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골계측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Longbone 검출기를 이용한 Scanogram의 유효성 평가 (Effectiveness Evaluation of Scanogram Using Longbone Detector)

  • 장수한;허지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3권4호
    • /
    • pp.235-242
    • /
    • 2020
  • Scanogram is that combine several practical images into one image to observation. So it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many clinical situation such as iliac measurement, leg alignment measurement and Scoliosis. Currently, scanogram examinations are mainly conducted for children and elderly patients. In this study, in order to apply the longbone detector to children or elderly patients who are difficult to cooperate with, we compared the longbone detector from D equipment with the G equipment discovery 656 Puls equipment in reproducibility of images, distribution of irradiation dose, scattering dose, irradiation time and image acquisition time. D equipment took more than twice as much time as G equipment. The scattered dose generated about 50% more G equipment than D equipment. In the whole spine scanogram and the measurement length of the lower leg, D equipment was also measured longer than G equipment. However, both methods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the CT scanogram, so there was no problem in measurement. The height of the thyroid radiation dose of G equipment was produced more radiation than D equipment. However, the longbone detector deviated from the x-ray center line relative to the tube rotation method, and was measured lower by the directiona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so that the error could not be corrected. In the conclusion of study, using the longbone detector is excellent for applying to children or elderly patients to reduce scattering dose. However, using CR may be useful to normal patients. Because, the image quality may deteriorate due to an imbalance of dose difference in thickness depending on the body part. So, it is useful to using a compensation filter or tube rotation method when we take a whole spine scanogram.

CT Scanogram과 고식적방법에 의한 장골계측촬영의 비교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adiography of Long Bone Measurement by CT Scanogram and Conventional Method)

  • 김승국;전재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4권2호
    • /
    • pp.29-33
    • /
    • 2001
  • The accurate measurement for a long bone have taken an important part in orthopedics surgical diseases when the length of extremities is different each other. However, it is true that various kinds of methods to search for the accurate measurement on used in medical center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real length of long bone for CT Scanogram and F.F.D by 100cm and 200cm in the angle of inclination $0^{\circ},\;3^{\circ}$ and $7^{\circ}$. This method will be useful to diagnose and treat patients more accurately.

  • PDF

구순 및 구개열을 가진 상악 후퇴증 환자의 교정-외과적 치험 1례 (A Case of Orthognathic Surgery in Congenital Alveolar-Palatal cleft patient)

  • 박재현;이명진;이창곤;김종섭;진병로;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89-196
    • /
    • 1992
  • 유아기에 구순성형술 및 구개성형술 등에 의한 중 안면부의 성장장애를 동반한 성인환자에서 만기 이차성 골이식술(Late secondary bone graft)을 동반한 Le Fort I osteotomy를 시행한 결과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개선 효과를 얻었다. 1. 증례에서는 골지지가 거의 없는 우측 상악 중절치 및 측절치 부위의 치아를 발거하고, 술전 교정치료로 변위된 치아의 배열과 소실된 공간을 회복한 후 장골이식을 동반한 상악골 전진술을 시행하였다. 2. 파열 변연부위에 골점막 절개를 시행한 후 순측 구개측 봉합 및 비점막을 거상하여 구비강 누공을 폐쇄한 후 장골능에서 얻은 골수-망상골을 이식하였다. 3. 수술후 구비강 폐쇄로 비음이 개선되었고, 술후 8개월된 방사선 사진상 파열부위의 골 재생을 확인한 후 보철치료를 시행하였다. 4. 표준 두부방사선 계측상 상악골의 전진에 의한 측모의 현저한 개선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하악골과 장골의 조직형태계측 비교 (COMPARATIVE HISTOMORPHOMETRIC ANALYSIS OF MANDIBLE AND ILIAC BONE ON BONE DENSITY)

