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미요소

Search Result 32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alysis and Design of Interest Elements in Visual Storytelling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재미요소 설계 및 분석)

  • Ahn, Seong-Hye;Hur,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50-257
    • /
    • 2009
  • The thing that is the most important at time to produce the culture contents is developing source story and storytelling which is work to process in the contents of various media. However, the study of the methodology for the interest element design of storytelling which is necessary to produce the culture content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article is going to show a design method, when I plan the culture contents of the OSMU base, which is analysis the pleasure element of storytelling to make an interesting story and visual storytelling to visualize the pleasure elements.

  • PDF

Fun-centered HCI (재미를 위한 HCI)

  • Yoon, Ji-Eun;Lee, In-Seong;Kim, Jin-Woo;Choi, Dong-Seong;Park, Ji-E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661-669
    • /
    • 2006
  •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에서 사용성 (usability)은 사용 의도 (usage intention)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주목을 받아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용 의도 (usage intention)를 결정짓는 새로운 요소로서 재미 (fun to use)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Funology'라는 새로운 개념도 제시되었다. 재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기존 연구들은 재미가 무엇인지는 여전히 명확히 정의하지 못하고 다른 감정들과 차이점을 살펴보거나 재미를 유발하는 몇몇 요소들을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재미란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고, 사용자들이 재미를 느끼는 요소들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Fun Factors to Improve Game Quality (게임 품질 향상을 위한 재미요소에 관한 연구)

  • Kim, Hy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5-68
    • /
    • 2020
  • 최근 코로나19 영향이 가장 컸던 2020년 1분기 동안 전세계 모바일 게임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8% 증가한 약 123억 건이 다운로드 됐으며, 소비자 지출은 약 2% 증가한 약 166억 달러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글로벌 게임시장의 규모가 상승하는 가운데 국내에 출시된 모바일게임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게임성이 향상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 글로벌 게임 경쟁력에 대한 해결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재미요소와 관련해서 다양한 내용으로 게임 사용자들의 의견을 알아보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용자 측면에서 의견들을 분석한 결과 재미요소가 게임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사용자들과의 소통, 피드백을 통해 의견을 받고 수렴해주는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Fun Elements of Web 2.0 Blog Widget (Web 2.0 블로그 위젯의 재미 요소에 대한 연구)

  • Choi, Sung-Kyu;Kim, Kee-Sung;Jang, Seok-Hyun;Whang, Min-Cheo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785-790
    • /
    • 2009
  • Widgets are the instrument for representing user's character and embossing the value of blogs. The compound word of the Windows and Gadget the application, widgets are the functional program to displayed on the screen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ols as a kind of service that user want to see. On the operating system, the Web, and mobile area, widgets offer the delivery of information, convenience and efficiency. However widgets have been never gave satisfaction to user because it focused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representing circumstance than fun. This study is for recognized fun elements that user feel interest and categorized fun elements each type of widgets. Fun elements of widget never been defined, we use fun elements on design and product area and emotional word that is representative of affectivity. And we make up an online questionnaire to blog users. The widget selected by popular degree among the domestic widgets and the Japanese widget.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hat 5-scales used based on user preferences to identify the elements that are fun.

  • PDF

The Effects of Fun Sound and User Interface on ATVM's usability (소리의 재미수준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승차권 자동발매기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 Tae, Eun-Ju;Kim, Jong-Wa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26-534
    • /
    • 2007
  • 사용성의 주관적인 판단기준으로써 재미(Fun)라는 요소는 사용성 지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논의는 제기된 반면 개념자체의 모호성과 객관적인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증적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재미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시각적인 요인에만 국한되었다. Shneiderman(2004)은 재미를 설계하기 위한 5가지 fun-feature 중 하나로 만족스러운 소리(satisfying sound)를 제시하였는데, 시각적인 요인 못지않게 청각적인 요소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에서 사용자에게 과제를 적절하게 수행해나가고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피드백으로도 작용할 수 있고, 즐거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차권 자동발매기를 중심으로 소리의 유무와 소리의 재미수준이 사용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소리가 없는 조건, 재미없는 소리 조건, 재미있는 소리 조건에 따라 사용성을 다르게 지각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모형의 사용성 수준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사용하기 좋은 모형과 좋지 않은 모형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참가자들은 두 가지 모형에 대해 각각의 소리조건에 따라 과제를 수행하고 모형과 소리 조건에 대해 집단 면접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재미있는 소리조건에서는 정답률이 다른 소리 조건들에 비해 더 높았으며 총클릭수는 더 적었다. 면접 결과에서는 좋지 않은 모형에 재미있는 소리는 긍정적으로 인식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Davis(1992)가 사용성이 뒷받침 되지 않은 상황에서 재미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본 연구는 재미의 한 구성 요소인 소리를 통해서 사용성에 있어 재미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과 사용성을 전제하지 않은 것에 있어 재미요소의 적용은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 Fun Factor in the MOBA Game Genre (MOBA 게임 장르에서의 캐릭터 재미 요소에 관한 연구)

