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식물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唐诗中的唐人服饰

  • 杨忠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6
    • /
    • pp.217-226
    • /
    • 2003
  • 당시(唐詩)에는 당나라 사람들의 생활상이 많이 반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록들은 많은 부분에 있어서 역사서적의 내용과 일치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당시를 통하여 당나라의 제도 뿐만 아니라 당나라 사람들의 생활도 광범위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고에서 우리는 당시에서 언급되고 있는 당나라 사람들의 복식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들을 간략히 서술하기로 한다. 당대 초기에는 수나라 복제를 따랐으나, 태종(太宗)과 고종(高宗)을 거치면서 품급에 따라 복색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였으며, 여자들도 남편의 복색을 따랐다. 황색을 황제의 복색으로 한 것은 고종 총장 원년(668)에 시작되었다. 고종 상원(上元) 원년(674)에는 또 관원의 품급에 따라 색깔의 짙고 옅음을 엄격히 구분하였을 뿐만 아니라 요대의 장식물 재료에도 상세한 규정을 함으로써 신분의 차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구분하였다. 관복의 색깔로 등급의 차이를 구별한 외에도 5품 이상의 관원에게는 어부(魚符)를 담는 어대(魚袋)를 차고 다니게 함으로써 귀천을 분별하였고, 조정의 부름에 응하는 부신(符信)으로 삼았다. 어부는 물고기 모양으로 관등에 따라 금(金)·은(銀)·동(銅)으로 만들어 몸에 지니고 다녔다. 관원들은 갓의 모양으로도 귀천을 구분하였다. 귀족을 갓을 썼으나 평민은 쓰지 못하였고, 문관과 무관도 갓을 각기 달리하였다. 당시에는 또 여자들의 복식과 관련한 묘사도 상당히 보인다. 당나라 때의 여자들은 한(漢)나라 진(晋)나라 때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윗옷과 치마를 입었다. 치마는 가슴에서 동여매었고, 그 길이도 매우 길어 땅에 3촌(寸)까지 끌렸다. 여자들은 대개 상의(上衣) 밖에 이른바 반비(半臂)라는 반소매의 옷을 입었다. 본래는 궁녀들이 일하기 편리한 복장으로 입었는데, 후에 점차 여자들의 평상복이 되었다. 여자들의 눈썹과 머리형에 관해서도 당시에는 많이 묘사되고 있다. 여자들의 머리장식과 화장 그리고 몸의 각종 장식구에 대해서도 당시에는 상당히 언급되고 있다. 당나라 여자들의 복식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은 국내 소수민족 및 외국의 복식에 영향을 받아 "호복(胡服)"을 즐겨 입었다는 점이다. 이른바 "호복"은 서역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주변국들의 복장도 가리킨다. 여자들이 쓰는 모자와 신발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당나라 중원지역에는 "만화(蠻靴)"를 신는 여자들이 생겨났으며, 이것은 호복의 하나로 호화(胡靴)라고 칭하기도 하였다. 여자들의 미와 상대적인 자유에 대한 추구는 당시에 강렬히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당나라 여자들의 사상이 점차로 개방화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이러한 개방의 과정은 당나라 사회의 개방과 사상문화의 교류·진보와 밀접히 관련하는 것이다. 그래서 당나라 사람들의 복식에 대한 당시의 묘사는 우리가 당나라 사회와 사람들의 생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PDF

Interview - Continuing our exploration of architecture and beyond... "We want to continue to make good architecture." (인터뷰 - 건축, 그리고 그 너머 지속 탐구 "계속 좋은 건축 해 나가고파")

  • 육혜민
    • Korean Architects
    • /
    • s.660
    • /
    • pp.40-43
    • /
    • 2024
  • 월간 <건축사> 4월 호의 표지를 장식한 '차이커뮤니케이션 사옥'은 강남구 학동대로 뒤쪽에 있는 광고 회사의 사옥이다. 이 건축물은 여백과 절제를 통해 단순하면서도 정갈한 입면을 구현해 내어, 새롭고 오래된 건축물이 혼재된 강남구에서 그 자체로 심플하면서도 힘 있게 자리한다. 제한적인 대지 규모에서, 개개인의 창의성을 중요시한 오픈형 사무공간에 도시와 자연을 동시에 담아내 다양한 외부공간을 접하게 한 차이커뮤니케이션 사옥을 설계한 박일훈 건축사(반 건축사사무소), 지난 3월 12일, 그를 만나 건축적 목표 등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봤다.

