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애 및 비장애 어린이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통합놀이터 계획 및 설계 - 서울어린이대공원 내 꿈틀꿈틀놀이터를 대상으로 - (A Case Study of Kkumtle-Kkumtle Playground in Seoul Children's Grand Park)

  • 이영범;배융호;맹기돈;김연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01-108
    • /
    • 2017
  • 본 연구는 놀이터의 양적, 질적 발전은 이루고 있으나, 장애어린이들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는 문제 인식에서 시작했고, 대안으로써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을 추구하는 통합놀이터를 제시했다. 이론연구와 장애어린이들의 놀이와 직접적 관련을 갖는 여러 주체들과의 면담을 종합해 통합놀이터에 대한 개념을 정립했고, 사례로써 2015년 12월에 완공된 서울어린이대공원 내 꿈틀꿈틀놀이터의 조성과정을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 정립한 통합놀이터의 개념은 '1. 장애인용 놀이터가 아닌 장애어린이와 비장애어린이가 함께 놀 수 있는 놀이터, 2. 장애어린이뿐만 아니라, 장애어린이와 동행한 가족, 비장애어린이와 동행한 장애인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터, 3. 놀이시설을 포함해 전체 공간에 대한 장애인의 접근을 보장하는 놀이터, 4. 놀이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재미, 호기심, 모험심을 놀이 활동의 중심에 두는 놀이터'이다. 결론에서는 설계에 있어서의 한계와 개선 방안, 사회적 확산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했다. 설계에 있어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개선방안은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장애 형태별 놀이 특성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다양한 사회적 실험을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시설물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본 연구에서 시설물 중심의 통합놀이터가 제시되었다고 한다면 이후에는 다양한 형태로 통합놀이터가 구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책적 제안은 세 가지로 '1. 여러 관련법 간의 상충 해결, 2. 장애어린이들의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의 안전 기준 재검토, 3. 통합놀이터 설치의 의무화'이다.

어린이병원 외래진료부 이용자의 대기 및 휴게행태 연구 - 장애 및 비장애 어린이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Waiting and Resting Behaviors of Children in the Outpatient Clinic of a Children's Hospital -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

  • 조민정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3권12호
    • /
    • pp.41-52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aiting and res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in a restorative healthcare facility design. In particular, the aim is to compare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reve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uses of design facilities, related to positive distraction, for restoration in the hospital. Three major common spaces for outpatients in S children's hospital in Seoul were examined including the main lobby and two waiting and resting spaces in the pediatric and rehabilitation medicine departments, respectively. A total of 155 children under the age of 12-67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88 without-were observed while they waited and rested at the three spaces before or after doctors' examination. Basic demographic information and waiting and res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sabled children were more restricted in terms of space, facilities used, and social behaviors. However, regardless of disabilities, the children showed more positive distractions related to cognitive and social behaviors in areas where restorative design elements such as an aquarium, garden, or visual images were available. Based on the results, design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strengthen positive distrac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to foster the restorative quality of the spaces for waiting and resting in the children's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