Fire Hazard Evaluation through the Fire Simulation of an Apartment Fire Accident)

  • 전흥균;최영상;추홍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69-7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FD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파트 화재 사고에 대한 전산모사를 통하여 화재위험성을 평가하였다. 화재 전산모사 결과, 스프링클러 미 작동 시 최대 열방출율은 7,700kW로써 스프링클러 작동시 최대 열방출율 497kW의 약 16배이며, 화재실의 문 강제 개방 시 역화현상의 발생으로 화재위험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화재실 온도의 위험도래시간과 감지기 작동 시간에 의한 재실자 피난 여유시간은 최소 32.5초와 최대 53.5초이다. 스프링클러 작동 시에는 냉각에 의한 화재제어로 아파트 실내의 화재위험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아파트 화재사고의 전산모사 결과를 통하여 소화설비 및 비상방송설비의 정상작동이 화재안전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작동 불능 시 얼마나 큰 피해 손실을 초래하는지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일반 구조용 강재 적용 H형강 보부재의 해석에 의한 고온내력 평가 연구 (Evalu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for H-section Beams Made of Ordinary Strength Steels by Analytic Method)

  • 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76-81
    • /
    • 2014
  • 화재와 같은 고온 시 구조부재의 붕괴를 방지함으로써 재실자와 소방관계자 그리고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은 구조부재의 내화성능을 확보하는 것이며, 이는 시방적 내화설계방법인 내화시험을 통하여 확보되어 왔다. 그러나 내화시험에 수반되는 시험체 제작과 운반 그리고 막대한 시험 비용의 반복적 사용 등은 새로운 공법과 재료 개발의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등급(SS 400) 강재의 고온 시 항복강도, 탄성계수와 열전달 및 열응력 해석을 적용하여 H형강 보부재의 표면온도 상승 및 고온 시 내력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H형강 보부재의 길이 변화에 따른 고온 시의 보부재의 내력평가를 수행하여 각각의 길이변화에 따른 내력 변화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기계 환기시스템의 실내 환기성능 특성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Analysis for Indoor Ventilation Performance of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 구재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1-37
    • /
    • 2012
  • 본 연구는 실내 쾌적성 제어를 위하여 룸 에어컨의 환기성능을 분석한다. 실험장치는 환경공조챔버, 룸 에어컨, 추적가스 측정시스템, 급기팬과 제어기로 구성된다. 환기성능은 ASTM Standard E741-83 기준에 근거하여 환경공조챔버 내 CO2 추적가스기법을 사용한 체강법에 의해 재실자와 급기 환기량에 따라 평가된다. 급기 환기량 증가에 따라 환기성능이 증가함을 파악하였으며 재실자가 없는 경우 CO2 가스는 빠르게 감소하며 이때의 환기성능은 55%까지 증가한다. 그리고 1명의 재실자가 있는 경우 1시간 경과후 급기량 570 lpm에서 환기성능은 자연감쇠와 비교하여 25%까지 증가한다. 실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환경공조챔버 내 룸 에어컨의 환기성능 모델링을 도출하였다.

화재 시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피난특성 (The Evacuation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ccording to Working of Single Unit Fireproof Shutter for Fires)

  • 이승철;홍이표;김상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35-40
    • /
    • 2013
  • 본 연구는 일체형 방화셔터가 설치된 초등학교 학생의 피난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일체형 방화셔터를 포함한 방화셔터 전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 검토하였으며, 초등학교에 설치된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 유무에 따른 재실자 피난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화재 모의실험 결과, 일체형 방화셔터 미작동시 최종 대피완료 시간은 130초이며,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 시에는 190초가 소요되었다. 그리고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 시 피난대피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이 셔터내의 출입문을 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 시 최종피난 완료시간은 상당히 지연될 수 있고, 많은 학생들이 화재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일체형 방화셔터 출입문 개폐력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재실자 활동량 산출을 위한 딥러닝 기반 선행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for the Deep Learning-based Metabolic Rate Calculation)

  • 박보랑;최은지;이효은;김태원;문진우
    • KIEAE Journal
    • /
    • 제17권5호
    • /
    • pp.95-10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ior art based on deep learning to objectively calculate the metabolic rate which is the subjective factor for the PMV optimum control and to make a plan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and technical review and applic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various documents and data both in domestic and foreign. Results: As a result of the prior art research, the machine learning model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ep learning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peech recognition, scene recognition, and image restoration. As a representative case, OpenCV Background Subtraction is a technique to separate backgrounds from objects or people. PASCAL VOC and ILSVRC are surveyed as representative technologies that can recognize people, objects, and background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on deep learning based on metabolic rate for occupational metabolic rate, it was found out that basic technology applicable to occupational metabolic rate calculation technology to be developed in future researche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ctivity quantity calculation model with high accuracy will be done.

