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주관방송사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alysis of Disaster News Frame of Host Broadcaster for Disaster Broadcasting Services : Focusing on Zika Virus News (국내 재난 주관방송사의 재난보도 프레임 분석 : 지카 바이러스 보도를 중심으로)

  • Choi, Mideum;Chung, He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7
    • /
    • pp.609-619
    • /
    • 2018
  •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are obliged to provide the disaster information quickly to protect the public from the disaster, and people can prepare the disaster. Especially, Korea Broadcasting System (KBS) has a duty to deliver disaster new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an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because it is designated as a host broadcaster for disaster broadcasting services in accordance with Article 43 of the Broadcasting Act. This study examined how the KBS deals with social disaster news related to Zika virus, and evaluated whether they used the frames in a timely manner to help people prepare a disas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measure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disaster news report.

재난 방송 시스템 구성 및 활용 현황

  • Gyeong, Il-S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0
    • /
    • pp.57-62
    • /
    • 2014
  • 재난 발생이 예상되거나 발행한 경우, 신속하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면, 효과적으로 재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KBS는 재난 방송 및 재난 경보방송 주관방송사로서 방송을 이용하여 전국적 및 국지적으로 재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KBS가 수행하고 있는 통합 디지털 재난 방송시스템과 그 활용 현황을 중심으로 하여, 재난 방송과 재난 경보방송의 개념, DMB 재난 경보방송, KBS가 구축한 통합 디지털 재난 방송 시스템의 상세 구성과 활용, 그리고 DTV 긴급경보 전송시스템에 대하여 알아본다.

The Disaster Broadcasting System of KBS (KBS 재난방송 시스템)

  • Kyung, Il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159-161
    • /
    • 2015
  • 재난 발생이 예상되거나 발행한 경우, 신속하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면, 효과적으로 재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KBS는 재난 방송 및 재난 경보방송 주관방송사로서 방송을 이용하여 전국적 및 국지적으로 재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KBS가 수행하고 있는 통합 디지털 재난 방송 시스템과 그 활용 현황을 중심으로 하여, 재난 방송과 재난 경보방송의 개념, KBS가 구축한 통합 디지털 재난 방송 시스템의 구성과 활용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Build an Automated KBS Disaster Subtitles Broadcasting System (신속·정확한 재난방송을 위한 자동화 된 KBS 재난자막 방송 시스템 구축)

  • Choi, Minyoung;Im, Uigyo;Shin, Jongseob;Koh, Ujong;Lee, SeungHo;Kim, Se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11a
    • /
    • pp.114-118
    • /
    • 2019
  • 지구 온난화의 영향 등으로 해외 및 국내의 재난 재해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와 비례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 규모도 높아지고 있다. 재난방송은 예상되는 재난 등의 위험을 미리 알림으로써 재난 등에 적극적으로 대비하여, 생명과 재산을 재난으로부터 지키게 하므로 그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KBS는 재난방송 주관방송사로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보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재난을 실시간으로 통보할 수 있는 재난자막 자동화 송출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다.

  • PDF

Comparison of Public Warning between NHK and KBS in Tohoku Earthquake (동일본 대지진에서 나타난 NHK와 KBS의 재난방송 비교)

  • Lee,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143-147
    • /
    • 2011
  • 3월11일 오후 2시46분경 일본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M. 9.0 규모의 동일본대지진이 발생해 수많은 희생자가 나왔다. 지진발생 후 쓰나미가 일어나 방사선이 대량으로 유출되는 등 일본사상 최대의 국가적인 복합재난이 일어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인들이 침착함을 잃지 않은 시민의식에 대해 세계 시민들은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우리나라도 국가적으로는 대형 재난발생 시를 대비하여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소방방재청, 기상청, KBS, 재난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가칭 "긴급재난방송협의회" 같은 것을 구성하여 긴밀하게 재난정보를 교환하는 유기적인 협력체제구성이 필요하다. 또, 나아가서는 이들 관련 부서에서는 재난방송 전담관을 두어 재난방송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정부도 KBS에 대해 대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하겠지만, KBS 또한 지금까지의 대응 자세에서 벗어나 "재난방송의 선진화"를 위해 재난방송시스템을 새로 구축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KBS는 NHK의 지상파방송과 같이 KBS 위상에 걸 맞는 재난방송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디지털시대에 있어서의 뉴 미디어를 이용하여 DMB나 스마트 폰, SNS 등을 이용한 각종 재난경보체제를 선도해야 할 재난주관방송사로서의 의무가 있다. 그것이 곧 공영방송의 본연의 임무이자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는 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