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현장

Search Result 68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f the Integration of the Distributed Disaster Resources (국가 재난관리자원 통합에 관한 연구)

  • Lee, Changyeol;Kim, Taehwan;Park, Gilj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2
    • /
    • pp.304-311
    • /
    • 2014
  • Disaster Resources are the resources used in the disaster fields such as fire, typhoon, flood, collapse, flood damage, distress, relief, sanitary, explosion and so forth. The resources are distributed by the several institutes including governmental agencies, public institution, and private sectors. When the large scale disaster is occurred, many kinds of the disaster resources are needed. But it is not easy to know where institutes has the needed resources, because the resource management systems are all distributed in the each institute. To integrate or connect the resource data among the systems, it need the several kinds of coordinations such as terms, classification, and resource exchange protocol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tandard specifications and how to connect and exchange the data among the systems.

Survey on the Medical Informatics in Disaster (재난상황에서의 의료 인포메틱스에 대한 연구 동향)

  • Jeon, Dong-Uk;Im, Yeong-Seon;Lee, Yeong-H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5
    • /
    • pp.71-79
    • /
    • 2012
  • Medical Informatics에 대한 관심 증가와 정보통신 관련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IT 기술을 활용한 의료 프로세스는 매우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재난 시 의료진의 접근이 제한된 가운데 단시간 내에 응급치료 및 수송과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통한 대응은 각종 정보통신 관련기술의 발전과 함께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edical Informatics와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여 재난 상황에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의료 활동과 의료지원 시스템의 활용을 다룬다. 재난 상황 및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사고 현장에서 IT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분류함으로써 의료 활동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위한 워크 플로의 정의 및 관련된 연구를 정리 하였다. 또한 무선통신기술의 활용, SNS 등을 이용한 의료정보의 전달과 이를 활용한 의료진의 대응 방법 대한 연구동향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정보기술의 발전은 재난에 대응하는 전략적 목표와 방법 등에서도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동향을 포함하였다.

A Review of Terms and Concepts Related to Crowd Crush Incidents in Mass Gathering Situations (다중인파밀집 상황의 군중 눌림 사고 관련 용어 및 개념의 고찰)

  • Wang, Soon-Joo;Yang, Philli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311-313
    • /
    • 2023
  • 군중눌림 사고 형태의 재난은 국내에서 경험과 연구가 미진한 재난의 형태이지만 세계적으로는 선진국이나 후진국을 가리지 않고 꾸준히 발생중이며, 2022년 10월 29일의 이태원 참사에서 보듯이 국가사회에 엄청난 파급력과 영향을 주는 재난이다. 따라서 군중눌림 사고를 이해하고 발전된 학술적 접근 방식을 통하여 최소한의 예방, 대비, 대응 수준에 이르러야 하나 국내에서는 그 연구가 미진하고 용어와 개념 정립도 되어 있지 않다. 군중눌림 사고는 그 본질 상 얼마 안 되는 짧은 골든 타임 내에 해결이 되지 않으면 대처 시간이 거의 없어 인명피해 대처가 매우 어렵다. 즉 질식으로 의식이 저하되는 피해자가 신고되어도 현장 도착 구급대원이 밀집된 군중을 뚫고 피해자에게 신속히 접근하기란 애무 어려워, 선진국들조차도 많은 인명피해를 내지만 뚜렷한 한 가지 해결책을 제시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군중압박 사고 관련 정립되지 않은 용어를 관련 개념과 같이 조사 정리하고, 과거 있었던 대표적 군중집회의 분류, 특성 등을 알아보며, 이를 기반으로 용어와 개념이 정리 및 표준화되는 기반이 되도록 하였다.

  • PDF

Patient Transports during the 2022 Itaewon Tragedy in Korea (10.29 이태원 참사 시의 환자 이송의 고찰)

  • Wang, Soon-Joo;Yang, Phillip;David Wagner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314-315
    • /
    • 2023
  • 군중눌림 사고 형태의 재난은 국내에서 경험과 연구가 미진한 재난의 형태이지만 세계적으로는 선진국이나 후진국을 가리지 않고 꾸준히 발생중이며, 2022년 10월 29일의 이태원 참사에서 보듯이 국가사회에 엄청난 파급력과 영향을 주는 재난이다. 따라서 군중눌림 사고를 이해하고 발전된 학술적 접근 방식을 통하여 최소한의 예방, 대비, 대응 수준에 이르러야 하나 국내에서는 그 연구가 미진하고 용어와 개념 정립도 되어 있지 않다. 군중눌림 사고는 그 본질 상 얼마 안 되는 짧은 골든 타임 내에 해결이 되지 않으면 대처 시간이 거의 없어 인명피해 대처가 매우 어렵다. 즉 질식으로 의식이 저하되는 피해자가 신고되어도 현장 도착 구급대원이 밀집된 군중을 뚫고 피해자에게 신속히 접근하기란 애무 어려워, 선진국들조차도 많은 인명피해를 내지만 뚜렷한 한 가지 해결책을 제시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군중압박 사고 관련 정립되지 않은 용어를 관련 개념과 같이 조사 정리하고, 과거 있었던 대표적 군중집회의 분류, 특성 등을 알아보며, 이를 기반으로 용어와 개념이 정리 및 표준화되는 기반이 되도록 하였다.