  • 유소정;정문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2-25
    • /
    • 2000
  • To demonstrate possible influences of general bone density on the mandible, histomorphometric analysis was carried out in mandibles and iliac bones and the correlation of the two bone densities was tested. Comparison of bony density in women and men over 60 years in the mandible was carried out too.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QCT) was taken in cross-section of mandibles at the same site where histomorphometric analysis was peform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QCT. The analysis included 40 cadavers with no known diseases affecting the bones. The subjects consisted of 15 females and 25 males with a mean age of 60.3 years.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and Wilcoxon rank sum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tatistically no correlation between the mandible and iliac bone in the values of corrected cortical width(CCW), cortical porosity(POR) in cortex, and total bone volume(TBV), mean trabecular plate thickness(MTPT), mean trabecular plate density(MTPD), and mean trabecular plate separation(MTPS) in trabecular bone. 2. Comparison of women and men over 60 years, men had statistically higher bone density than women except fir POR of buccal and lingual cortex, and WTPD of alveolar trabeculae in mandible.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BV of trabecular bone and CT No., but not between POR and CT No. in mandible.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andible and iliac bone density and between mandibular bony density and ag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support the results. A more noninvasive method to be able to measure the bone density of mandible should be developed and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data on the normal values of bone density of mandible according to age and sex.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out about QCT to measure mandibular bony density using QCT.

  • PDF

체간부의 사상체질별 형태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itution's trunk)

  • 홍석철;이수경;이의주;한기환;조용진;최창석;고병희;송일병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1-142
    • /
    • 1998
  • 1. 연구 목적 및 배경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의 대소음양인(太少陰陽人)의 체질 구분의 근거는 폐비간현(肺脾肝賢)의 각기 다른 장리로 인한 것으로 이는 폐비간현(肺脾肝賢)의 위치와 사상인(四象人) 구분의 근거인 체형기상(體形氣像)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각기 다른 체형기상(體形氣像)은 사상인 체질 구분의 가장 중요한 단서중의 하나로 이를 측정하여 각 체질의 사초(四焦) 체간부(體幹部)를 수기로 측정한 연구가 있었으나 이는 측정상의 오류가 많아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계측기를 이용하여 각 체질별 체간의 삼차원적인 특징을 해부학적 위치를 중심으로 측정하고 둘레, 단면적, 체적 등의 입체적 측정을 통해 체간부의 정량적인 특정을 살펴 체질 구분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체질진단용 설문지 1번, QSCC(II), 맥진, 침진의 진단 방법을 이용하고 사상의학 전문의에 의해 체질 진단된 건강한 20대에서 40대까지의 성인 남자 40명과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Rapid 3D Color Scanner Model 3030 RGB/PS를 사용하여 삼차원 영상을 촬영한 후 해부학적 구조를 근거로 31항목의 체적, 전표 면적, 높이를 측정하고 25가지의 사초 가설을 설정하여 각 체질별 사초의 삼차원적인 특징을 구하였다. 3. 연구 결과 및 결론 1) 체간부 측정 항목의 절대치 (1) 여자의 특징 태음인이 다른 체질에 비해 체간부가 큰 편이고 소음인이 대개의 경우 가장 작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갑상연골점의 목둘레, 흉골상단의 단면적과 전둘레, 경폭에서 소양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나 소양인이 경부 즉, 체간의 최상부가 가장 둘레가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두선 높이의 단면적, 전둘레, 깊이와 중완선높이의 전후둘레의 체간부에서 태음인이 소음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체간부의 상부는 소음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골상단의 폭은 소양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남자의 특징 갑상연골점, 흉골상단, 액와, 유두, 검상돌기, 중완, 하완, 제부, 상전장골극, 치골결합상단 부위에 이르기까지 전 항목에서 태음인의 체형이 가장 크며 소음인의 체형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갑상연골점 높이에서 전후둘레, 폭, 깊이에서 태음인이 가장 크고 소음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두와 유하간의 수직거리는 소양인이 가장 크고 소음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사초부위의 절대치의 비교 (1) 여자 상초의 항목 중에서 갑상연골점 높이에서 액와선높이까지의 체적과 흉골상단높이에서 유두높이까지의 체간 상부 체적이 소양인이 가장 작았다. 소양인이 체간 상부가 다른 체질에 비해 작다. 중상초 : 중상초의 항목 중 흉골상단에서 중완까지의 체적과 흉골상단에서 검상돌기까지의 체적에서 태음인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남자 상초, 중상초, 중하초, 하초의 경우 태음인이 소음인보다 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체간에서 사초가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고찰 (1) 상초 : 액와에서 상전장골극까지를 사초로 설정할때 상초에 해당하는 액와에서 유두선까지의 높이가 태음인이 소양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소양인이 액와점에서 유두선 까지의 거리가 체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중상초 : 갑상연골점에서 치골결합상단을 사초로 설정할때 흉골상단에서 유두까지의 높이와 액와에서 유두까지의 높이에서 태음인이 소양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갑상연골점에서 상전장골극까지를 사초로 설정한 경우 흉골상단높이에서 유두까지와 액와에서 유두까지의 높이에서 태음인이 소양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소양인이 중상초의 높이가 체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중하초 : 흉골상단에서 상전장골극을 사초로 설정할 때 중완에서 제부까지의 체적과 액와에서 상전장골극까지를 사초로 설정할 때 중완에서 제부까지의 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태음인이 소음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중완에서 제부가 체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소음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체질별 사초의 상관관계 태음인은 상초와 중하초의 상관관계를 체적, 표면적, 높이로 나누어 살펴 보아 대개의 경우 역상관관계를 얻었으며 특히도 표면적의 경우는 상관계수가 -0.9~-1로 나타나 상관정도가 높았다. 소음인과 소양인은 중상초와 하초의 상관관계를 체적, 표면적, 높이로 나누어 살펴 보아 대개의 경우 역상관관계를 얻었다.

