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 변동

Search Result 83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대한해협 서수도 중앙에서 조류와 해류의 연직구조

  • 조규대;이재철;김호균;윤종환;김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40-241
    • /
    • 2001
  • 대한해협은 대마난류가 동해로 유입되는 통로이고 대마난류의 변동은 동해의 해수순환에 많은 영향을 준다 대한해협에서 해류에 대한 연구는 지형류계산에 의한 것(Yi, 1970)을 시작으로 해류계의 계류관측이 여러차례 수행되었으나(Shim et at, 1984; Lee et al, 2001), 대부분 20∼40일 정도의 단기간에 한정되어 해류의 장주기 변동성을 규명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에 걸친 해류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대한해협의 조류 및 해류의 연직구조와 그 변동성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중략)

  • PDF

A Fundamental Study on the Snowmelt Effects for Long-Term Runoff Analysis (장기 유출해석에서의 융설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 Bae, Deok-H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1 no.6
    • /
    • pp.833-844
    • /
    • 199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dopt a snowmelt model for coupling a rainfall-runoff model and to study snowmelt effects for long-term runoff analysis on the northeast mountaneous area in Korea. The NWS temperature-index snowmelt model was selected and tested on the 1,059+,6 km$^2$ Naerinchen basin. It can be observed that the time variations of the computed areal extents of snow cover from the model are well agreement with those of the observe station snowfall records on the Inje meteorological station. It is also evident that the computed soil water contents and river flows indicate quite different behaviors with or without snowmelt model. It is concluded that the snowmelt model works well and the snowmelt effects for multi-decadal river flow computations are important on the study area.

  • PDF

An Analysis of Long-Term River Bed Changes using Surface-water Modeling System (SMS) Model: A case study of the Pochon stream basin (SMS 모형을 이용한 포천천 유역에서의 장기하상변동 분석)

  • Choi, Min-Ha;Lee, Seung-Oh;Ahn, Jae-Hyun;Yoon, Yong-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2
    • /
    • pp.139-147
    • /
    • 2008
  • More precise estimation of the bed change, primary cause of flood damage, has been recognized significant for designs of levees and other river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long-term bed change was examined as the application of the relatively new Surface-water Modeling System (SMS) Model because there has not been broad verification of the model empirically on river of South Korea. This 2-dimensional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bed change of Pochon Stream Basin, a tributary of Imjin River, where heavy rain damages annually occur. First, in order to verify the model, the simulating period was set from 1986 to 1998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 field measurements. Cross sectional field measurements of 1986 were used for the initial condition and outpu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observed cross sectional data in 1998. As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the comparison in lateral and streamwise bed level between results from the model and the field measurements showed a reasonable agreement except for the some cases of local scours. However, in terms of the quantitative comparison, the change of the bed elevations for each cross section for 1998 was rather underestimated than that of the field measurements.

포항 분지의 제3기 장기층군산 규화목에 의한 고환경 해석

  • Park, No-Tae;Kim, Jong-H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01-102
    • /
    • 2010
  • 규화목은 목본식물의 2차목부가 화석화된 것으로 화석화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무기물이 세포를 치환하거나 세포의 내강 또는 간극에 침투하여 고화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목재의 해부학적 구조가 잘 보존되는 경우가 많고 이를 통해 목재의 수종을 비교적 정확히 동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목재는 유관속 형성층에 의해 매년 새롭게 형성되어 축적되며 형성된 조직은 성장하는 당해 기후변화를 반영하게 된다. 따라서 화석목재를 통해 과거 기후조건을 복원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우도 많다). 본 연구는 포항 분지의 신제3기 마이오세 장기층군에서 채집한 규화목의 조직과 나이테 분석을 통해 고환경을 해석한 것이다. 장기층군에서 채집한 15개의 규화목 표본 중 나이테가 잘 나타나는 5개 표본에서 나이테를 분석하고 그중 조직이 잘 보존된 1개의 표본에 대해 목재해부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나무가 성장함에 따라 나타나는 나이테의 폭은 환경적 요인 등으로 매년 일정하지 않다. 이런 인접연륜간의 연륜변동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륜연대학(Dendrochronology)에서 널리 사용되는 평균민감도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평균민감도는 연륜변동이 어느 정도있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인접한 연륜들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여 인접연륜간 연륜변동성을 나타낸다. 평균민감도 값이 크면 연륜폭 변동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나무가 자라는 당시 환경인자의 변화량이 컸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직이 잘 보존된 1개의 표본은 목재해부학적 특징상 느릅나무과(Ulmaceae) 느릅나무속(Ulmus)으로 동정되었다. 또한 5개 표본의 나이테를 분석한 결과 평균민감도는 0.34~0.41 범위를 나타내며 전체 평균은 0.37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규화목 생성 당시 환경이 온대기후를 지시하며, 물 공급이 매년 계절적인 제한을 받았거나 다양한 변화가 있어 계절적으로 강수량 변화가 있었음을 지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