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잠김흐름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ubmerged Flow Characteristics of the Improved-Pneumatic-Movable weir through the Laboratory Experiments (실내실험을 통한 개량형 공압식 가동보의 잠김흐름 특성)

  • Lee, Kyung-Su;Jang, Chang-Lae;Lee, Nam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1-62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개량형 공압식 가동보를 대상으로 가동보의 기립 각도변화에 따른 잠김흐름에 대한 가동보의 유량계수를 산정하고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보의 기립각도의 변화에 대한 위어높이와 위어길이의 비(L/W)가 작을수록 하류수두($H_2$)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어마루에서 하류수면까지의 높이와 위어마루에서 상류 수면고 높이의 비($h_t/H$)에 대한 유량비($Q_s/Q_1$) 변화는 $h_t/H$가 1에 가까울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동일한 $h_t/H$에서 Villemonte(1947)와 Tullis(2007)의 결과와 매우 잘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보 하류에서의 수심은 상류보다 작지만 보를 통과하는 흐름으로 인해 하류 유속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유량이 증가할수록 상 하류 수위차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유량조건인 경우 하류수두는 L/W가 클수록 크게 증가하였다.

  • PDF

Analysis of submerged flow characteristics of the improved-pneumatic-movable weir through the laboratory experiments (개량형 공압식 가동보의 잠김흐름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연구)

  • Lee, Kyung Su;Jang, Chang-Lae;Lee, Namj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7
    • /
    • pp.615-623
    • /
    • 2016
  • This Study calculated the Submerged Flow Characteristics and Discharge coefficient by the rising angular change of the Improved-Pneumatic-Movable.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maller the ratio of weir height and weir length (L/W) or the weir standing angle, the bigger of the downstream head ($H_2$). The change of discharge reduction factor ($Q_s/Q_1$), by the hight from weir crest to downstream surface and the ratio form weir crest to upstream water height ($h_t/H$), was decreased when the $h_t/H$ closed to number 1. Although the weir water depth of the down-stream was shallower level than the up-stream, the velocity was faster then before. And the more the flow, the less the gab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aches level. And when the same flow condition, the downstream head ($H_2$) was increased when the L/W was bigger. The Submerged Flow Discharge coefficient of Improved-Pneumatic-Movable weir was made by the upstream approach flow head and the upper lower stream flow condition, not by the physical data of Movable weir.

Experiment of Wetting and Drying for a Step by Dam-Break Flows (댐 붕괴 흐름에 의한 계단의 잠김/드러남 실험)

  • Kim, Hyung Suk;Park, Moon Hyung;Hwang, Seung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79-379
    • /
    • 2015
  • 최근 몇 년간 기록적인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해 홍수피해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국내 대부분의 하천은 고수부지 또는 제방으로 정비되어있다. 국지적으로 발생되는 집중호우는 수위를 급격하게 증가시켜 하천의 고수부지 또는 제방범람을 야기한다. 집중호우로 인한 흐름이 고수부지 또는 제방을 지나면 흐름양상은 매우 복잡하게 변화한다. 그러나 급격히 증가하는 흐름에 의해 하천의 제방, 옹벽 또는 계단지형으로 형성된 고수부지 등을 지나는 흐름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이러한 불연속 단면을 고려하여 예측하기는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흐름이 계단형 구조물을 지날 때 잠김/드러남 특성을 조사하기위해 수리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리실험은 길이 6 m, 폭 0.4 m로 제작된 직선수로에서 수행되었다. 급격히 증가하는 댐 붕괴 흐름을 재현하기위해 수로중간에 게이트를 설치하고 상류에 물을 채운 후 빠른 속도로 게이트를 개방하였다. 하류에는 수로를 따라 계단형 구조물을 설치하고 하류경계는 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하였다. 하류 초기수위는 첫 번째 계단보다 약간 낮게 설정하였다. 계단형 구조물과 그 주변에 파고계를 설치하여 시간에 따른 수위변화를 측정하였다. 다양한 수리조건을 적용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고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급변한 비정상흐름이 계단형 구조물을 지날 때 잠김/드러남 특성을 분석하였다. 차후 이 실험 결과는 하천의 제방 및 계단지형을 고려할 수 있는 고정확도 수치모형을 개발하는 검증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nge at Downstream of Stepped Drop Structure (계단형 낙차공 하류 흐름변화에 대한 실험연구)

