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님노린재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3초

포도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노린재목, 장님노린재과)의 종류, 피해 및 기주식물 (Mirid Bugs (Heteroptera: Miridae) on Grapevine: Their Damages and Host Plants)

  • 이승환;이관석;고현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3-41
    • /
    • 2002
  • 포도의 장님노린재 피해조사 결과 전국 159개 조사포장 가운데 113개의 포장에서 피해가 확인되었으며(발생포장율 71%), 산간지 등 격리된 소규모 재배지보다는 김포, 안성, 나주, 김천. 부여. 대전, 예산 등 포도 집단재배지에서 피해가 심했고. 1999년의 경우 심한 포장의 피해순율이 나주에서 85%, 김포에서 65%에 달했다. 포도나무의 생육초기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종류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초록장님노린재, 명아주장님노린재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가 다른 종보다 채집개체수에서 월등히 많았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는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기주식물로는 애무늬장님노린재의 경우 포도, 살구나무, 벚나무 등 10종이 확인되었으며, 초록장님노린재는 더위지기, 쑥 등 10종이 확인되었다.

충북 보은지역 대추나무의 장님노린재 발생 특성 및 활용 가능한 살충제 선발 (Evaluating Pesticides for Controlling Apolygus spinolae and A. lucorum Mirid Bug Population Patterns in Jujube Orchards in Boeun, Chungbuk)

  • 이성균;강효중;이경희;오하경;박희순;신현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197-202
    • /
    • 2019
  • 최근 대추에 장님노린재에 의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대추재배 농가들이 적절한 방제를 할 수 있도록 시기별 발생 밀도, 우점종 조사, 방제 가능 약제 선발 등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발생 밀도를 2년에 걸쳐 조사 한 결과, 약충은 5월 상순부터 발생하여 7월 중순까지 발생 하였으며, 성충은 5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하였다. 또한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의 밀도의 경우 45개체 중 40개체가(약 89%)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조사되어 대추나무를 가해하는 장님노린재 중 우점종은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에 활용할 수 있는 살충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9종 살충제들을 대상으로 한 야외시험에서 pyrifluquinazon, deltamethrin, diazinon, dinotefuran, etofenprox, fenitrothion, bifenthrin 7종이 80% 이상 살충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조사 된 살충제를 이용하여 대추나무 발아 직전부터 방제를 하면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단풍고리장님노린재속(노린재목, 장님노린재과) 한국미기록종 3종에 대한 보고 (Three Species of the Genus Neolygus Knight (Hemiptera, Miridae) New to Korea)

  • 조영재;권용정;서상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5-19
    • /
    • 2011
  • 단풍고리장님노린재속 N. hakusanensis (Yasunaga, 1991), N. roseus (Yasunaga, 1991)와 N. zhugei (Yasunaga, 1991) 3종의 국내분포를 처음으로 보고하고, 각 종의 종 동정에 필요한 사진자료와 웅성생식기 그림 및 간략한 형태정보를 기술하였다.

벼멸구(Nilaparrata lugens STAL)의 란 및 유추에 대한 장님 노린재 일종(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의 포식효과 (Effectiveness of egg-nymphal predation by a mirid bug, 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 for control of the brown planthopper)

  • 배상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55-58
    • /
    • 1968
  • 본시험은 1966년 필리핀에 있는 국제수도연구소에서 벼멸구의 생태에 관한 시험을 위하여 벼멸구를 대량으로 집단접종사육하여 오딘 중 cage내 갑자기 벼멸구의 밀도가 줄고 장님노린재가 무수히 번식되고 있는 것을 관찰한 후 Hawaii에 있는 Bishop Museum, Dr. ASHLOCK 씨에이 장님노린재에 대한 동정을 의뢰함과 동시에 벼멸구에 대한 포식성을 조사한 결과 벼멸구의 포식식능력은 장님노린재를 산난된 도엽에 접종하였을 때 5일후 포식난율이 $69.1\%$인대 대하여 벼멸구 고충에 대하여서는 접종 1일 후$61.4\%$, 2일 후 $76.2\%$, 3일 후 $91.0\%$ 4일 후 $93.3\%$의 포식률로서 매우 놀라운 포식능력을 보여주었다. 이 장님노린채는 벼멸구뿐만 아니라 다른 멸구류의 밀도를 제압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장조건하에서는 벼멸구류의 피해를 미연에 경감시킬 수 있는 유리한 천적이라고 생각되며, 금후 이의 실제적인 이용면에 대한 연구가 기대된다.

