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잠

검색결과 648건 처리시간 0.024초

각성장애로 발현한 기면증의 변종 (Narcolepsy Variant Presented with Difficult Waking)

  • 이향운;홍승봉
    • 수면정신생리
    • /
    • 제7권2호
    • /
    • pp.115-119
    • /
    • 2000
  • 목 적 : 십년 이상 각성장애를 보인 20세 남자환자를 분석하였다. 환자는 두통, 만성피로, 경한 주간졸리움증을 호소하였으나 조절할 수 없는 수면발작, 탈력발작, 입면시 환각이나 수면마비의 병력은 없었다. 방 법 : 야간 수면다원검사 (PSG), 반복적 수면잠복기 검사 (MSLT) 및 조직적합성 유전자검사 (HLA-typing)를 시행 하였다. 결 과 : PSG상 수면잠복기가 짧고 (4분), 렘수면잠복기도 감소하였고 (2.5분), 각성지표 (arousal index)가 시간당 15.7로 약간 증가되었으며, 수면 중 주기적 사지운동지표 (PLMS index)가 시간당 8.1로 관찰되었으나 운동과 연관된 각성지표 (movement arousal index)는 시간당 2.1로 높지 않았다. 잠효율은 (sleep efficiency)는 97.5%로 정상이었다. MSLT상 수면잠복기는 15분 21초로 정상이었으나 sleep-onset REM (SOREM)은 5회의 낮잠 시도 중 4회에서 관찰되었다. HLA-typing에서 DQ6-양성이었는데, 이는 기면증 환자에서 대개 관찰되는 유전자 위치인 DQB1*0602, DQA1*0102와는 다른 DQB1*0601 부위에 상응하였다. 결 론 : 일차성 각성장애의 원인이 되는 여러 질환 특히 일주기리듬장애나 기면증, 원발성 다면증과의 감별진단이 필요하며, 수면검사와 유전자검사 상 기면증의 새로운 변종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PDF

SPM을 이용한 남여별 ADHD 환자 뇌 SPECT 영상의 분석

  • 박성옥;신동호;권수일;조철우;윤석남;오은영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3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
    • /
    • pp.43-43
    • /
    • 2003
  • 목적 : 남, 여 ADHD 환자에서 뇌 혈류상태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른 정신과적 질환이 없는 ADHD 환자의 SPECT 뇌혈류 영상에 대하여 SPM을 통한 뇌 혈류상태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남자 ADHD 환자군 51 명 (4-11세, 평균 9.0세)과 정상군 8명(6-17세, 평균, 9.6세) 그리고, 여자 ADHD 환자군 13명(6-12세 평균 9.0세)과 정상군 4 명(6-12세 평균 9.0세)의 SPECT영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방사성의약품 $^{99m}$ Tc-ECD 0.33mCi/kg을 환자의 정맥내에 주사하고 30분후 잠을 재운상태에서 Multi SPECT3 camera를 이용하여 영상을 기록하였다. Matlab을 이용한 SPM program에서 남여별 ADHD환자의 뇌혈류지도 영상을 비교하였으며, BOLD(blood oxygenation level dependent effect) data plotting을 이용하여 혈류증가율과 감소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남자 ADHD환자군의 혈류증가부위의 경우, P<0.02 에서 대상회전 (cingulate gyrus)이 나타나 P<0.05까지 한 부위에서만 나타났으며, 정상군에 비하여 15.61%의 혈류증가율을 나타내었다. 혈류감소부위로는 P<0.004에서 좌측 대뇌 도이랑 (insula gyrus), P<0.005에서 우측 대뇌 측두엽이랑, P<0.007에서는 우측 대뇌 전두엽아래이랑에서 각각 감소되었으며 P<0.01에서는 좌측 대뇌 전두엽 아래이랑에서도 나타났다. ADHD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각각의 클러스터에서 평균 14.97-15.28%의 혈류 감소율을 보였다. 뇌 혈류의 증가율과 감소율은 유의 수준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여자 ADHD환자의 혈류증가의 경우 P<0.003에서 소뇌 후엽 중앙부위, P<0.005에서는 좌측 대뇌 변연엽, P<0.009에서는 좌측 대뇌 측두엽 그리고 P<0.02에서는 소뇌 후엽을 비롯하여 9개부분에서 혈류증가 클러스터가 나타났으며, ADHD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24.68-31.25%의 혈류증가율을 나타내었다. 혈류감소를 나타낸 부위로는 P<0.001에서 좌측 대뇌의 렌즈핵(lentiform nucleus), P<0.003에서 우측 대뇌의 렌즈핵 그리고 P<0.005에서 P<0.01까지 좌측 대뇌 측두엽중심에서 나타났다. 각각의 클러스터에서 평균 혈류감소율은 30.57-30.84%이었다. 결론 : 남여ADHD 환자의 혈류 증가와 감소부위는 서로 일치하지 않았으며 여자의 경우 혈류 증가와 감소율이 남자보다 더 크게 나타나, ADHD환자의 SPECT를 이용한 분석에서 남여환자를 동시에 분석하는 것 보다는 남여환자를 구분하여 실시하는 것이 더욱 정확한 진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견생산력이 다른 계통간의 Diallel Cross에 의한 누에 양적 형질의 유전분석 (The Genetic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s in the Silkworm by Diallel Cross of Four Inbred Lines Differing in Silk Yield)

