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관리 수행과정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Process Applying the Military Operation Process: Focusing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Basic Safety Management Plan (군(軍)의 '작전수행과정'을 적용한 효과적인 '재난관리 수행과정'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안전관리기본계획' 수립 과정을 중심으로)

  • WooSup Yoon;YoungSeok Kw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20 no.2
    • /
    • pp.398-410
    • /
    • 2024
  • Purpose: It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overall 'disaster management implementation process' (tentative name)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ffective 'safety management plan'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ethod: To this end, prior research on the 'safety management plan' was reviewed to derive common problems,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as suggested by incorporating the 'disaster management execution process' (tentative name)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with the military's 'operational execution process'. Result: Common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can be supplemented through the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process' (tentative name) presented by this researcher. Conclusion: Through the "disaster management implementation process" (tentative name), the government's basic ideology of disaster management can be finally achieved, "confirming that it is a basic mission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nd allowing the people to live in a society that is safe from disasters."

Conformance Study for BCMS Change Management Operations - Focus on ISO 22301 and ISO 45001 Requirements - (BCMS 변경관리 운용에 대한 적합성 연구 - ISO 22301과 ISO 45001 중심으로 -)

  • Kang, Shin-Woo;Kim, Duck-H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65-166
    • /
    • 2023
  • BCMS의 변경관리에 대한 요구사항은 ISO 22301 구성체계의 기획단계인 6.3 변경의 기획에서 수행하고, 기업재난관리표준 구성체계에서 기획단계인 3.5.5 문서화된 정보에서 수행하도록 규정하였으며, 이는 모두가 P-D-C-A 운용 모델의 Plan 단계에 해당된다. 이러한 구성체계는 BCP를 최초에 수립하는 단계에서는 적합하지만, BCP가 수립(제정)되어 운용단계에서 발생되는 변경사항을 처리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이 도출된다. 따라서 재난 및 안전관리 분야에 해당하는 유사제도의 요구사항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개선방안을 연구결과로 제시하고자 한다. BCP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완사항은 변경관리 절차에 포함하지 않고, BCP가 수립되어 운용단계에서 발생되는 변경사항만 변경관리 절차에 포함하여 관리하며, P-D-C-A 운용 모델의 Act 단계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 PDF

Development of Terminology Construction Tool for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haring (재난안전정보 공유를 위한 용어사전 구축도구 개발)

  • Kim, Tae-Young;Yang, Joogsik;Oh, Hyo J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46-549
    • /
    • 2018
  • 다양한 재난안전 유관기관으로부터 생산 및 관리되는 재난안전정보는 공유를 통해 재난관리업무를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재난안전정보 공유를 위해서는 우선 재난안전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표준화 및 체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다양한 분야에서 축척된 용어들을 모두 종합 검토하고 형상 관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축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정보 용어사전 구축도구를 통해 재난안전 분야의 용어를 입력하고 정제 및 검토하는 과정을 통하여 용어 표준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개발된 구축도구는 웹 기반 다중접속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고, 하나의 표제어에 다양한 정의문이 할당되는 일대다 관계로 용어사전을 관리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혼재되어 있는 정의문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는 개발된 구축도구를 활용하여 재난안전정보 용어사전을 구축 중에 있으며, 차후 구축된 용어사전을 재난안전 분야 실무자 및 일반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용도구 구축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 PDF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Analysis of disaster-accident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재난사고정보 분석)

  • Ahn, Jaehwang;Choi, Youngje;Lee, Inhwa;Chae, Heecha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6-106
    • /
    • 2017
  • 우리나라는 현재 재난의 유형을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재난 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단일재난으로 인한 피해보다 자연재난이 발생한 이후 사회재난으로 재난이 전파되는 복합재난의 형태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복합재난은 단일 재난에 의한 피해(인적, 물적) 보다 크게 나타나고 복합재난의 발생원인 및 전파과정을 분석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동시에 재난상호간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과거 재난사고정보를 분석하는 연구는 일반적인 통계기법을 활용한 분석에 머물러 있으며 수집된 재난사고사례가 많지 않아 분석에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잡하게 나타나는 재난 사고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법을 연구에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첫째로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하고 여타 연구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술을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로 수집가능 한 재난사고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모형에 적용가능 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셋째로 변환된 재난사고정보를 대표적인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재난사고정보 분석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형의 신뢰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적용가능 하며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최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tandard Code Systematization of Disas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for Earthguakes, Fires and Fine Dusts (지진·화재·미세먼지에 대한 재난환경 정보 데이터의 표준 코드 체계화 연구)

