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복구

Search Result 27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isaster Recovery for Information System - Realtime Disaster Recovery Services Case of Comdisco, Inc. - (정보시스템에 대한 재난복구 - Comdisco사의 실시간 재난복구서비스 사례 -)

  • 김기윤;나관식
    • Review of KIISC
    • /
    • v.6 no.1
    • /
    • pp.103-116
    • /
    • 1996
  • 재난에 관한 내용적 연구로서 실시간 재난복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과, 과정적 연구로서 재난복구를 위한 위기관리모형을 설명한다. 또한, 정보시스템의 재난복구전략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특히 Comdisco사의 실시간 재난복구서비스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What's the Disaster Recovery? Types and Preimpact Plan of Recovery (재난복구의 유형과 사전 계획에 대한 이론적 고찰: 미국의 재난복구를 중심으로)

  • Lee, Jae-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0
    • /
    • pp.267-27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types of recovery activities and the major contents of preimpact recovery plan through theoretical review. Disaster recovery is to provide immediate support during the early recovery period necessary to return vital life support systems to minimum operation levels, and continuing to provide support until the community returns to normal. Disaster researchers distinguished 4 types in recovering from disaster as follows; an emergency period, a restoration period, a reconstruction period, and a developmental reconstruction period. And recovery measures are both short-term and long-term. Short-term measures are relief and rehabilitation and long-term measures include reconstruction. Finally, to design a preimpact recovery plan, we should define a disaster recovery organization that includes major stakeholders, identify the location of temporary housing, determine how to perform essential tasks, address the licensing and monitoring of contractors and retail price controls to ensure victims are not exploited, determine how recovery tasks will be carried out at historical sites, and recognize the recovery period as a unique time to enact policies for hazard mitigation and incorporate this objecive into the recovery planning process.

A Study on the Establish and Operating Plan of Reserve Components Emergency Response Forces (재난상황 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 창설 및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 Seo, SeungB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1
    • /
    • pp.9-16
    • /
    • 2018
  • In the event of a disaster, we need people who specialize in rapid regional disaster recovery. However, in the present disaster response system, disaster relief is carried out at the level of public support, volunteer service, etc.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initial response due to lack of expertise, delays in disaster recovery, and inadequate response to disas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unit with early ability to respond to local governments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expertise to enable rapid disaster recovery. Therefore, this study limited the preparation of the reserve forces emergency response units for the direction of local security, disaster relief and disaster relief through emergency disaster recovery under the disaster situation.

통신재난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DCS 전송망의 생존도 평가

  • 박구현;신용식;남택승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7.04a
    • /
    • pp.66-71
    • /
    • 1997
  • 생존 트래픽 비율로만 정의되는 기존의 생존도는 통신 재난시 트래픽의 상대적 중 요도와 복구기간에 대한 생존도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트래픽의 상대적 중요도 에 따라 트래픽을 복구함으로써 재난의 사회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복구기간을 반영하는 새 로운 평가척도로서 재난영향 평가척도를 제시한다. DCS 전송망에 대해 제시한 재난 영향 평가척도 및 기존의 생존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통신재난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다. 통신재난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1]은 장애발생, 복구방법 및 복구과정 관련 시나리오등으로 구성되므로 DCS 전송망에 대한 생존도 계산이 가능하다. 통신재난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송망에 대해 얻은 재난영향 평가척도 결과 및 기존 생존도 결과를 비교 하였다.

  • PDF

Trends of ITU-T Standard Activities about ETS/TDR (ITU-T의 비상통신 관련기술 표준화 동향)

  • Kim, S.W.;Kim, S.Y.;Lee, K.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5 s.89
    • /
    • pp.150-158
    • /
    • 2004
  • 재난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되고 있다.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네트워크는 모든 경제활동의 근간이 되어 있으며, 재난이 발생하면 재난복구 및 구난 활동 등에 통신기능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진다. 특히 통신 장애를 일으키는 통신재난이 발생하면 그 파급효과는 빠르고 넓게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본 고에서는 통신망을 이용한 비상통신서비스, 재난복구 및 구난활동 등을 위한 ITU-T의 관련기술 표준화 동향을 살펴본다.