  • 손기욱;유강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14
    • /
    • 1987
  • 견생산능력이 다른 누에 계통간의 diallel cross에 의해 누에 양적 형질에 대한 유전분석을 통하여 누에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한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4개 원종 중 KA와 S1은 잠124와 M242에 비해 견층중(12cg 이상), 견사장(200m 이상) 및 생사량비율(약 4%) 등이 훨씬 낮아서 다사량계와 소사량계로 구분되었다. 2. 다사량과 소사량계간의 정역교잡간에 차이가 있어서 모체효과 또는 세포질효과가 인정되는 형질은 단견중, 견층중, 견사장 및 견사량이었으며, 다사량계통을 모체로 한 교잡종이 그 역교에 비해 각각 평균 11cg, 2cg, 137m 및 1.95cg 많았다. 3. 일반조합능력은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고 한성무늬 중국종계인 M242는 수견량, 견중, 견사장, 견사량 및 생사량비율 등 대부분의 주요 양적 형질에서 일반조합능력이 높은 우수품종이었다. 4. Heterosis 효과는 생사량과 수견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품림새와 생사량비율은 낮았으며 견중, 견사장 등의 양적 형질은 중간 정도였다. 5. 유전력이 높고 불완전우성을 나타내는 유충기간, 견층중, 견사장 및 생사량비율 등은 견중과 수견량 등의 양적 형질은 heterosis 효과가 높은 교배조합의 선택으로 개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둘 이상의 형질을 개량할 때에는 이들간의 유전상관을 바탕으로 육종계획을 세우고 견층중을 대상으로 한 선발은 다사량계통의 육성에 효과적이며 유전력과 우성효과가 낮아서 개량이 어려운 실품림새는 견사질과 역상관이므로 선발시 이 형질의 변화에 유의하여야 한다.

  • PDF

자아의 내부 생식기내 수정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ertilized Eggs in the Internal Reproductive Organ of the Silkworm Female Moth (Bombyx mori L.))

  • 윤종관;사기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9-122
    • /
    • 1971
  • 체내 유존난중에 월년난 고유색으로 착색된 것의 유무와 교미를 필한 잠아를 직시처리구와 약간 산란후 처리구로 구분하여 산란공을 가열한 해부침으로 처리하여 산란을 임의 중절한 다음 일주간을 방치한 후 이를 해부하여 음도 수란관 및 난관기부에 있는 잠란을 각각 채취하여 그 수정여부를 조사 연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아중 불과 5% 내외가 각각 1∼2개의 착색란을 보유하고 있을 뿐더러(Table 1.) 그 착색양상도 월년난고유 색채가 아니고 난관내 잠란의 일반적인 색채와 약간의 차이가 있는 일종의 이상 착색난에 지나지 않는다. 2. 교미 직후 직시처리구에서는 음도에 잠란이 유입되어 있지 않다. 3. 약간 산란후 처리구에서는 공시아수의 약 10%에 해당하는 잠아가 음도 또는 수란관에 1개식의 수정란을 보유하고 있다. 4. 교미 직후 처리구에서는 수란관에 공시아의 약 2%에 해당하는 잠아가 일개식의 수정란을 보유하고 있다. 5. 난관에는 전혀 수정란을 발견할 수 없다. 이는 정자가 난관에 까지 진출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6. 교미직후 직시처리구에서는 대부분 잠난이 난관에 위치하고 있지만 약간 산란후 처리구에서는 산란으로 인하여 잠란의 산란공으로 향한 이동운동이 계속되어 수란관과 음도에 진출되어 있다. 7. 정자는 주로 수정양을 비롯한 음도 근처에 있으면서 이곳을 통과하여 산란공에 향하는 잠란에 부착하므로서 난문을 통하여 난문에 진입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 PDF