  • PDF

Design of Unmanned Exploration Vehicle for Disaster Site (재난 현장용 무인탐사 차량의 설계)

  • Choi, Duk-Gyu;Cho, Geunjae;Kim, Seyoon;Kim, Ji-hyun;Kim, Yoon Sung;choi,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497-498
    • /
    • 2021
  • 현대사회의 산업 현장에서 기계가 사람들을 대체하면서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있다. 많은 산업 분야에서 사람들을 기계로 대체하고 있는데, 재해 및 사고 현장이나 위험 지역 조사 등에 대한 탐사 활동은 대부분 인력이 차지하고 있으며, 탐사 활동에 참여하는 많은 인력들은 2차, 3차 사고에 쉽게 노출되어 있으며, 그로 인한 인력소모가 심하다. 따라서 우리는 인력 투입 전 사고 및 재난 현장이나 위험 지역에 인력을 투입하기 전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탐사 인력에 대한 안전이 보장된 근무 환경을 개선 시키기 위해서 무인 탐사차량을 생각하게 되었다. 무인 탐사 차량에는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를 메인으로 삼았고, 현장의 온도와 습도, 화재여부, 가스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은 아두이노에 연결하고, 카메라와 라이다센서의 경우 라즈베리파이에 연결을 하였다. 그리고 모든 데이터값은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서 수신받을 수 있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Demolition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anual (해체공사 위험성평가 매뉴얼 개발 연구)

  • Hyung, Sung-Han;Jang, Won-Jun;Lee, Moon-Bae;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93-94
    • /
    • 2023
  • 해체공사는 작업의 특성상 단기간에 이루어지며, 해체공사 현장에 투입되는 근로자는 일용직 근로자가 대부분으로 안전사고의 비율이 높다.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에는 위험성 평가시 근로자를 참여토록 하고 있으나 해체현장의 특성상 근로자가 참여한다고 하여도 위험요소를 파악할 역량이 부족할 따름이다. 또한 기존의 해체공사 안전관리 매뉴얼은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한 매뉴얼로 해체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매뉴얼은 없는 실정으로,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위험성 평가 매뉴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의 해체 및 철거공사의 사고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해체 및 철거 사고시 발생한 주요 위험요소를 도출하여 작업 공종별로 유해·위험요인의 파악을 손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해체 현장 규모에 따라 대규모 현장은 빈도·강도법, 중·소규모 현장은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여 위험성을 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관리카드를 만들어 해체공사 완료시까지 관리하도록 하였다.

  • PDF

Analyzing Disaster Response Terminologies by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재난대응 용어분석)

  • Kang, Seong Kyung;Yu, Hwan;Lee, Young Jai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8 no.1
    • /
    • pp.141-155
    • /
    • 2016
  • This study identified terminologies related to the proximity and frequency of disaster by social network analysis (SNA) and text mining, and then expressed the outcome into a mind map. The termdocument matrix of text mining was utilized for the terminology proximity analysis, and the SNA closeness centrality was calculated to organically express the relationship of the terminologies through a mind map. By analyzing terminology proximity and selecting disaster response-related terminolog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losest field among all the disaster response fields to disaster response and the core terms in each disaster response field. This disaster response terminology analysis could be utilized in future core term-based terminology standardization, disaster-related knowledge accumulation and research, and application of various response scenario compositions, among other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evice for isolation unit in CBRNE disaster (CBRNE 재난 시 격리이송을 위한 장치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Ham, Seung Hee;Park, Namkwun;Yoon, Myong 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1
    • /
    • pp.65-71
    • /
    • 2018
  •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prevent the spread of pollutants in the event of a major disaster caused by CBRNE accidents and attacks and build up system to provide optimal transport environment for each patient condition By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existing products and make them immediately applicable in th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essential consideration in both functional and performa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isolation uni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uggests (1) basic function, (2) efficient field utilization, (3) isolation unit interface and combination of modules in development of isolation unit.

Fast Geocoding of UAV Images for Disaster Site Monitoring (재난현장 모니터링을 위한 UAV 영상 신속 지오코딩)

  • Nho, Hyunju;Shin, Dong Yoon;Sohn, Hong-Gyoo;Kim, Seongsa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4
    • /
    • pp.1221-1229
    • /
    • 2020
  • In urgent situations such as disasters and accidents, rapid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a rapid geocoding method according to EOP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 correction was proposed through pattern analysis of the initial UAV image information. As a result, in the research area with a total flight length of 1.3 km and a width of 0.102 ㎢, the generation time of geocoding images took about 5 to 10 seconds per image, showing a position error of about 8.51 m. It is believed that the use of the rapid geocoding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will help provide basic data for on-site monitoring and decision-making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disasters and accidents.

A Preliminary Study on Mobile Medical Unit for Emergency Medical System (응급 의료체계용 이동 의료단위에 대한 기초연구)

  • Yang, Minkyu;Lee, Young;Suh, Sangwo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8 no.6
    • /
    • pp.57-64
    • /
    • 2017
  • Recently, the disaster situation has been diversified and compounded worldwide as well as in Korea. And the damage scale of each disasters have increased, and following economic loss is also increasing immensely. In Korea, especially the out break frequency of large-scale disasters has increased. Disasters caused by earthquakes are also very likely to occur. When a major accident such as Mauna resort collapse accident, Ferry sewol sinking accident occurred, systematic emergency medical care at the site at the time of disaster occurred in order to operate an emergency medical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site, which is not systematic. The need for this service is urgent. If highly reliable emergency medical system function at appropriate times in the disaster site, secondary damage can be reduced and the whole situation would be back to normal shor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mergency medical system capable of quickly and safely responding to disaster sites in relation to various damage scale. For the purpose, thorough analysis on mobile medical units of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was accomplished. As a result, Mobile Medical Unit of outside the country are trailer type, tent type, container type etc. At home, these types have been studied and will be proposed early next year as a temporary solution. Here we introduce suitable types for our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