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생 에너지

Search Result 5,301,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Evaluation of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n Energy Sector;Renewable Energy Sources (남북한 에너지분야 협력 가능성 모색;재생에너지원을 중심으로)

  • Kim, Hwa-Young;Lee, Ji-Hyo;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687-689
    • /
    • 2007
  • 점차 심화되고 있는 북한의 에너지 위기는 북한 사회이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 및 정치, 나아가서는 국제 사회에서의 북한의 외교정책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남한의 군사적, 정치적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 북한의 에너지난 타개를 위해 여러 회담의 주요 사안으로 에너지 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에너지 공급 제한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는 미봉책에 불과하다. KEDO 중단으로 북한의 장기적 에너지 지원 노력이 중단되었으며, 중유 지원 등의 방식은 일시적인 수준에서 그치게 될 것 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에너지난을 타개하고 이를 통하여 사회 경제 전반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대북 에너지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Maintenance Guide of Solar Power System (태양광발전시스템 전기적 안전성 평가기법)

  • Han, Woon-Ki;Ahn, Jae-Min;Choi, Jong-Su;Kim, Jae-Ch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82.2-82.2
    • /
    • 2010
  • 태양광발전설비 설치수요는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를 비준하고 온실가스를 지속적으로 저감하고자 정부를 중심으로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정책적인 지원책으로 2011년까지 1차에너지 소비량의 5%를 신 재생에너지로 보급하고자 발전차액지원제도를 도입하였다. 제1차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향후 203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의 비중을 현행 2.4%에서 11%까지 확대하였으며, 최근 지원제도의 변경에 따라 금년 2009년 말까지 계통에 연계시키고자 많은 태양광 발전소를 시설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설비에 대한 적기적안전성 평가기법 및 현장에서 안전성을 확보방안을 알아 보았다. 현장에서 전기설비기술기준상의 문제점을 검토하였으며, 전기안전성 평가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설계 및 시공기준 제정 연구

  • Gang, Yong-Hyeok;Jang, Mun-Seok;Baek, Nam-Chun;Yu, Gwon-Jong;Park, Wan-Sun;Sin, Hyeon-J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492-504
    • /
    • 2005
  • 본 신 재생에너지설비 시공 및 설치확인 기준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의 효율적인 보급과 사후관리 비용 절감 및 성능향상으로 인한 에너지 생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될 뿐 만 아니라 보급확대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있어야 할 기준이다. 현재 보급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5개 에너지원에 대한 설비 시공 및 설치확인 기준을 작성하여 보급사업의 지침서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 태양열 시스템 시공 및 설치확인 기준 개발 - 지열이용 시스템 시공 및 설치확인 기준 개발 - 태양광발전 시스템 시공 및 설치확인 기준 개발 - 풍력발전 시스템 시공 및 설치확인 기준 개발 - 소수력발전 시스템 시공 및 설치확인 기준 개발

  • PDF

Database Develpoment and Analysis Process Design for Economic Evaluation of Solar Energy System (태양에너지 경제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프로세스 설계)

  • Yun, ChangYeol;Kim, GwangDeuk;Jo, Dokki;Kang, YongHeac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70-70
    • /
    • 2011
  • 국내의 많은 연구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의 사전 경제성 평가를 위한 모델들은 다수 개발된 바 있지만, 기본적인 연산 프로세스와 연산방식만 지원되고 있을 뿐, 연산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신재생에너지의 각 요소 데이터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개발된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데이터를 근간으로 하여 경제성 평가의 기본이 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함과 동시에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하여 해당 영역에서 직접 대상위치를 선정하고, 인자값의 설정에 따라 사전 적정성 평가를 지원하는 연산 프로세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웹 도구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설비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시스템의 제작을 그 목표로 한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Evaluation System for Interconnection of Renewable Power Sources in Distribution Systems (신재생에너지전원(태양광, 풍력)의 저압배전계통연계 자동평가시스템 개발)

  • Rho, Dae-Seok;Kim, Hyo-Jin;Kim, Dae-Sik;Won, S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069-1-2070-1
    • /
    • 2008
  • 산업자원부에서는 국가에너지사업의 정책으로 지역 에너지사업 및 신 재생에너지 시범보급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규모 신재생에너지전원(태양광, 풍력, 열병합 등) 단지가 활발하게 조성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전원의 설치자 측에서는 설비비용의 절감을 이유로 일반배전선로(고압 및 저압배전선로)에 직접적인 연계를 요구하고 있으나, 한전 측에서는 계통운용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까다로운 계통연계지침(가이드라인)을 정하여, 한전 측과 전기사업자(전기공사업자 및 발전 사업업자)간의 이해가 상충되는 부분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전원의 발전업자와 전기공사업자의 측면에서는 효율적인 공사 및 시공을 위하여, 배전계통 연계와 관련된 복잡한 기술적인 계통연계 지침을 일일이 해석하지 않더라도, 연계 적합여부를 손쉽고 자동적으로 판단해주는 평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Renewable Energy in Agricultural Sector (농업분야 신재생에너지 보급현황 및 파급효과 분석)