하잠기와 초추잠기에 있어서의 간벌수확이 뽕나무의 발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Thin Out of Mulberry Branches in Summer or Early Autumn on the Growth of Branches and the Yield of Mulberry Leaves)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
    • /
    • 1976
  • 하잠기와 초추잠기에 각주마다 뽕나무지조중 잔가지와 정상가지 2개씩을 솎아베기하였을 경우에 가지의 발육과 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봄베기한 뽕나무에 있어서 하잠기에 솎아베기를 하고 추잠기(이 기간 42일간)에 수확을 한 경우에 있어서 (1) 추잠기까지에 그 평균조장이 19% 가 증가하여 솎아베기를 하지않은 경우의 증가율 8% 보다 11% 나 그 증가비율이 높았다. (2) 솎아베기를 하면 이것을 하지않은 경우에 비하여 하잠기와 추잠기의 합계수량에 있어서 유의성은 없지만 9% 정도 증수가 된다. 2) 여름베기한 뽕나무에 있어서 초추잠기에 솎아베기를 하고 추잠기(이 기간 15일간)에 수확을 하는 경우와 만추잠기(이 기간 29일간)에 수확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1) 그 평균조장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나 하지않은 경우나 다 같이 추잠기까지는 6∼7%, 만추잠기까지는 8% 정도 증가하여 솎아베기의 효과를 인정할 수가 없었다. (2) 초추잠기와 추잠기의 합계수량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가 하지않은 경우에 비하여 6%가 증수가 되어 유의성은 없지만 증수의 경향이 있고 초추잠인와 만추잠기의 합계수량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가 하지않은 경우보다 12%가 단수가 되어 5%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솎아베기가 평균조장의 증가에는 별로 효과가 없지만 수량증가에는 효과를 나타낸 것은 솎아베기를 하므로 말미암아 뽕나무주내의 생활조건을 개선하여 광합성작용을 왕성하게 하므로써 엽중을 증가시킨 까닭이라고 생각된다.

  • PDF

휴경답에서의 토양의 이화확적 특성, 주요 영양분 및 잡초종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Soil Properties, Major Soil Nutrient Contents, and Weed Vegetation in Paddy Fields during Fallow Period)

  • 한성욱;정갑채;천상욱;이희재;구자옥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1-214
    • /
    • 1998
  • 휴경답에서의 휴경년한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주요 영양분의 변화 및 잡초종의 식생 변화를 조사하였다. 휴경년한이 경과할수록 휴경답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pH는 휴경후 3년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로는 다소 증가하였다.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 및 치환성 N, K, Ca, Mg의 함량은 휴경후 3년까지는 감소하였으나 휴경년한이 길어지면서 증가하였다. 유효 $P_2O_5$의 함량은 휴경년한이 길어지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유효 $SiO_2$의 함량은 3년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그이후로는 증가하였다. 휴경답에서의 잡초종 구성은 초기에는 화본과, 사초과 및 국화과가 주종을 이루었으며 휴경년한이 경과할수록 마디풀과와 골풀과의 잡초 발생이 증가하는 반면 콩과, 물옥잠과, 닭의장풀과, 바늘꽃과의 잡초 발생이 점차 감소하였다. 그러나 화본과의 사초과의 잡초종은 휴경년한의 경과와는 관계없이 항상 우점종으로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휴경화가 진전될수록 일년생 잡초종에 비해 다년생 잡초종의 발생 비율이, 또한 논 잡초종에 비해 밭 잡초종의 발생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 PDF

바코드에 의한 보풀속(Genus Sagittaria L.) 보풀과 벗풀의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Sagittaria trifolia and S. aginash Based on Barcode)

  • 김미정;이정란;김진원;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1호
    • /
    • pp.15-21
    • /
    • 2018
  • 1998년에 서산간척지에서 SU계 제초제저항성 물옥잠이 보고된 이후 제초제저항성 면적 및 초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남 김해지역에서 SU계 제초제저항성 벗풀이 보고되었다. 농경지 주요잡초의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 농경지에서 벗풀을 채집하던 중 본 종의 잎 형태의 변이가 불연속으로 매우 심한 것을 발견하여 보풀의 오동정 가능성에 대한 의심이 들었다. 오동정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 농경지에서 채집한 다양한 엽형 변이를 갖는 개체들의 ITS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NCBI에서 보풀과 벗풀의 ITS 염기서열을 내려받아 종내, 종간 변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채집한 모든 개체의 ITS 염기서열은 671 bp로 모두 동일하였으며 보풀과는 33 bp의 염기서열 치환, 즉 4.6%의 종간변이를 보여 다양한 엽형변이와 상관없이 국내에서 채집한 벗풀은 모두 벗풀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형태적 형질을 이용하여 정확한 동정이 어려운 종들은 바코드 기술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제초제저항성 잡초는 동일한 종에서도 종에 따라 다른 관리법이 요구될 수 있으며 국내 제초제저항성 잡초는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잡초 방제를 위해서는 이들 종의 정확한 동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천잠(Antheraea yamamai) Vitellin의 분리와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II. Vitellin의 생화학적 특성 (Studies on the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Vitellin in the Antheraea yamamai Guerin-Meneville II. Biochemical Properties of Vitellin)