  • Yeo, Hong-Koo;Kang, Joon-Gu;Choi, Nam-Jeong;Kim, Sung-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89-189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완경사 계단형 낙차공에서 하류수심 변화에 따른 도수 형태의 변화와 WTF 흐름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정한 유량에서 하류수위를 증가시키면 도수 형태가 달라지는데 특히 계단 끝단에서 완전도수, 잠김도수(B점프), downward curved jet, upward curved jet, wave type flow(WTF)가 차례로 나타났다. 잠김도수에서는 표면 롤러 현상이 관찰되었고 curved jet에서는 큰 유속 감세 없이 파가 하류까지 전달되었다. WTF에서는 사류흐름이 바닥 recirculation 구역의 영향으로 변형되면서 wave 형태의 도수를 발생시켰다. 하류수위를 점점 증가 시키면 도수의 발생 위치가 계단 위쪽으로 이동하며 잠김도수와 WTF가 번갈아가며 발생하였다. 하류수위가 높아질수록 도수의 규모는 작아졌으며 표면 롤러도 미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세 가지 유량조건에 따른 WTF의 규모를 비교한 결과 유량이 증가할수록 WTF의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무차원화한 WTF의 형상은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단형 낙차공은 기존낙차공에서 발생하는 도수와 달리 WTF가 발생되므로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WTF가 발생하는 구간의 수위는 하류수위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하천 설계 시 하천 접합부의 조건(구수부지설치, 제방설치 등)에 따라 wave의 높이가 설계의 중요 인자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WTF는 지금까지의 계단형 낙차공 설계 시 고려되지 못한 부분으로서 차후에 계단형 구조물 또는 계단식 변형 구조물 설계 시 주요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PDF

Flume experiments for studying the effects of submergence on three-dimensional flow structure around a spur dike (수제의 잠김 정도에 따른 3차원 흐름 구조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 Lee, Jiyong;Jeon, Jeongsook;Kim, Youngkyu;Kang, Seokk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2
    • /
    • pp.109-120
    • /
    • 2018
  • In this study, we conducted flume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three-dimensional flow structures around a half-submerged spur dike in a straight open channel flum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two different Froude numbers, 0.10 and 0.18.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experimental result conducted for non-submerged spur dike. Three-dimensional instantaneous velocities were measured using Acoustic Doppler Velocimetry (ADV) and water eleva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ultra sonic distance sensor. The results show that submergence conditions of the spur dike largely influence the three-dimensional flow structures around a spur dike.

Improvement of a wetting and drying scheme for KU-RLMS model (KU-RLMS 모형의 잠김-드러남 기법 개선)

  • Lee, Nam-Joo;Lee, H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11-711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수심적분된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의 잠김/드러남 기법을 개선하고, 기존의 WAD 기법과 새로 도입한 기법의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WAD 기법은 수학적으로는 다소 불완전하지만 수치적으로는 손쉬운 방법으로써, 각 시간 단계에서 잠긴 격자 또는 드러난 격자를 시험하고, 각 격자의 경계에서 플럭스에 대한 개폐 조건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선된 기법은 WAD 경계에서의 질량보존을 고려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 잠김/드러남 처리 과정의 정확도 비교는 포물형 수조에 대한 해석해와 수치모형의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존에 WAD 기법은 수치해와 해석해의 위상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폭은 조금씩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지만, 개선된 기법을 사용할 경우 위상차와 진폭감소 현상이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elocity Fields in the vicinity of Step Weir (계단형 보 주변 유속장 분석)