  • Park, Jiyun;Kim, Yeonjo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
    • /
    • pp.224-235
    • /
    • 2019
  •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energy used in the agricultural sector due to the expans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and greenhouse horticulture has caused a range of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cost of input, such as heating costs and greenhouse gas emiss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energy use in greenhouse horticulture as well as the change patterns of non-taxable oil and agricultural electricity, and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the supply of renewable energy and energy saving facilities for agri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rea of advanced and renewable energy and energy saving facilities implemented, applied the energy saving ratio of advanced and renewable energy and energy saving facilities, and determined the effects of renewable energy in the agricultural sector, such as increase in production, decrease in heating cost, reduction in Government financial expenditure, reduction in greenhouse gas emission, and oil substitution effect.

기획취재 - 연료전지(Fuel Cell), 차세대 신재생에너지로 각광받다!

  • Kim, Gi-Yeong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s.382
    • /
    • pp.20-21
    • /
    • 2014
  • 우리나라의 화석연료 의존율은 80%를 넘는 수준이다. 화석연료의 고갈은 전 세계적으로 큰 혼란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세계 각국은 신재생에너지 시장 개척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안정적인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연료전지에 대해 알아보자.

  • PDF

At the crossroads: An uncertain future facing the electricity-generation sector in South Korea (월드 리포트 - 대한민국 발전산업의 불확실한 미래)

  • Hong, Sanghyun;Brook, Barry W.
    • Nuclear industry
    • /
    • v.38 no.6
    • /
    • pp.21-32
    • /
    • 2018
  • 원자력 발전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대한민국에서 가장 중요하고 청정한 전기 에너지 공급원 역할을 감당해왔다. 그렇지만 한국 정부는 원자력 발전의 점유율을 줄이고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에너지 전환 정책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높은 인구밀도를 놓고 볼 때, 전력 생산의 최대 에너지원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구상은 무리일 수밖에 없다. 그 이유는 재생에너지 발전량만으로는 다 감당할 수 없는 원자력 발전량의 감축 부분을 어떻게 보충하겠다는 언급이 한국 정부의 로드맵에는 없기 때문이다. 암묵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대안은 결국 화석연료인 것 같은데, 한국정부가 어떤 화석연료를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이라는 문제와 직결되므로 그것이 최종 결정의 핵심적 요소가 될 것이다. 우리는 시나리오 분석 방법을 통해 한 가지 재생에너지를 선택한다는 가정과 함께 두 종류의 화석연료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를 분석해 보았다. 아울러 우리는 다른 나라들의 세 가지 에너지계획과 비교 분석한 사항을 바탕으로 원자력 에너지 외에 한국 정부가 선택할만한 에너지원의 타당성과 각 에너지 별 선택에 따른 제약사항을 밝히면서 최악의 결과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경제상의 필수적인 조건들을 제안하려 한다.

  • PDF

The Substantiation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its Effect Analysis on the Energy Saving (신재생 분산자원을 도입한 건물 에너지관리시스템 실증 및 에너지 절감효과 분석)

  • Jeong, Su-Mi;Park, Jong-Tae;Park,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35-536
    • /
    • 2015
  • 장기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정과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체계인 신재생 에너지의 이용은 1차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이에 국내 총 에너지 소비량의 약 25%를 차지하는 건물 분야에서도 신재생 에너지원의 적용을 확대함에 따라 생산과 소비 최적화를 통한 효율적인 통합 운용 및 제어가 가능한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 분산자원을 도입하여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을 구축 및 실증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A Renewable Resource Modeling Method in WASP-IV (WASP 모형 기반의 신재생전원 모델링 방안 연구)

  • Park, Jong-Bae;Park, Yong-Gi;Shin, Joong-Rin;Roh, Jae-Hyung;Park,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394-39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자원인 풍력발전을 WASP 모형 내에 공급측 자원으로 반영하여 수급계획을 수행해 보았다. 기후적 요인에 대한 의존성이 매우 강한 수력발전의 경우 WASP 모형 내에서 모델링이 가능한데, 다른 신재생에너지의 경우도 수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WASP 모형 내에서 수력발전 시스템과의 입력형태만 맞추어 주면 신재생에너지의 공급측 관점에서의 해석이 가능해진다. 이는 신재생에너지로 인한 신뢰도 영향, 즉 LOLP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5차 수급계획에서 예측수요에서 시간대별 신재생에너지를 차감한 수요측 관점의 신재생에너지 모델링 방법과 공급측인 수력발전으로 모델링하여 수급계획을 수행한 결과와의 LOLP값을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