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수행 의도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Effect of Priming Attribution of Chance versus Effort on Task Satisfaction and Re-performance Intention (우연 대 노력 귀인점화가 과제 만족과 재수행 의도에 미치는 효과)

  • Lee, Byung-Kwan;Lee, Guk-He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4
    • /
    • pp.535-544
    • /
    • 2013
  • Prior research on attribution has paid much attention to cognitive processes through which people infer causes. However, surprising omission from this research stream is the role of unconscious priming of different causes in task satisfaction and re-performance intention.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xamine how attributing to different causes (chance vs. effort) via priming procedure affects task satisfaction and re-performance intention. To do thi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chance-priming or effort-priming attribution condition and asked to answer O/X quiz (Exp 1) or multiple choice questions (Exp 2). Then, we provided 'Good' or 'Bad' feedback to participants randomly regardless of their actual task results. Finally, we measured their task satisfaction and re-performance intention. Results indicate that task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he valence of feedback they received but re-performance intention is influenced by interaction between attribution priming and the valence of feedback. Specifically, when receiving 'Good' feedback, participants in effort-priming condition have higher re-performance intention than those in chance-priming condition, whereas when receiving 'Bad' feedback, participants in effort-priming condition have lower re-performance intention than those in chance-priming condit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research for induction and decision making as well as psychology of addiction.

mobile transaction processing of spatial data using 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 (낙관적 동시제어기법을 사용한 공간 데이터의 모바일 트랜잭션 처리)

  • 김동현;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02-204
    • /
    • 2001
  • 무선이동 단말기가 발전함에 따라 GPS등의 측량 장치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무선이동 단말기의 공간 데이터를 수정한 후에 수정된 공간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즉시 GIS 서버에 반영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비관적 기법 기반의 트랜잭션 모델을 이용하는 경우에 잠금 충돌이 발생하면 충돌하는 모바일 트랜잭션들이 오랜 기간 동안 온라인 상태로 대기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낙관적 기법 기반의 트랜잭션 모델을 이용할 경우에 변경 충돌(conflict)이 발생하면 현장에서 수행했던 모든 수정 작업을 취소하고 새로 공간 데이터 수정 작업을 재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낙관적 기법에 기반한 모바일 트랜잭션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은 영역 잠금을 이용하여 트랜잭션 시작시 변경 의도를 표시한다. 그리고 완료 작업 수행시에 잠금을 이용하여 변경 충돌 검사를 한다. 변경 충돌이 발생하면 변경 충돌 해소를 위하여 해당 트랜잭션을 대기시키고 충돌이 발생한 부분에 대하여 사용자가 재수정 할 수 있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