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식화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1초

아르누보의 장식화 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namental Space in Art Nouveau Style)

  • 김성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56-63
    • /
    • 2005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ornamental space in Art-Nouveau style which was made up the ornamental aspect and spatial aspect. So that It is needed to classify the ornamental space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way of construction; pictorial composition, non-objective composition and organic construction. To find the meaning of these ornamental spaces, works of Art-Nouveau are analyzed into ornament and space, in result we know that process of integration, relativity of ornament as a part and forms of expression in ornamental space have some regulation; use of natural motive, repetition of image and organic combination. Whereas the ornamental space in Art-Nouveau style has comprehensive capacity between antagonistic relations just like tradition and new mechanism, the space could receive a lot of different ideas and express these ideas as ornaments. Although the ornamental space also had weak points which were the lack of transformation and the difficulties of the application of other design due to the perfection itself, we could create new space which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times, if we develop and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ornamental space under the principles of dialectic.

궁중 장식화의 채색 분석과 장황 고찰 (A study in pigment analysis and original mounting of the decorative painting at court)

  • 안지윤;김수연;천주현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53
    • /
    • 2014
  • 궁중장식화는 궁궐의 안팎을 장식했던 것으로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는 왕의 권위와 수복을 기원하여 제작된 대표적인 궁중장식화 이다. 그러나 현존하는 일월오악도와 해반도도 중 19세기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명확한 제작시기와 배설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 공개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는 보존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그 제작시기와 배설위치 그리고 제작기법 등을 확인하게 된 것으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복원과정에서 확인한 2곡병 형태의 양면 장황과 장자문의 귀갑창은 지금까지 궁중장식화에서 보고되지 않았던 첫 연구 사례이다. 또 원형 장황 복원에 의한 실측과 현존하는 궁궐 건축물의 대조 그리고 의궤 자료의 조사 등으로 창경궁영건도감의궤(1834년)에 기록된 함인정에 배설되었던 것임을 밝혀냄으로 19세기 초반의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21세기 고령화세대 복지산업 활성화를 위한 신변장식용품 디자인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onal belongings design management strategy of the revitalize for 21st century of the aged generation welfare industry)

  • 전현태;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321-326
    • /
    • 2012
  • 본 연구는 고령화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신변장식용품을 디자인연구와 발전 방안을 모색하여 신변장식용품산업을 활성화 시키고 고령화세대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한 정신적 복지개선을 위해 연구하였다. 정책보고서, 학회지, 단행본 등을 통하여 고령친화산업과 고령친화용품에 대해 조사한 결과 빠른 고령화진행, 베이비부머 세대의 고령화세대 편입, 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인하여 고령친화용품 관련 산업은 발전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책적인 법제도, 표준화 제정 및 기준마련이 부족하였고, 관련 R&D투자가 취약하여 전문인력이 부족한 현실이었다. 하지만, 이를 역으로 이용하면 수요자가 확실한 시장에서 니치마켓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디자인 및 다양한 연구를 한다면 고령화세대뿐만 아니라 국가경제적인 차원에서도 발전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후기 궁중 행사도의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에서 찾아 본 전통 꽃꽂이 양식 (Traditional Style of Flower Arrangement According to Diagram of Royal Protocol and Folding Scre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한상숙;이부영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1호
    • /
    • pp.61-92
    • /
    • 2019
  • 조선시대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등에서 꽃꽂이의 양식을 찾아보았다. 의궤의 도식과 도병에서는 국연(國宴)이 열리는 궁궐 정전(正殿) 중앙의 어좌(御座) 좌우를 장엄하는 선형, 둥근형, 타원형의 준화(樽花)을 확인, 음식 위를 장식하는 상화(床花), 관이나 모자 등을 장식하는 잠화(簪花), 화안(花案)이라고도 하며, 궁중 행사시 차일을 받쳤던 기둥장 식인 화가(花架) 등의 양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가는 초기에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1848년 무신진찬도병에서부터 나타나고 있다. 1795년 원행을 묘정리의궤와 화성능행도병에서는 테이블장식과 현대 공간장식으로 볼 수 있는 바닥공간장식과 어사화, 왕이 하사한 꽃을 지팡이에 묶은 꽃 장식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식성'의 반복적 출현에 대한 소고 : 순정만화와 타 장르(포스터, 일러스트, 서정화, 소조망가)를 중심으로 (Une etude sur la representation reepetative de la decorativite : autour du sounziang manwha et d'autres genres d'expression(affiche, illusatation, shojo manga))