Analysis of Quantitative Damage Characteristics Using Drought Damage (가뭄피해를 이용한 정량적 피해특성 분석)

  • Song, Young Seok;Lee, Hyeong Jun;Park, Moo 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42-342
    • /
    • 2021
  • 전세계적의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으로 기온상승, 강우증가, 해수면 상승 등에 자연재난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가뭄의 경우 전조증상, 발생원인, 발생기간 뿐만 아니라 대상범위나 피해범위도 불명확하다. 가뭄은 근본적으로 강우량의 부족으로 시작되며 농업, 생활, 공업 등의 전반적인 피해를 발생시킨다. 최근에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기온증가, 해수면상승, 극한호우, 메가가뭄 등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자연재난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가뭄은 태풍, 홍수, 지진 등의 자연재난 중에서도 가장 광범위한 피해를 유발시키는 재난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에서는 20세기의 관측된 가장 심각한 자연재난 중 하나로 가뭄이 선정되었으며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및 강수의 증가는 가뭄피해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피해가 급증할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생활·공업 가뭄에 대하여 피해액과 복구액에 대한 정량적 피해특성을 산정할 수 있는 추정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농업·생활·공업 가뭄에 대한 피해액은 다양한 인자들을 고려하며 매년 변화하는 물가를 반영하여 피해액의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복구액은 가뭄피해발생으로 발생될 수 있는 농업·생활·공업의 특성에 맞는 복구인자를 구성하였으며 피해에 대한 복구뿐만 아니라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인자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농업·생활·공업 가뭄의 피해액 추정식의 경우 정량적 검증을 위해 1965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서 발생된 가뭄피해와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 PDF

가스소식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가스 재난·재해예방 복구반 전국 소운영위원회 편성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99
    • /
    • pp.82-86
    • /
    • 2015
  • 가스사고 발생 시 소방서 및 한국가스안전공사가 응급대처를 하고 있다. 그러나 가스시설을 시공한 가스 시공업계는 가스설비에 대하여 기술적으로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유관기관과의 적극적인 협조 속에 가스사고 재해복구 및 가스 설비의 응급조치를 신속히 한다면 제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에 정부가 국가적 재난과 재해예방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함에 따라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는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협회 홍보는 물론 위상강화에 기여코자 지난 5월 22일 가스 재난 재해예방 복구반 소운영위원회를 전국 시 도회에 설치했다.

  • PDF

Measures to Strengthen Disaster Response Capacity to Minimize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heavy rain, etc.) (자연재해(폭우 등)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재난대응역량 강화 방안)

  • Choi, Suk-Chan;Choi, Jong-Youb;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73-274
    • /
    • 2022
  • 최근 불안정한 기후로 대규모 재해재난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인적·물적피해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단적인 예로 경북 포항 지하주차장 침수 피해 및 포항제철소 고로 3기 가동 중단은 기록적인 폭우와 만조와 겹친 냉천의 범람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하지만 사전에 충분한 예방, 대비를 했더라면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로부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할 책무를 지고, 각종 사고를 예방하고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재해경감을 위해 예방, 대비, 대응, 복구에 대한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경북 포항 침수피해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 차원에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재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개선하는데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Support System for Disaster Damage Recovery of SOC Facility (웹기반 SOC 시설물 재난피해복구지원시스템 설계 및 구현)

  • Yoon, Hyuk-Jin;Lee, Keum-Tark;Kim, Joo-Sung;Chang, Tai-Wo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4
    • /
    • pp.227-239
    • /
    • 2015
  • To decrease the damage of infrastructure from the natural disaster, initial reaction and emergent recovery are important. But up to now emergent recovery has mainly focused on the situation notices owing to the lack of technical support. In this paper, we described a web-based support system for disaster damage recovery of facility and electronic documents for requesting support of recovery resources. Recovery methods are decided using the damage recovery scenarios based on the acquired damage information, and the allocated recovery resources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recovery resources owner using the electronic documents. This system could readily be used for disaster response and emergency recovery.

Study on Earthquake Hazard Response Process by 'Pohang Earthquake' Case Analysis (포항지진사례 분석을 통한 지진재난 대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Kang, Hyeong Gu;Park, Ki-Jong;Kim, Hye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
    • /
    • pp.561-571
    • /
    • 2021
  • The 2017 Pohang earthquake left us with issues related to long-term repair and restoration from massive earthquake damage. The existing Earthquake response manual was insufficient to consider the flow of earthquake disaster work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ng-lasting earthquake disaster.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analyze and record how to earthquake response work was carried out during the Pohang earthquake. The functions that require the most work and manpower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disaster were emergency life stabilization support, facility emergency recovery, and energy functional restor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disaster response by function, it was found that the prevention and preparation for damage in advance was insufficient for each function. In conclusion, we subdivided the response step applied with the concept of time and presented the overall work flow process for thirteen collaboration func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ill help disaster managers to work effectively in the event of a large scale earthqu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