  • PDF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성인 남녀의 장골 및 경골의 골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ILIAC AND TIBIAL BON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조용석;김경원;이경호;박현진;서상수;오상엽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3호
    • /
    • pp.265-273
    • /
    • 2000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e mineral density of iliac and tibial bone which are frequently selected as autogenic bone graft donor sites, an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is method as a guideline for the selection of bone graft donor site.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study 61 male and 70 female volunteers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involved between Jan. 1998 to Sept. 1999. We measure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iliac and the tibial bon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We evaluated the data using the SAS system for Window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was used for control. Results : Ag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correlation matrix between physical and bone variables. Height and weight showed lower correlation of linear increment. In man, the change of bone density according to age demonstrated linear decrease irrespective of the lumbar, ilium, and tibia. In woman, the change of bone density according to age showed cubic form, which increased in the third and forth decade. So it had a peak bone mass on about 35 year-old, thereafter, the change of bone density slowly decreased until 50 year-old, but it rapidly decreased after 50 year-old and it slowly decreased again after 65 year-old. Both in all subjects and subject with osteoporosis,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a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lumbar and tibia, but ilium was irrespective. Conclusion : In patients of aged or with osteoporosis, ilium demonstrated less tendency of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than tibia. So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ed that ilium seemed better donor site for autogenic bone graft than tibia.

  • PDF

새로 개발된 말초동맥용 자가팽창성 개방형 니티놀 스텐트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미니피그 전임상실험 (Efficacy and Safety of a Newly Developed Self-Expanding Open-Cell Type Nitinol Stent for Peripheral Arteries: A Preclinical Study in Minipigs)

  • 김민욱;이재환;윤창진;최원석;허세범;정진욱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899-911
    • /
    • 2020
  • 목적 얇고 새로운 구조로 개발된 말초동맥용 자가팽창성 개방형 니티놀 스텐트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기존에 사용하는 스텐트와 비교 평가하였다. 대상과 방법 미니피그 14마리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스텐트를 무작위배정 후 각 개체의 장골동맥에 대칭적으로 삽입하여 1개월(n = 5) 및 6개월(n = 9) 추적관찰하였다. 혈관조영술로 혈관 직경, 후기 내강 손실 및 협착 정도를 평가하고 조직계측학적으로 내탄력층 면적, 내강 면적, 신생 내막 면적 및 협착 정도를 분석하였다. 추적기간 중 모든 실험 개체에 대하여 매일 임상적 평가 및 식이 정도를 추적관찰하였다. 결과 모든 개체는 추적관찰 기간 중 생존하였으며 중대한 유해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혈관조영술상 6개월 추적관찰군에서 실험군의 내강 직경이 유의하게 컸으며(p = 0.014), 후기 내강 손실이 적었고(p = 0.019), 협착 정도가 낮았다(p = 0.014). 조직학적으로 1개월 추적관찰군에서 실험군이 신생 내막 면적 및 면적 협착이 유의하게 낮았다(각, p = 0.008, p = 0.016). 6개월 추적관찰군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내강 면적이 유의하게 넓었으며(p = 0.040), 내탄력층 면적, 신생 내막 면적 및 면적 협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각, p = 0.004, p = 0.008, p = 0.014). 결론 새로 개발된 말초혈관용 자가팽창성 개방형 니티놀 스텐트는 기존에 사용하는 스텐트와 비교하여 안전하며 신생 내막 증식의 정도가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