  • 한상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2호
    • /
    • pp.44-55
    • /
    • 2007
  • 우리는 이 논문에서 '순정만화'라는 만화의 한 장르에서 관찰할 수 있는 시각적 특징들을 '장식성'으로 규정하면서 그 의미를 파악하려고 한다. 이 서사장르에 나타난 그래픽적인 특징은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며, 이미 존재해왔던 제반 표현 양식 속에서 그와 유사한 형식들을 발견할 수 있다. 물론 매체의 차이, 역사적 지역적 차이를 감안한다면 완전히 동일한 형식을 찾기는 불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이러한 유사성은 장식성이라는 간단해 보이는 명칭을 풍부하게 이해하는데 있어서, 나아가 이러한 장식성을 지니는 장르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 PDF

레이저 마킹 시스템을 이용한 Customizing 네일아트 디자인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ustomizing Nail Art Design Using Laser marking System)

  • 윤재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53-359
    • /
    • 2022
  •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접어들어서 차별화 된 라이프 스타일로 인간은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삶의 질이 향상 될수록 네일아트는 미용과 장신구 예술의 한 부분으로써 또 다른 예술 분야로 각 광 받고 있다. 또한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디지털시스템화 된 장식적 미용 네일 산업이 세계의 주요 산업의 자리 잡으면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장식 표현을 요구하는 조형미용 예술로 표현되고 있다.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디지털시스템화 된 장식적 미용 네일 산업이 세계의 주요산업의 자리 잡으면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장식 표현을 요구하는 조형미용 예술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스템 중 레이저 마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미지 각인 표현 방법으로 창의적인 뷰티산업과 장신구 네일아트가 대중화되기를 기대하며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새로운 표현 발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하, 청소년성문화센터 이명화 센터장 '성(性)은 밝고 아름다운 것'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 레드리본
    • /
    • 통권50호
    • /
    • pp.6-7
    • /
    • 2003
  • 빨간 마후라, 원조교제, 학교근처 화장실에서 아기를 낳는 여고생 등, 언론을 장식하는 청소년관련 사건들은 청소년성교육이 절실함을 깨닫게 한다. 서울시가 후원하고 YMCA가 운영하는 '아하, 청소년성문화센터'는 청소년의 성교육을 책임지고 있다. 센터의 살림을 꾸리며 밝고 아름다운 성(性)을 가르치고 있는 이명화 센터장을 만났다.

  • PDF

죽세장식타일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mboo Decorating Tiles)