  • Ryu, Yong Uk;Kang, Joon Gu;Yeo, Hong Koo;Lee, Nam Joo;Kim, Ji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54-454
    • /
    • 2016
  • 하천의 치수안정성 확보 및 수심유지, 생태복원 등과 같은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보의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계단형 보는 재료에 의한 폭기효과 및 서식처 효과 등의 환경적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기존 연구는 표면류 흐름특성을 검증하고 유량변화에 따른 하류단 도수발생위치 변화를 분석하는 등 계단형 보에 대해 수리특성을 정량화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흐름변화에 따른 유속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성 친환경 횡단 구조물 유형 중 하나인 계단형 보의 안정성 검토를 위한 수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함으로써 구조물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체 및 하류 보호공 주변의 유속 분석을 통한 흐름 특성을 검토하고 설계시 외력 고려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계단형 보모형에 대해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폭 0.24 m, 총 길이 3.70 m, 높이 0.30 m인 순환실험수로를 이용하였으며, 계단형 보 모형은 5단으로 단 높이 2 cm와 단 길이 5 cm이며, 보 높이는 10 cm, 보 길이는 25 cm 모형으로 실험하였다. 하류에 전도식 게이트를 설치하여 하류 수위를 증가시키면서 보 하류부에서 발생하는 완전도수부터 하류수심이 보 높이를 초과하는 잠김흐름 조건에 대해 실험하였다. 측정기법은 입자영상측정계(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를 이용하였으며, 상류영역부터 하류영역에 대해 보 주변 흐름의 순간적 유속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된 전반적 흐름 양상에 대해 통계적 수리분석을 수행하였다. 흐름특성에 대한 연구는 향후 계단형 보의 물받이 길이 및 보의 적정 규모 설계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pplicability Test of a Wetting and Drying Scheme for KU-RLMS Model (KU-RLMS 모형의 잠김-드러남 기법 적용성 평가)

  • Lee, Nam-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4
    • /
    • pp.448-457
    • /
    • 2011
  • A wetting and drying(WAD) scheme was introduced in KU-RLMS which is a two-dimensional depth-averaged unsteady model, and applicability tests for wetting and drying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WAD scheme in the model uses a mathematically less elegant but numerically easier method to test for dry or wet cells at each time step, then to apply blocking conditions for fluxes at cells' interfaces. WAD scheme introduced in the model was verified against an analytical solution in a frictionless parabolic basin. It was found that there occurs a little phase difference between analytical and numerical solution and little decrease of amplitude of numerical result. I used three test channels having a linear sloping bottom topography, a stepwise bottom topography, and a stepwise, a bumpy and bowl-shaped bottom topography. It could be found that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in test channels have similar shapes of Balzano[4] and Oey[15].

Influence of Fish Habitats by Change of Flow Patterns with Squr Dikes (수제로 인한 흐름변화가 어류서식처에 미치는 영향 검토)

  • Chanjin Jeong;Yong Jun Kwon;Dong Hyun Kim;Hyung Suk Kim;Seung Oh L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6 no.4
    • /
    • pp.109-121
    • /
    • 2023
  • Squr dikes in rivers can enhance various ecological environment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river's environmental functions. However, the alterations in flow caused by squr dikes not only enhance environmental functions but can also have adverse effec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low changes induced by the installation of squr dikes through flume experiments and assess their impact on fish habitats. Key factors in the fish habitat environment include flow velocity, turbulence kinetic energy, and recirculation zones. Among these, particular emphasis was placed on examining turbulence kinetic energy and recirculation zones.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set by varying the interval and submergence of the squr dikes, resulting in a total of eight experimental ca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shorter interval and lower submergence of the squr dikes led to increased turbulence kinetic energy and recirculation zone sizes, significantly impacting fish habitats.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racteristic in Round-Crested Weir and Water Gate (보 및 수문 설치로 인한 흐름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eo Hong Gu;Kang Joon Gu;Cheong Sang Hwa;Yun Yo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08-1112
    • /
    • 2005
  • 보(round-crested weir)는 수로나 하천의 수위를 조절 과 취수 등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는 하천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보의 수리특성은 자유 월류라는 측면에서 댐의 여수로와 유사하지만 하류 수위가 높아져 수중(submerged)에 잠기게 되면 보의 수리 특성은 여수로와 다르게 해석하여야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하류수위조건에 따라 4가지의 경우 1) 사류, 2) 도수현상을 수반한 상류, 3) 사류흐름으로 인한 도수발생, 4) 잠김상태(submerged)로 구분하고 있다(Chow ,1952). 그러나 이에 대한 흐름 해석은 대표적인 보에 대해 제안된 식으로 각 경우에 대한 정확해 해석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하천에 수문과 동시에 보가 설치될 경우 그 차이는 클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설치되는 보와 수문에 대한 실험연구로써 보의 높이에 비해 수위가 과다하게 높은 경우에서의 수위-유량관계를 이론식과 기존 웨어공식에 대해 각각 비교하여 그에 대한 차이를 검토하였으며 하류수위에 대한 상류수위변동 시점을 측정하여 하류수위의 영향을 받는 임계수심을 제안한 Knapp(1960)식과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