  • PDF

A study in pigment analysis and original mounting of the decorative painting at court (궁중 장식화의 채색 분석과 장황 고찰)

  • Ahn, Ji Yoon;Kim, Soo Yeon;Cheon, Ju Hyu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0 no.1
    • /
    • pp.39-53
    • /
    • 2014
  • The decorative painting at court was practical and functional role by decorated the inside and outside of palace. Especially, the type of the Painting of sun, moon and five peaks and Heavenly peach were the one of representative decorative paintings, produced for authority of king and longevity wish. However, there are not clarify verification of production period and installation place in the Painting of sun, moon and five peaks and Heavenly peach, that made before $19^{th}$ century, in prese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meaning on find production period, installation place and techniques of paint through conservation scientific research of the Painting of sun, moon and five peaks and Heavenly peach that introduced the first time in National Museum of Korea. Double side paintings in two-panel folding screen style and tortoise shell shape of window is the first time research in the decorative painting at court. This study also explain that they were installed in Hamin Jeong from ChanggyeongGungyeonggeon Dogam Uigwe(1834) through research of the original measurement, contrast of palace in present and Uigwe record. It will be contributed to a study of the Painting of sun, moon and five peaks and Heavenly peach in the early $19^{th}$ century.

Study of Dried Korean Native Plants Using for Floral Clusters (건조 자생식물 종별 꽃다발 이용 가능성 검토)

  • Sohn, Kwanhwa;Kwon, Hye Jin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6 no.4
    • /
    • pp.266-274
    • /
    • 2008
  • Korean native plant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suitability to be used for floral clusters after drying. Floral clusters which were made in semi-sphere with a hand-tied method and can be fit in $22{\times}22{\times}37cm$ paper boxes were made with 37 species. Among 37 species, the 14 species which were easy to dry, to make floral clusters, and have not been used in other countries, were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Muhlenbergia huegelii, Phleum pratense, Setaria glauca, and Setaria viridis in Gramineae,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montana, and Chrysanthemum indicum in Compositae, Agastache rugosa, Elsholtzia ciliata, Elsholtzia splendens in Labiatae, Carex neurocarpa in Cyperaceae, and Vitex rotundifolia in Verbenaceae were used with leaves, flowers, and fruits. The suitable plants for a floral cluster in $22{\times}22{\times}37cm$ paper box, a wreath in $22{\times}22{\times}6cm$ paper box, and a flower arrangement in $22{\times}22{\times}22cm$ paper box, which were made to a set, were 10 species, that is Phragmites communis, Setaria glauca, Setaria viridis,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montana, Chrysanthemum indicum, Elsholtzia ciliata, Elsholtzia splendens, Mosla punctulata, and Vitex rotundifolia.

An Study on the Preparation of Fire Behavior of Fixed Combustibles for Fire Simulation in Building (건축물의 화재성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주요가연물 연소특성 DB 구축)

  • Seo, Yoon-Jeong;Kim, Dong-Eun;Hong, Hae-Ri;Hwang, Hyen-Bea;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73-76
    • /
    • 2011
  • 최근 건축물에서 공동주택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공동주택의 화재비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화재 시 인명 피해의 주원인인 가연물은 소재가 다양화되고 있으나 안정성 보다는 디자인, 기능성에 치중되어 그에 따른 화재 위험성도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보의 실내장식물에 이어 공동주택에서 많이 사용되어지는 적재가연물을 가연물 조사를 바탕으로 선정하여 Furniture Calorimeter를 이용해 그 연소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소파가 타 시료에 비해 화재 시 높은 위험성을 나타냈으며, 일본건축학회에 발표된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소파의 데이터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coration of Korean Celadon and Chinese Celadon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12~13세기 고려청자와 중국청자의 장식디자인 비교 연구)

  • Yue, kun;Ren, chuan;Kim, Hea-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3
    • /
    • pp.427-432
    • /
    • 2019
  • In the 12th century to the 13th century, was the heyday of celadon, Koryo celadon after experienced celadon firing technology of imitation to the peak period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 celadon, especially on decoration technology pioneered the self unique style, the way of engraving, $xi{\grave{a}}ngqi{\grave{a}}n$. During this period, the southern Song dynasty celadon in China also innovated in the mature celadon firing technology and became more distinctive. The decorative style also promoted the aesthetic interest of the Song dynasty. Celadon decoration is not only a decorative art of ceramic art, but also a representation of national cultural phenomenon with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art, play a more important role and value.