  • 김철명;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2-90
    • /
    • 1989
  • 분리.정제한 전잠 vitellin의 분자량추정, 당 및 지질성분의 존재유무, 전기현미경적인 형태 및 크기, 아미노산 조성, 내열성 및 여러 가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1. 분리.정제된 천잠의 vitellin은 전기영동상의 이동도가 다른 large 및 small subunit로 되어 있다. 2. 천잠 vitellin의 분자량은 약 450,000d로 추정되었고, large subunit와 small subunit는 각각 174,000d와 44,000d로 추정되었다. 3. Coomassie brilliant blue, sudan black B 및 PAS 염색에 의해서 천잠의 vitellin은 glycolipoprotein으로 동정되었으며, 2개의 subunit도 당과 지질성분을 가지고 있었다. 4. 천잠 vitellin의 지질성분 중에는 가잠이나 Eri-참에 비하여 매우 다양한 종류들이 검출되며 특히 포화지방이라고 추정되는 물질도 있었다. 5. 천잠 vitellin의 단백질과 당성분은 7$0^{\circ}C$에 60분까지는 안전성을 보였으나, 같은 조건에서 지질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6. 천잠 vitellin의 아미노산 성분 중 다른 곤충에서는 함량이 적은 glycine이 현격히 많았고 기타 성분의 함량은 가잠이나 Eri-잠과 같은 경향이었다. 7. 천잠의 vitellin은 직경이 14$\pm$0.8nm의 균일한 구형이었다.

  • PDF

누에품종별 혈당강하물질 축적양상 구명 (Accumulating Pattern of ${\alpha}-glycosidase$ Inhibitor in Various Silkworm Varities)

  • 강필돈;김진원;손봉희;김기영;정이연;김미자;류강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5-27
    • /
    • 2006
  • 누에장려품종 중 혈당강하제 개발에 적합한 품종 결정을 위하여 DNJ 함량을 정량한 결과, 봄에 사육한 금옥잠이 5.45 mg/gDW으로 DNJ 함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누에 유전자원 원종 66품종의 DNJ 함량을 결정한 결과, 품종간 DNJ 함량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밝혀져, 혈당 강하제용 누에 육종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또한 DNJ 함량이 낮은 품종은 DNJ 축적 기작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메탄 하이드레이트 탐사를 위한 3 차원 탄성파 탐사와 해저면 지구화학탐사의 융합 기술 (Fusion of 3D seismic exploration and seafloor geochemical survey for methane hydrate exploration)

  • 장구보 정웅;소림 임명;등정 철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0권1호
    • /
    • pp.37-43
    • /
    • 2007
  • MH21 연구 컨소시엄에서는 일본 난카이 트러프 동부의 메탄 하이드레이트 탐사를 위해 고분해능 3 차원 탄성파 탐사와 해저면 지구화학탐사를 수행해 왔다. 메탄 하이트레이트가 존재하는 천부지층을 영상화 하기 위해 수행된 고분해능 3 차원 탄성파탐사 결과, 천부 지층에 대한 훌륭한 지질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들은 지질학적, 지구화학적 모델을 구축하는데 유용하며, 특히 메탄가스 또는 메탄을 포함하는 유체의 이동통로, 지구화학적 메탄 하이드레이트 지시자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해저면 지질구조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수중잠수정을 이용해 확인된 메탄 유출 지점과 탄성파 단면의 비교 결과, 해저면 하부의 메탄가스층 및 메탄 하이드레이트 저류층과 해저면 메탄 하이드레이트 지시자 사이의 특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다. 해저지형도와 해저면 반사파로부터 영상화된 해저면 반사파진폭 영상 역시 넓은 지역에 대한 이들 관계를 이해하는 유용하며, 이러한 자료에 기반한 새로운 지구화학적 해저면 탐사도 요구된다. 메탄 하이드레이트 저류층과 해저면 메탄 하이드레이트 지시자 사이의 관계는 고분해능 3 차원 탄성파탐사 자료의 해석을 통해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다. MH21 연구 컨소시엄은 향후 고분해능 3 차원 탄성파탐사로부터 구축된 지질학적, 지구화학적 모델에 기반하여 해저면 지구화학탐사를 수행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3 차원 탄성파 탐사와 해저면 지구화학탐사기술의 융합에 의한 일본에서의 메탄 하이트레이트 탐사에 대해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