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례식장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국가재난대비 지정 장례식장 서비스의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funeral home services in preparation for national disasters)

  • 이정선
    • 서비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72-81
    • /
    • 2022
  • 코로나-19, 메르스, 지진 등 새로운 재난이 현대사회에 등장하면서 불확실한 위험에 대한 국가의 관리능력이 중요해 지고 있다. 정부는 현장대응 역량을 강화하여 생활밀착형 재난안전관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예측 불가한 국가적 재난·감염사태 발생 시 사망자·감염시신의 발생은 불가피하다. 이에, 최근 대형화·복잡화·탈지역화 되고 있는 재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재난 관련 조직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국가재난대비 지정장례식장 등의 재난대비 장례지원 역량을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예측 불가한 국가적 재난·감염사태 발생 시 생활밀착형 재난 안전관리 대책이 필요하며, 사망자·감염시신 발생이 불가피할 경우 시신처리 및 장례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국가재난 현장에서의 장례지원 절차와 방법 등 효율적인 대응과 전략이 필요해짐에 따라 지정장례식장을 도입하게 되었다. 대형 재난시 관련 부서의 일상 업무 수준을 넘는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되고 이에 따른 구호, 의료, 장례 및 행정절차 등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되므로, 대형 재난을 다루는 것은 일상 업무에 대한 부가적인 일이 아니라 비상시를 대비하는 전문적인 한 분야를 이루어야 한다.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국가재난대비 지정장례식장을 대상으로 기본 운영방향과 신속한 장례지원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재난별 상황에 맞는 장례지원 및 체계를 조직화하고 필요 물품을 체계화하여 감염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더불어 장례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종교의식(宗敎儀式)과 장례식장(葬禮式場) 평면구성(平面構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lanning Funeral Ceremony Hall and Ritual Formalities)

  • 김상희;도용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57-64
    • /
    • 2000
  • The change of social consciousness and culture induce increasing needs of funeral ceremony hall. This study analysed the equipments standards of funeral ceremony hall, and the procedure of each ritual formalities, then surveyed nine cases. As a result, the forms of mortuary are identical despite the needs of plans by religions and rites. This study recognized the needs of mortuary plans by religions, and purposed to plan each religion's mortuary based on funeral ceremony hall after this.

  • PDF

분양계약시 '사전고지' 의무를 위반한 경우

  • 차흥권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9호
    • /
    • pp.90-91
    • /
    • 2006
  • 분양 계약을 할 때 쓰레기 매립장이나 장례식장, 납골당 같은 회피시설의 존재나 건설 예정 사실에 대해 사업 주체가 숨기거나 축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수분양자는 분양 계약을 취소할 수 있고 유지할 수도 있는데, 각각의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 PDF

국내 안치실 및 염습실 종사자의 근무환경 및 질병관리시설현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eral director's working Circumstances and Management Facilities associated Infection Disease on Funeral home)

  • 황규성;장만석;진상명;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3호
    • /
    • pp.1-7
    • /
    • 2016
  • 2002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신을 통한 질병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연구가 시작된 후, 시신을 통한 질병감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져왔다. 하지만 국내 장례종사자의 실제적 근무현황 및 근무지의 질병관리시설현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에 국내 수도권, 충청권, 경상권의 3개 지역의 장례종사자를 대상으로 근무현황 및 질병관리시설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소독시설 미설치 장례식장이 50% 이상으로 장례종사자의 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높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 위생측면에서 장례종사자들이 항상 착용하는 가운의 소독 등 위생에 관련된 장비에 대해서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장례종사자들이 질병감염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함을 보여주었으며, 장례종사자의 개인위생뿐만 아니라 질병관리시설의 관리 및 설비보완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의료기관 장례식장 급식품질의 다자간 인식차이 및 IPA 분석: 장례식장 급식운영 담당자, 상주 및 유족, 조문객을 중심으로 (The IPA of Multilateral Perception on Foodservice Quality of Hospital Funeral Centers : Focusing on Foodservice Operators, Chief mourners/the bereave and Funeral Visitors)

  • 박문경;이정윤;정윤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8-238
    • /
    • 2014
  •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perceptions of funeral foodservice service quality toward funeral foodservice employees, chief mourners/the bereaved and funeral visitor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102 funeral foodservice employees, 71 chief mourners/the bereaved and 293 funeral visito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hygienic food production process'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while 'neat appearance of food' had the least performance. By comparing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between three subject groups, it can be identified funeral foodservice employees had the highest recognition while funeral visitors had the lowest (p<0.001). Furthermore, funeral foodservice employees had a significantly high performance level compared to chief mourners/the bereaved in all 19 service quality attributes (p<0.001). The IPA result toward funeral foodservice employees indicated the following attributes that required improvements: 'reasonable menu price' and 'kindness of helpers'. Another IPA result from chief mourners/the bereaved recognized 'reasonable menu price' as a service priority. Overall, implications for funeral foodservice managers regard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re discussed.

안치실 및 염습실 종사자의 감염예방 가이드라인 연구 (Prevention Guidelines for Infection-associated funeral directors in Korea)

  • 황규성;정유진;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4호
    • /
    • pp.103-106
    • /
    • 2015
  •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장례종사자들의 질병감염에 대한 위험성과 감염예방의 중요성이 심도있게 연구되어 이에 관련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국내에서 장례종사자의 건강관리는 장례업자나 종사자 개인의 노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매우 열악하며, 장례종사자의 감염에 대한 연구 및 역학 조사 등이 매우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장례지도사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노출가능성이 높은 질병, 개인위생, 물질적 및 공간적 관리에 대한 한국형 장례종사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모형을 제시하여 장례식장내 효율적 감염관리 및 장례종사자의 감염예방을 이루고자 하였다.

전문장례식장 조문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Condolent Space in funeral Ceremony Hall)

  • 오영모;박재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9호
    • /
    • pp.124-13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urnishing applicable data, in deviation from the conventional study of architectural planning, for funeral ceremony hall actually built as a various form. For that, this study performed analysis of condolent space, through dividing space into three phase which is planning unit, organizing unit and making layout as a general method of architectural planning ste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Establishing spaces for bereaved family's rest in funeral space is also applicable, through the renovation, in case of A type u nit that is more than 25$m^2$. If wish to organize funeral space unit by monolithic space type at planning, than should be controle d size of unit so as not to excessive and if wish to organize by connection style and 1:1 separation style, than area of room where coffin is placed should be considered not overly lacking than condoler's waiting space. On arranging of middle corridor type should be controled scale of funeral space so that is not lacking than room where coffin is placed. In case of hall type, there are necessity to make area of condoler's waiting space do not excess than area of room where coffin is pla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