  • 조규춘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7-126
    • /
    • 2001
  • 대나무의 시대적 사상 의미를 재분석하여 21C 문화산업 시대에 천연 소재로서 새로운 의미와 환경친화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대나무의 잠재유효성과 함께 미래 죽재산업과 죽세공예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죽매합판 및 대나무 모양지가 개발됨에 따라 지역 직능별 기술제휴로 시장 활성화를 꾀하고, 고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죽세장식타일을 개발하였다. 대나무 수종과 특성, 원자재 가공 및 표현 방법을 고찰하였고 급변하는 기술로 전통 기능과의 접목 표현상 기술(記述)적 오류를 재 규명하였으며, 죽재합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외 응용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죽세장식 타일은 대나무 모양지를 바탕으로 한 가구문(door)장식과 실내장식용으로 개발하였다. 문양 디자인은 한국 전통 문양으로 십장생의 장수, 새천년을 의미한 거북, 학, 사슴을 단순하게 패턴화하여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으며, 해, 산 시리즈는 대쪽의 바림 효과를 통한 빛살 이미지와 죽재질의 효과를 극대화했다. 卍 문양은 우주의 신비, 불교시찰 의미와 함께 전통 조각보완 칠교판 놀이, 아리랑 등의 이미지를 총합하여 한국 문양으로 장식성을 높였다. 죽세장식타일은 본 연구자의 20여 년 간 죽세가공 기술경험 축척과 담양 죽물공예단지 설비 및 가구 제작업체의 공조하에 이루어졌다. 현재 원자재 가공은 현지(담양) 설비를 이용하고 있으며, 시제품 개발과 함께 대학 내 디자인 벤처 '조선대방'에서 제작 납품하고 있다. 개발 제품은 가구 업체 주문에 의해 가구문에 장식되어 시판 중에 있다.

  • PDF

건조 자생식물 종별 꽃다발 이용 가능성 검토 (Study of Dried Korean Native Plants Using for Floral Clusters)

  • 손관화;권혜진
    • 화훼연구
    • /
    • 제16권4호
    • /
    • pp.266-274
    • /
    • 2008
  • 건조 후 장식용 꽃다발을 만들기 적합한 자생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충남 성환을 중심으로 지리산, 설악산, 제주도 등 한국의 여러 지역을 탐사하여 70여 종류의 식물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식물을 자연건조한 후, $22{\times}22{\times}37cm$ 포장상자에 맞는 사방형 핸드타이드 반구형 꽃다발로 상품가능성이 있는 식물은 37종류였다. 조사된 37종류의 식물 중 개밀, 새, 산조풀, 오리새, 피, 왕바랭이, 띠, 참억새, 억새, 큰쥐꼬리새, 수크령, 큰조아재비, 갈대, 포아풀,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나래새의 17종이 포함된 화본과 식물이 가장 많았고, 사철쑥, 인진쑥, 산쑥, 사자빌쑥, 물쑥, 감국, 각시취의 7종이 포함된 국화과 식물이 두 번째였으며, 그 외 냉이, 다닥냉이, 말냉이 3종이 포함된 십자화과와 배초향, 향유, 꽃향유의 3종이 포함된 꿀풀과가 세 번째였다. 선정된 37종류의 식물 중 꽃다발 상용가치가 높은 식물은 피, 띠, 큰쥐꼬리새, 큰조아재비,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사철쑥, 산쑥, 감국, 배초향, 향유, 꽃향유, 괭이사초, 순비기나무의 14가지였다. 꽃다발, 리스, 꽃꽂이 세 가지 장식물을 모두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식물을 조사, 수집하여 건조시킨 후 단일 식물 재료로, 꽃다발은 $22{\times}22{\times}37cm$의 포장상자에 들어갈 수 있는 반구형으로 제작하였고, 리스는 리스틀에 식물재료를 바짝 붙이는 기본형으로 $22{\times}22{\times}6cm$의 포장상지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꽃꽂이는 $22{\times}22{\times}22cm$ 포장상자에 들어 갈 수 있는 반구형으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식물 중 상품가능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갈대,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사철쑥, 산쑥, 감국, 향유, 꽃향유, 들깨풀, 순비기나무 등 10종류였다.

도금공정의 안전성평가

  • 박익철;이광원;박문희;이홍기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79-85
    • /
    • 2002
  • 도금이란 금속이나 비금속의 표면을 얇은 금속 막으로 밀착 피복 시켜 마무리하는 공정을 말한다. 이러한 도금은 제품에 내식성과 장식성, 기계적 강도 등을 주기 위한 목적에서 행해진다. 그러나 도금작업에서는 염산, 황산, 질산 등의 산성물질(Acid)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성 물질 및 시안화칼륨, 시안화나트륨 등의 시안화크롬화합물 이외에도 다수의 유해한 화학물질을 취급하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