  • Hong, Min-Gi;Park, Jong-Beom;Kim, Hy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209-212
    • /
    • 2020
  • 게임에서의 캐릭터는 플레이어와 게임을 연결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더 나아가 게임의 재미를 느끼는 데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대표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MOBA 장르의 게임인 리그 오브 레전드, 오버워치,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사이퍼즈 총 4개 게임의 캐릭터와 역할에 대한 재미를 분석하여 공통적인 재미 요소를 정리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유저들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앞으로 게임 캐릭터 기획 제작에 대해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MMORPG의 재미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 Yun, Hyeong-Seop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66-69
    • /
    • 2009
  •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온라인 게임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집단 경쟁 등 스탠드 얼론(stand alone) 게임에서는 느낄 수 없는 새로운 재미를 제공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게임 플레이의 경험 중가장 핵심적인 주제인 재미에 대한 연구는 휴리스틱한(heuristic) 연구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게임플레이의 재미에 대한 과학적인 평가를 위해 MMORPG의 재미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 그 유용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동기이론, 몰입(Flow) 이론, 기존의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온라인 게임의 핵심적인 재미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20여개 의 요인들을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범주화하고, Ermi & Mayra(2005)의 게임플레이 경험 모델에 통합하였다. 다양하고 정성적인 평가기준을 체계화하기 위해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이론에 입각하여 감각적 재미, 도전적 재미, 상상적 재미, 사회적 상호작용의 재미의 4개 측면을 포함하는 계층분석도를 구성하였고, 게임업계 전문가들의 검토와 중요도 평가를 통해 MMORPG의 재미 평가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에 의해 구성된 설문문항을 3개 MMORPG를 즐기고 있는 이용자 87명을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WOW, Aion, Lineage2순으로 각각 75.247점, 68.649점, 62.205점을 얻어냈다. 이러한 평가 결과는 현재 MMORPG 중에서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과 매출 실적이 좋은 WOW를 가장 재미있는 게임으로 선정하였고, Aion과 Lineage2도 현재의 시장 점유율과 매출 실적과도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MMORPG의 재미 평가 모델의 유효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장 재미있는 게임의 선정뿐만 아니라 각 게임의 재미 요소별 강약점을 분석하여, 왜 어떤 게임은 성공적이며, 다른 게임들은 그렇지 않은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MMORPG의 재미 평가 모델은 어떤 게임이 가장 재미있는 게임인지를 선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보다 구체적인 재미 요소별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재미있는 온라인 게임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장르까지 확장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 PDF

Fun Factors of New Media Content for Kids (유아용 뉴미디어 콘텐츠의 재미 요소)

  • Chung, Jee 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0
    • /
    • pp.40-52
    • /
    • 2018
  • Media can be considered as a type of play for kids in this new media era. Researches on media content for kids have mainly focused on educational effect or specific features such as design, but a great deal of kids content is created for fun and enjoyment. This study analyzes fun factors of the most popular kids content on Youtube: Kongsuni and Friends, Carrie and Toys, and Pinkfong. The result shows that seven fun factors can b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1) Self-determination and independence are related to the media environment; 2) Sensuous vividness, empathy, and physical dynamic are related to the content; 3) Self-expression and social interaction are related to associated activities. This study extends our perspective on kids content by analyzing fun factors in the comprehensive process of media consumption.

A Study on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Auto Battler Genre (오토배틀러 장르의 향후 발전 방향성에 대한 연구)

  • Lee, Won-Hyeok;Kim, Hy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53-656
    • /
    • 2020
  • 최근 새롭게 만들어진 게임 장르 중의 하나인 오토배틀러 장르는 인기가 뜨겁게 끓어오른 만큼 식는 속도 역시 빠르게 진행되었다. 침체된 오토배틀러 장르의 현 상황에서 출시 초기 유저들을 끌어들였던 오토배틀러 장르만의 특징과 차별화 된 재미요소, 흥행의 이유를 되새기고 불완전한 게임 시스템을 보완하여 유저들에게 차별화된 재미를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발전 방향에 대해 분석하고, 유저들이 해당 장르의 게임을 플레이 하면서 느낀 오토배틀러 만의 특징과 재미요소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여 향후 오토배틀러 장르의 발전을 위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Fun' in Hangul Iconicity (한글 도상성에 나타난 '재미'에 관한 연구)

  • Park, Young-Won
    • 기호학연구
    • /
    • no.54
    • /
    • pp.65-92
    • /
    • 2018
  • Hangul 's iconicity based on the scientific creation principle makes it possible to expand into various designs. 'Fun' is a factor for succes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rough the design process, it is possible to apply fun elements to the design of cultural contents to meet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 icons that can be used in cultural contents design, the concept of 'fun', the inducing factors of fun and the production methods of visual fun are summarized. The production method of visual fun has suggested the same way as the design humor creation method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10 types of examples of Hangul in relation to visual 'fun' have been analyzed by the semiotic approach. This suggests a design methodology for the creation of fun elements that utilize Hangul Iconicity in cultural contents desig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