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생 에너지

Search Result 5,30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New and Renewable Ener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 평가 방법론 연구)

  • Lee, You-Ah;Kim, Jin-Soo;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103-106
    • /
    • 2008
  • 신재생에너지기술 개발인력 확보는 국가 에너지 안보의 확보 및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다. 관련 사업추진에 있어 비효율성의 제거와 인적자원 개발 정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서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성과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의 평가를 위하여 적용가능한 방법론을 살펴 보았다. 기존 인력양성 방법론의 구분을 수정하여 인력 양성의 평가 방법을 성과점검, 요인통제분석, 사업의 파급효과 산출방법으로 분류하고 각 기준별 세부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성과점검 방식에는 단순환산/일반질문법, 요인통제분석에는 AHP-DEA효율성 측정방법, 인적자본 축적모형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업의 파급효과 산출방법에는 산업연관분석 방법, 인력양성 산업연관도 작성 방법이 있다. 제안된 모형 중AHP-DEA효율성 측정방법은 신재생 에너지 인력양성 평가에 적용될 경우 DEA 모형의 객관성이라는 특징을 최대한 이용하는 동시에, 한계로 지적될 수 있는 변별력 분제를 체계적으로 보완하기위한 방편으로 AHP를 도입함으로써 적절한 인력양성 평가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 개선 및 RPS 제도 연계방안

  • Rhee, Chang-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519-529
    • /
    • 2005
  • 국내에서 시행중인 발전차액지원제도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목적으로 2002년부터 시행 중에 있으며, 법적으로 인증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전원에 대하여 일종의 우대가격인 기준가격을 적용하고 있다. 2002. 5월에 최초 고시된 기준가격지침 고시기준은 그동안 두 차례의 개정을 거친 바 있으며, 2006년 10월경에는 전면 개정을 앞두고 있다. 향후, 개선될 기준가격 시스템은 국내의 현실적인 여건 등을 감안하여 대상 전원별로 고정, 또는 선택적인 요금제를 통하여 탄력적인 기준가격체계를 적용하는 방향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 PDF

POLICY & ISSUES 기획특집_3 - 신재생에너지산업 현황과 해외진출지원방안

  • Han, Yun-Cheol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00
    • /
    • pp.17-18
    • /
    • 2012
  • 세계 신재생에너지시장은 2010년 기준 2,100억불 이상으로 메모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 등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세계시장 규모를 넘어서고 있으며, 세계 각국이 신재생에너지를 온실가스 감축 및 경기부양의 핵심수단으로 인식하고, 도전적인 목표 설정 및 정부 지원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신재생에너지 성장동력화를 통해 2015년도에 주력 수출 산업(500억불)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하고 신재생에너지 해외진출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ew & Renewable Energy Resources (신재생에너지 자원별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Choi, Young-Moon;Lim, Jung-Yeol;Cha, In-Su;Park, Se-J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06a
    • /
    • pp.94-96
    • /
    • 2008
  • 신 재생에너지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 에너지 절약 및 대체기술, 대기환경 평가 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자원의 표준데이터 작업이 요구되며, 장기간에 걸쳐 데이터를 꾸준한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앞서 본 연구에 의해 얻어지는 지역별/자원별 데이터를 토대로 관련 기술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자료의 측정 수집 및 전송은 물론 방대한 데이터가 보다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IT기술 접목을 통한 다양한 응용시스템 및 에너지원 발굴의 기반환경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신 재생에너지 이용 발전 시스템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 신 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 최적 운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지역별 신 재생에너지 통합관리 운영 시스템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한다.

  • PDF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Roadmap for Participation in Renewable Energy Projects Using a Multi-Level Model (다층모형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 사업 참여 로드맵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Kim, Han-Jib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0
    • /
    • pp.422-433
    • /
    • 2021
  • At this point in time when active participation in renewable energy projects is required, basic information on growth engines and substantial promotion strategies for participation in renewable energy projects is needed. According to the this study tri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vitalizing participation in the renewable energy business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new energy business participation roadmap using the multi-layered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in order to achieve an effective new energy business participation roadmap,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business participation factors by industry.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such as the leading organization of the project, profit distribution method, green industry financial support, project implementation method, power plant location, and comprehensive long-term strategy, and there is an institutional approach that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found to be necessary. Above all, it suggested that in order to achieve an effective new energy project participation roadmap, an institutional approach is needed that can expand the suppl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while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national econom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