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기전망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26초

아시아 ㆍ태평양제국 타이어산업전망

  • 이광재
    • 타이어
    • /
    • 통권127호
    • /
    • pp.26-39
    • /
    • 1986
  • 본자료는 최근 Exxon Chemical Asia Pacific Ltd.에서 발표한 2000년대까지의 아시아ㆍ태평양제국 자동차 및 타이어ㆍ튜브 산업의 실적 및 전망에 대한 '86년도 리포트에서 발췌요약한 것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각국별 트럭ㆍ버스 및 OTR의 생산ㆍ출하, 보유대수 및 년도별 폐차 현황까지 장기추정하여 타이어의 장기수급전망을 조사분석 하였으며. 또한 Radial 타이어와 Tubeless 타이어의 생산동향도 조사하였다. <편집자 주>

  • PDF

아시아-태평양제국 타이어 산업 전망

  • 대한타이어공업협회
    • 타이어
    • /
    • 통권84호
    • /
    • pp.20-27
    • /
    • 1979
  • 편집자주: 본자료는 1978년 8월 EXXON CHEMICAL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국가들의 타이어 산업에 대한 장기전망(1976~1990)을 조사추정한 것이다. 특히, 본조사에서는 타이어산업뿐만 아니라 동산업과 연관성이 깊은 인구, GNP, 차량보존대수 등까지 조사분석하였으므로 앞으로의 전망(1990년까지)을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추정ㆍ요약하였다.

  • PDF

국내 에너지수요 장기 전망(2001~2020)

  • 대한석유협회
    • 석유와에너지
    • /
    • 7호통권237호
    • /
    • pp.46-50
    • /
    • 2003
  • 본 자료는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발간하고 있는 CEO Energy Brief (2003. 5. 28 자)에서 발췌ㆍ요약한 것으로 에너지경제연구원 장기수요전망팀의 의견이며, 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

  • PDF

장기예보자료 기반 기상학적 가뭄전망정보의 활용성 평가 (Utilization assessment of meteorological drought outlook information based on long-term weather forecast data)

  • 소재민;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40
    • /
    • 2017
  • 최근 2014년 마른장마의 영향으로 중부 지방에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장마철 강수부족은 2015년까지 영향을 미친바 있다. 이로 인해 소양강 댐은 역대 최저수위를 기록하였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급수, 농업용수 부족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가뭄은 발생순서에 따라 기상학적, 농업적, 수문학적 가뭄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Wilhite and Grantz, 1985). 기상학적 가뭄은 농업 및 수문학적 가뭄에 영향을 미치는 가뭄의 시작 단계를 의미하며, 가뭄을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기상학적 가뭄을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SPI, PDSI, PN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강수량 기반의 SPI는 계산과정이 쉽고, 다양한 지속시간(3, 6, 9, 12개월 등)에 따라 가뭄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Mckee et al., 1993). 최근 기상청은 대기와 해양-해빙 모델을 접합한 GloSea5의 장기예보자료를 활용하여 월 내지 계절 가뭄전망을 위한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현업에 활용하고 있다. 다만 국내에서는 주로 단기가뭄(1~3개월)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짧은 예보선행시간을 갖는 가뭄전망에 대한 평가에 집중되어 왔다. 2014, 15년에는 이례적으로 2년 연속 가뭄이 지속된바 있으며, 장기가뭄(3개월 이상)에 대한 전망정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예보자료 기반의 기상학적 가뭄전망정보를 산정하고, 2015년 가뭄을 대상으로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ASOS 59개 지점의 관측강수량, GloSea5의 미래예측(Foreacst) 및 과거재현(Hindcast)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지속시간(3, 6, 9, 12개월)에 대한 SPI를 산정하였다. 또한 예보선행시간(1~6개월)에 따른 SPI와 관측자료 기반의 SPI 간의 통계적 분석(상관계수, 평균제곱근오차)을 수행하여 전망정보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