  • PDF

한반도 미기록속 Neomegacoelum Yasunaga (노린재목: 노린재아목: 장님노린재과)에 대한 보고 (First Record of the Genus Neomegacoelum Yasunaga (Hemiptera: Heteroptera: Miridae) from the Korean Peninsula)

  • 김정곤;이호단;김기경;서홍렬;채준석;정성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1-33
    • /
    • 2015
  • 한반도 장님노린재과의 미기록속 Neomegacoelum 속을 처음으로 확인하고 Neomegacoelum vitreum (Kerzhner, 1988)의 한반도 분포를 보고한다. 성충과 생식기의 사진 등의 형태학적 정보와 생태학적 정보가 함께 제공된다.

장님노린재과(노린재목) 한국미기록 2종에 대한 보고 (Two New Records of the Family Miridae (Hemiptera: Heteroptera) in Korea)

  • 성종운;이관석;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4
    • /
    • 2009
  • 2종의 장님노린재(Pachylygus nigrescens (Kerzhner 1977), Deraeocoris yasunagai Nakatani 1995)의 국내분포를 처음으로 확인하고 형태적 특징과 분포 등 종 동정에 필요한 정보를 성충 사진과 함께 간략히 기술하였다.

온도에 따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 (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의 벼멸구 알에 대한 포식습성 (The Predatory Behavior of Green Mirid Bug, Cytorhinus lividipennis Reuter, on Brown Planthopper Eggs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 송유한;하태기;정대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4-242
    • /
    • 1995
  • 멸구류 포식성 천적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온도에 따른 벼멸구 알 공격능력과 기능반응의 변화를 20, 23, 26, 29, 32, $35^{\circ}C$ 등 6개 온도에서 검정하였다. 등검은 황록장님노린재는 산란된지 1일에서 4일된 이런시기의 벼멸구 알을 선호하였으며, 이중 3일된 벼멸구 알을 가장 선호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포식능력은 Holling의 제2형 기능반응의 Rogers(1972) 진정포식자 모형에 잘 부합되었다. 기능반응의 포식자 탐색율(a)은 $32^{\circ}C$까지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35^{\circ}C$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처리시간(Th)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만히 감소되었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온도별, 밀도별 공격위치의 선호성은 일반적으로 저밀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밀도에서는 위쪽에 산란된 알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온도가 높아짐에따라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 PDF

포도원에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Apolygus spinolae(Meyer-Dur))방제체계 (Management Strategies for Apolygus spinolae(Hemiptera: Miridae) in Grapevine Yards)

  • 김동순;조명래;전흥용;임명순;최용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7-73
    • /
    • 2002
  • 포도에 피해를 주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약제를 선발하고 방제체계를 수립하기 위하여 몇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농가에서 살포한 약제들 중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Chlorpyrifos, Parathion, Fenvalerate, Esfenvalerate.Fenitrothion 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장실험에서 Fenitrothion과 Chlorpyrifos는 각각 94.8과 91.6%의 좋은 방제가를 보였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에 대한 약제처리 시기 및 방제횟수가 과실수량(평균 상품화 과방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잎 전개기 1회 방제구 466.0g, 꽃송이 분리기 1회 방제구 460.7, 잎 전개기 및 꽃송이 분리기 각 1치 방제구465g, 잎 전개기, 꽃송이 분리기, 그리고 착과기 각 1회 방제구 487.4g으로 무처리구 418.2g보다 높았다. 방제비용을 감안할 때 잎 전개기 1회 방제는 잎 전개기 및 꽃송이 분리기 각 1회 방제(2회 살포)보다 효과가 높았으며, 잎 전개기, 꽃송이 분리기, 그리고 착과기 각 1회 방제(3회 살포)와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포도원에서 잎 전개기(2~3엽기 =3~4엽이 보이는 시기)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적기방제는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있었으며, 기타 관리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산 광택장님노린재속의 분류학적 정리 (노린재아목: 장님노린재과) (Taxonomic Notes on the Korean Philostephanus Species (Heteroptera: Miridae: Mirinae))

  • 성종운;이관석;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11-415
    • /
    • 2009
  • Philostephanus ulmi (Kerzhner, 1979)의 국내분포를 처음으로 확인하고 한국산 Philostephanus속의 검색표와 형태적 특징 등 종 동정에 필요한 정보를 관련 사진과 함께 간략히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