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문자방송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BS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Service based on Cellular Networks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CBS 재난문자방송 서비스)

  • Chang, Sekchin;Choi, Sung 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160-161
    • /
    • 2011
  • 최근 IT 기술의 발전으로 TV, DMB,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한 효율적인 재난문자방송 서비스가 국내외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망은 지역단위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진, 해일 등의 심각한 재난이 예상되는 지역에 신속한 경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준다. 국내에서는 이미 2G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대국민 재난문자방송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국내외적으로 3G/4G 이동통신망 서비스가 본격화 되었으며, 이에 맞는 재난문자방송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재난문자방송 서비스인 CBS의 국내외 동향과 표준안 등을 소개하며, 국내 CBS의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Cellular Broadcast Service Based on NB-IoT (NB-IoT 기반의 재난문자 서비스)

  • Byun, Yoon-Kwan;Chang, Sekc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481-482
    • /
    • 2020
  • 다양한 재난경보 전달 매체 중 재난문자 서비스는 재난 발생 시 재난 지역과 관련된 대국민 대상으로 재난경보를 빠르고 신뢰성 있게 전송할 수 있는 보편 매체이다. 현재 국내 재난문자 서비스는 2G/4G 셀룰러 환경에서 셀룰러 이동 단말기에 재난문자를 전송한다. 특히 4G 이상의 셀룰러 시스템은 재난문자 전송을 위하여 SIB를 이용한다. 그러나 현 재난문자 서비스는 셀룰러 이동 단말기만 수신이 가능한 한계를 보인다. 재난경보 수신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수신 단말기의 재난문자 서비스 지원이 필수적이다. 현재 NB-IoT는 4G 셀룰러 환경을 기반으로 광범위한 지역에 저전력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NB-IoT가 재난문자 수신을 위하여 필요한 프로토콜 규격과 NB-IoT 기반의 재난문자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다.

  • PDF

An App Method for Image-Display in Korean Public Alert System (재난문자서비스를 위한 이미지 표출 앱 기법)

  • Byun, Yoon-Kwan;Chang, Sekc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2
    • /
    • 2021
  • 재난문자서비스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셀 안의 모든 가입자에게 재난경보 메시지를 신속하게 전달한다. 국내 재난문자서비스는 2G 와 4G 이동통신망에서 재난경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5G SA 망에서 고도화된 재난문자 서비스를 계획 중에 있다. 그러나 현 재난문자서비스는 제한된 글자 수의 국내문자 메시지만을 전송한다. 따라서 외국인 등 취약 계층에게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일본의 재난문자서비스는 번역 앱을 이용하여 외국인에게 번역된 재난문자 메시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번역 서비스는 오역 등의 위험을 내포한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 등이 직관적으로 이해 가능한 이미지 등을 표출하는 앱 방식을 소개한다. 재난문자서비스와 이미지 표출 앱의 연계를 통하여 외국인 등 취약 계층에게 효율적인 재난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User Awareness of Korean Public Alert System (재난문자 이용자 인식조사)

  • Lee, Hyun-Ji;Byun, Yoon-Kwan;Chang, Sek-chin;Choi,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8-9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재난문자에 대한 이용자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용자 인식조사는 재난 발생 시 주 이용매체, 재난문자 길이, 재난문자 수신 량, 재난문자 내용 만족/불만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주로 이용하는 매체는 휴대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현 재난문자의 길이(90자)가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재난문자의 수신 량은 많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재난문자 내용에 불만족하는 이유로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을 받는 것'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trend of Wireless Emergency Alert in USA (미국 재난문자방송(WEA) 동향)

  • Byun, Yoonkwan;Lee, Hyunjee;Choi,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204-20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미국 재난문자방송 서비스인 WEA의 개선 사항 중 지역맞춤형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서술한다. WEA에서 정의하는 지역맞춤 서비스, 이를 위한 미국 연방 규칙에 대해 서술한다.