  • LEE, Yongsoo;Ryu, Sanghun;Ko, Hyun-A;Jeong, Insu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12
    • /
    • pp.27-32
    • /
    • 2019
  • Disaster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andardization and harmonization simplifies the process of disaster management (prevention,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isaster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people's life and property damage. Disaster safety standardization is to standardiz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in the past to respond to an uncertain future and systematically manage disaster safety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ed a standard code system to utiliz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uch as earthquake, fire, and fine dust, which are of social interest among various and complex environmental disasters. It aims to support practitioners to conduct efficient disaster tasks in the event of a disaster.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of Earthquake Disaster Safety Management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국가산업단지 지진재난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 Song, Chang Young;Lee, Dae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3 no.3
    • /
    • pp.1-1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earthquake disaster safety management in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and to suggest improvement counter-measure. Literature review for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Korea Industrial Complex Corporation and interview with practitioners was conducted. and Seismic design applic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28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In order to improve Earthquake Disaster Safety Management, Counter-measures were suggested such as the reinforcement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Seismic. It is expected that the improvement counter-measure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policy-making data for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in the future.

Disaster Analysis and uGIS Process through the Drone(UAV) Systems (드론(UAV)에 의한 재난분석 및 uGIS 프로세스)

  • Oh, J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32-23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무인기(UAV)를 활용하여 재난현장을 분석하고 uGIS기법에 의한 처리방안에 대하여 제시한다. 무인기는 군사적인 용도로 개발되면서부터 급속한 민간의 활용으로 확산되면서 소형에서 대형까지 매우 다양한 시스템으로 수 많은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무인기는 재난재해의 현장에 어떠한 수단보다도 원활하고 신속 정확한 분석과 모니터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uGIS기법에 의한 실시간 현장영상의 제공과 현장의 변화관리를 지속가능하게 공중을 나르는 로봇형 공간정보의 한 기술로서 자료의 전송, 보존 및 관리와 운영을 할 수 있다는 새로운 uIT분야의 하일라이트로서 크게 부각되어, 향후에도 무한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을 견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여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Utilization Plan of Lexical Resources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Current Status Analysis (재난안전정보 관리를 위한 어휘자원 현황분석 및 활용방안)

  • Jeong, Him-Chan;Kim, Tae-Young;Kim, Yong;Oh, Hyo-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4 no.2
    • /
    • pp.137-158
    • /
    • 2017
  • Disaster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lives of the people, the body, and the property. For effective and rapid disaster responses, coordination process based on sharing and utilizing disaster information is the essential requirement Disaster and safety control agencies produce and manage heterogeneous information. They also develop and use word dictionaries individually. This is a major obstacle to retrieve and access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in terms of practitioners. To solve this problem, standardization of lexical resources related disaster and safety is essentially required. In this paper, we conducted current status analysis about lexical resources in disaster and safety domain. Consequently,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exical groups. And then we proposed the utilization plan of lexical resources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The Study on Local Government's Disaster Safety Governance us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방정부 재난안전 거버넌스 -서울시를 중심으로-)

  • Kim, Young-m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
    • /
    • pp.61-67
    • /
    • 2017
  • In order to establish and operate a rapid and effectiv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in an emergency situation that threatens the safety of citizens, such as disaster, accident or terrorism, appropriate responses are necessary. An integrated task execution system for rapid response and restoration should be implemented not only by the central ministries related to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but also by local governments, NGO, and individuals, under clear role sharing. In the case of Seoul city, it is urgent to establish an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disasters, because of the increasing possibility of natural disasters due to climate change, the threat of terrorism, urban decay and the industrial acci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ance, this study tried to seek out countermeasures such as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command system at disaster site centering on Seoul city government interdepartmental organization system, implementation process and systematization of response proced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