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스팬 철골프레임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6초

판폭두께비가 큰 휨부재의 부식발생에 따른 구조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Load-Carrying Capacity Loss due to Corrosion in Thin-Walled Section Steel Members)

  • 정경수;박만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619-626
    • /
    • 2009
  • 저층 장스팬 철골프레임에는 강재절감을 위해 휨모멘트 저항에 극대화한 판폭 두께비가 큰 단면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외부환경에 노출된 강부재는 수년간을 걸쳐 부식이 진행된다. 부식에 의한 단면결손에 따른 내력감소는 판폭두께비가 큰 부재의 경우가 판폭두께비가 작은 부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다. 또한, 부식에 의한 압축측 플랜지 및 웨브 판두께의 감소(판폭두께비 증가)에 의한 한계상태 영역이 변경될 여지도 있다. 본 논문에서, 국내 장스팬 철골프레임을 대상으로 판폭두께비가 큰 단면에 대해서 부식진행정도에 따른 모멘트-회전각관계, 초기강성, 최대내력, 최대내력이후 강성 및 에너지흡수능력에 대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밀착조임 볼트체결방법에 따른 엔드플레이트 접합부의 구조성능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Behavior of Tapered Member with Snug-tightened Flush End-plate Connection)

  • 정경수;김우식;박만우;도병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21-128
    • /
    • 2010
  • 저층 장스팬 철골프레임에는 강재절감을 위해 휨모멘트 저항에 극대화한 판폭 두께비가 큰 변단면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밀착조임 볼트접합은 고장력 볼트조임에 비하여 공사비 절감과 시공용이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밀착조임 엔드플레이트 접합사용에 다수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적 거동 및 해석상의 복잡함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밀착조임 엔드플레이트 접합형 변단면 부재에 대한 실대형 실험을 행하였다. 변수로는 체결 토크치, 재하패턴, 볼트종류, 접합부 파괴형이다. Silva et al.과 AISC(2003)에서 제시한 강성 및 내력식을 이용한 예측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밀착조임 볼트체결에 따른 판폭두께비가 큰 변단면 프레임의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Tapered non-compact Frame with Snug-tightened Conditions)

  • 정경수;전배호;박만우;도병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57-265
    • /
    • 2012
  • 저층 장스팬 철골프레임에는 강재절감을 위해 휨모멘트 저항을 극대화 한 판폭두께비가 큰 변단면 부재를 이용한 PEB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밀착조임 볼트접합은 완전조임 볼트접합에 비하여 공사비 절감과 시공용이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밀착조임 볼트접합으로 이루어진 엔드플레이트형 접합형식에 판폭두께비가 큰 변단면 철골프레임의 실대형 실험을 행하였다. 변수로는 볼트체결방법과 재하하중방법이다. 프레임위치별 구조적 거동에 대해서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하중-변위관계에 대해서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밀착조임 볼트체결에 대한 볼트축력 도입과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판폭두께비가 큰 변단면 휨부재의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Tapered Member with Non-compact Flange and Web)

  • 정경수;전배호;박만우;도병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57-365
    • /
    • 2011
  • 저층 장스팬 철골프레임에는 강재절감을 위해 휨모멘트 저항을 극대화 한 판폭두께비가 큰 변단면 부재를 이용한 PEB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과다한 외력에 의해 PEB시스템의 붕괴에 대한 안정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변단면 부재의 좌굴거동에 관한 실험 및 해석적 예측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단면의 판폭(춤)두께비(d/t)와 변단면비를 주요 변수로 한 변단면 부재에 대한 실대형 실험을 행하였다. 현행 설계기준, 수정된 Yoda 모델을 이용한 소성힌지해석 및 유한요소해석으로 예측한 초기강성, 내력 및 모멘트-회전각관계에 대해서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