개선된 IoT기반 제연시스템의 숙박시설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mproved IoT- based smoke control system to lodging facilities fires)

  • 김수용;이상수;이성화;김진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13-118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소규모 숙박시설에서 화재발생으로 인해 생성되는 연기로부터 재실자에게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로서, 재실자가 화재발생을 인지하지 못 하더라도 일정시간이상 피난안전성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소규모 숙박시설(바닥면적 1,000m2 이하)에서 발생하는 심야시간대 화재에서 재실자가 화재발생을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ASET을 1시간 이상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다. 숙박시설에 적용 가능한 제연시스템의 기본구성을 설계하였으며, 해당 시스템이 적용된 숙박시설에서의 피난 시나리오를 통해서 국내 소규모 숙박시설에 적용시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복합환승센터 피난대피구역 적정 배치 방법론 개발 (Optimal Deployment for Evacuation Safety Zone at Intermodal Transfer Station)

  • 유소영;정은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7-42
    • /
    • 2019
  • 대심도 실내공간에서 직면하는 재난상황에서 재실자는 종합적인 상황인지가 불가능하며, 공간지각 능력 저하로 황금시간 내 탈출이 쉽지 않다. 주어진 시간내 피난대피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최대한 안전한 구역으로 이동 가능한 설계를 제시하여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실내 공간 보행 통행량 기반 평가 시뮬레이션인 PATS (Pedestrian movement based Assessment Toolkit for Simulation)을 활용하여, 복합환승센터 피난대피구역 적정 위치 선정을 위한 분석 체계를 수립하고, 지하 6층 대심도 복합환승센터의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피난대피 경로 상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에 적합한 피난대피 구역 적정 위치를 제안하였다.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재실자 피난 부하를 고려한 피난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Evacuation Model Considering Occupancy Load in Child Care Center with Disabilities)

  • 이정수;오영숙;권용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53-56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 취약계층 특히 장애아동을 전문으로 보육하는 어린이집의 피난 부하를 고려한 피난 모델 구축을 통해 장애아동의 피난 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피난 부하 및 모델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피난 훈련을 통해 장애아동의 피난 행태 및 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의 장애아동 피난 부하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아동의 피난은 장애 유형 및 수준, 피난 행태를 고려하여 피난 계획 수립의 필요성이 있으며, 피난시 피난 수단 및 방법의 특별한 고려의 필요성이 있다. 둘째, 재난시 장애아동의 피난 부하는 비장애인의 피난 부하와 상이한 조건을 보이며, 장애아동의 특별한 피난 행태(피난 방법 및 수단)를 반영하는 피난 통로 및 피난 부하 모델 구축의 필요성이 있다. 셋째, 휠체어 또는 뇌성마비 등 장애 유형 및 수준에 따라 수직 피난이 불가능한 경우, 장애아동의 안전한 피난을 위해서 2층 이상의 활동실에는 장애아동의 안전한 구난시까지 대기할 수 있는 피난안전구역을 설정할 필요성이 있다.

사무공간의 재실자의 작업면 쾌적성을 고려한 적정조도 도출 (A Study on the Proper Illuminance Considering the Task Amenity of the Occupant in the Office Space)

  • 김인혜;김성경;홍원화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6권3호
    • /
    • pp.159-167
    • /
    • 2020
  • For modern people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doors, the indoor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The efficiency of work depends on the amenity level of the occupants who use the office space. Therefor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rive the proper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amenity level of the occupant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n office in Chilgok County for 6 days. The illuminance of the indoor was changed every day, the feeling brightness of the occupants was measured every 10 minutes, the eye fatigue was measured every 30 minutes, and the overall illuminance and the work surface illuminance were measured every h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feeling brightnes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ccupants. Also, it was found that the brightness survey preferred by the occupants required more proper illuminance than the brightnes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with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as the eye fatigue of occupants. Brightness preference by time of day was analysis from feeling brightness of occupants and preference brightness of occupants, and then it was analyzed like eye fatigue to derive proper illuminance per hour.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utilized for improvement of eye amenity existing office space.

의료기관 맞춤형 실내 공기 모니터링 IoT 시스템 연구 (A Study of Indoor Air Monitoring IoT System Customized for Medical Institutions)

  • 이효승;오재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17-1222
    • /
    • 2020
  •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에 관한 연구가 지속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시설의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 관리하여 국가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관련 법령을 시행 등 다양한 노력 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의료기관의 경우 방문하는 다수의 사람이 질환이나 질병을 갖고 있으며 실내 공기 오염과 관련하여 두통, 우울증, 신경과민, 심장병, 암 등의 만성질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시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관에 적용하기 위한 실내 공기 모니터링 IoT 시스템을 통해 공기 오염도에 대한 중앙 모니터링 및 담당자 자동 호출 기능 등을 제공하여 재실자에게 쾌적하고 청정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