  • PDF

Many-to-One Communications for Cell Broadcast Service Based on Geo-Targeting (지역 맞춤 기반의 긴급 재난문자 서비스를 위한 다대일 통신)

  • Byun, Yoon-Kwan;Lee, Hyunji;Chang, Sekchin;Choi, Seong Jong;Py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5-7
    • /
    • 2020
  • 재난문자 전송은 기지국에서 다수의 단말기로 재난문자를 전달하는 단방향 프로토콜인 CBS 긴급 재난문자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 CBS 전송 기법은 일대다(One-to-Many) 방식을 이용한다. 현 CBS 프로토콜은 일종의 방송 방식으로 기지국은 긴급재난문자를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어떠한 확인 메시지도 전달받지 못한다. 그러나 재난관리기관은 효율적인 재난 대응을 위하여 재난지역의 재난문자 수신자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전달받을 필요가 있다. 즉 CBS 재난문자를 수신한 단말기들로부터 재난관리기관 서버로 CBS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는 방식으로 유용한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방식을 위해 다대일(many-to-one) 통신 기법이 고려된다.

  • PDF

Service Requirements for UHD Disaster Alert Broadcasting via Public Media (공공미디어를 통한 UHD 재난경보방송 서비스 요구사항)

  • Kwak, Chunsub;Lee, Ma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80-281
    • /
    • 2018
  • 2017년 UHD 본방송을 시작한 후 ESG, TIVIVA와 같은 부가서비스들이 지속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최근에 UHD 재난경보방송 도입 논의가 시작되었고, 서비스 방향을 TV에서 공공미디어로 확대하는 방안에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재난경보방송의 대상이 TV가 아닌 다른 유형의 수신기들로 달라지면 서비스 시나리오도 달라진다. 기존의 아날로그 TV재난방송은 TV 화면에 자막으로 재난 문자가 표출되었고, DMB 재난경보방송은 내비게이션에서 알람음을 동반한 팝업창에 문자 메시지 형태로 표출되었다. UHD 재난경보방송 서비스가 공공미디어로 확장되기 위해서 역시 새로운 서비스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미디어를 통한 UHD 재난경보방송의 서비스 요구사항에 있어 3가지 연구 과제를 점화하고 있다. 우선 기존과 다른 재난 정보전달 서비스인 만큼 공공미디어를 통한 재난경보방송의 서비스 성격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공미디어 수신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메시지 형식이 연구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미디어를 통한 재난경보방송 시스템과 솔루션의 원격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and Secnario Definition for Verification of 5G-based Cell Broadcast Service (5G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검증을 위한 성능 분석 및 시나리오 정의에 관한 연구)

  • Kim, Heekwang;Yang, Jinyoung;Kim, Jim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294-1296
    • /
    • 2022
  • 최근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재난문자 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LTE 기반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는 한정된 자원으로 인해 시스템의 한계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5G 이동 통신 서비스 기반의 긴급재난 문자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5G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송출권역 구분, 재난문자 길이, 다국어 지원에 대해서 시험한 결과를 분석하고, 5G 환경에서 고도화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검증하기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정의한다.

  • PDF

Requirement for Verification of Domestic 5G Based Emergency Alert Text Message Service by Analyzing Overseas Emergency Alert Service Test Environment (해외 재난경보서비스 검증 환경 분석을 통한 국내 5G 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검증 요구사항 정의)

  • Yang, Jinyoung;Kim, Heekwang;Kwon,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6-119
    • /
    • 2021
  • 국내 이동통신은 4 세대(4G)에서 5 세대(5G)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으며 행정안전부는 기존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5G 망으로 고도화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재난문자 길이의 확장, 송출 지역 세분화, 외국어 문자 지원 등을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에 포함하기 위해 국내외 표준화와 검증 시스템 구축이 준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5G 망으로 고도화된 긴급재난문자를 서비스하기 위해 요구되는 검증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검증할 리빙랩이 구축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Analyzing the Impact Factors of Cell Broadcast Service Considering Socially Vulnerable Groups - Focus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General Population (사회적 취약계층을 고려한 재난방송문자 서비스 영향 요인 분석 - 고령자와 일반인 그룹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Keunoh Par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2
    • /
    • pp.383-394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focuses on improvements in cell broadcast service(CBS) with consideration of socially vulnerable groups, and identifies service factors necessary for elderly people in particular. Method :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est overall satisfaction with cell broadcast servic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each of the service factor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Result : The results showed that fast delivery had the greatest effect on overall satisfaction with cell broadcast service in both groups, followed by the delivery of sufficient content for the elderly group and system quality for the non-elderly group.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lderly group cared more about information content, while the non-elderly group considered functions such as system quality and text message transmission criteria more important. Conclusion : Elderly people consider the delivery of sufficient information important as well as fast delivery, whi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when sending cell broadcast service to give consider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as they tend to have weaker understanding and thinking abilities than the non-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