기능성 모직물의 특성변화

  • Heo, Young-Soo;Seo, Seung-Kyung;Gu,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88-192
    • /
    • 2003
  • 의복은 사람의 인체를 가려주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서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 더 나아가 장식용으로 그 용도가 변화해 왔다. 요즈음에는 시대에 맞게 그리고 사회 변화에 맞게 기능, 고기능, 초고기능이라는 단어를 붙여서 섬유에 기능성을 부여하게 되었다. 이러한 용어는 단순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술 발달로 인해 인간의 만족감을 채우기 위해서 자연스럽게 된 이유도 있겠지만, 사회 변화로 인해 불가피하게 그러한 기능들을 가질 수밖에 없고 또 꼭 필요하게 되어서 그러한 용어를 사용한다. (중략)

  • PDF

조경수의 해충-능소화를 가해하는 해충

  • 최광식
    • Landscaping Tree
    • /
    • s.105
    • /
    • pp.15-17
    • /
    • 2008
  • 7월이면 도심의 벽 울타리를 따라 화려하게 꽃으로 장식하며 우리의 마음을 한결 가볍게 해주는 능소화는 중국 원산으로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로 주로 중부 이남 지역에서 사찰의 관상용으로 식재하였으나 요즘은 전국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고,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식물이다. 특히 도심의 고건축물이나 휴식공간에 식재하면 나팔 모양의 꽃과 색상이 화려하면서 점잖고 기품이 있어 동양적인 아름다움을 함께 누릴 수 있는 나무이다. 또한 공해에도 비교적 강하기 때문에 도심의 정원수나, 조경수로 보급 가능하다. 해풍과 염기에 강하며 해안지역에서도 잘자라며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좋다. 이런 능소화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뒷노랑얼국나방과 미국흰불나방 등이 피해를 주고 있어 이들에 대한 생태 및 방제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불과민속 - 민가의 들보에서 화재를 막는 동물들

  • Jang, Jang-Sik
    • 방재와보험
    • /
    • s.119
    • /
    • pp.60-65
    • /
    • 2007
  • 흔히 문화는 상징이라 한다. 상징이란 무엇일까? 사전의 정의를 빌리자면 '추상적인 개념이나 사물을 구체적인 사물이나 표지 또는 기호로 나타낸 것' 이 상징이다. 바꿔 말하면 드러내고자 하는 것을 다른 것으로 바궈서 보여준다는 것이다. 물로 보여주는 대상이 인간 존재일 수도 있지만 민속문화에서는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비인간적인 존재이기 일쑤다. 예컨대 삿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사악한 것들, 질병을 옮겨 준다는 역귀들까지 그 대상이 된다. 이들은 비인간적 존재이면서 우리를 해코지하는 비정상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두려움과 회피의 대상이다. 상징을 통해 이들 존재를 피하고자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Yuyin ShanFang in China Lǐngnán Region (중국 영남지방 여음산방 원림의 특징에 관한 연구)

  • Shi, Shi-Jun;Ahn, Gye-Bo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3
    • /
    • pp.48-57
    • /
    • 2018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actual field materials and the ancient text of January 2017. First, Yuyin ShanFang is one of the famous garden in the Lingnan Region, and its total area is $1598m^2$. Wobin called the name 'Yuyin(餘蔭)' meaning the virtues of his ancestors. Second, if we analyze the poem written by Wobin, we can classify it as a phrase expressing the world beyond the future, a poem expressing the ideas of family and romantic ideas. Third, the space spread to the south around the shrine building in the middle of the site was largely a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ite's layout and spatial composition. Fourth, the spatial component of the hydronic acid is analyzed. The pavilion area is the Hanchwi-Pavilion, which is designated in the Wongrim, and Gyesang-Pavilion, which is a unique range that describes the peak of the garden. Fifth, Yuyin ShanFang has five ponds that are very diverse in shape. It is characteristic of us to stand on a technical boundary. Sixth, Seokgasan was referred to as Gyeongbansan, which was named after The builder Wobin and his descendants who passed it. Seventh, Hwachang is characterized by a wooden bull window and a compound glass. Eighth, the alumni style is not as diverse as the alumni style of the Suzhou traditional garden, but it features various forms and colorful pictures on the front of the alumni. Ninth, the one-piece sculptures of the interior of a building are expressed themes such as Gilsang, Sukjeong, Daoism, Palseom, and others. Finally, Trees planted in Yuyin ShanFang are mostly tropical plants, and some of them have symbolic meaning. Because the weather here is good for growing fruit, so planted a lot of fruit tr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