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잔향 시간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alysis of the Deviation Factor in a Reverberation Time to Measuring the Normalized Impact Sound Pressure Level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 측정시 잔향시간의 편차요인 분석)

  • 이주원;홍병국;이동훈;권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509-512
    • /
    • 2004
  •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 평가시 잔향시간은 흡음력 보정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그러나, 잔향시간의 측정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이 5dB 이상씩 변동하는 경우가 생긴다. 잔향시간 측정 편차의 원인은 실의 형상에 따른 고유모드 분포로 설명할 수 있으며, 측정시 계측기에서의 원인, 특히 동특성에 따라 측정 편차가 심하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잔향곡선은 직선적인 형태일 경우에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나,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잔향곡선에 요철이 많이 생기므로 측정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잔향시간을 산출할 때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 PDF

Design of Room Reverberation Filter by Using 5 DOF Reverberation Model (5자유도 잔향 모델을 이용한 실내 잔향 필터 설계)

  • Kim Sohee;Kim Yang-Han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27-230
    • /
    • 1999
  • 잔향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인 지각을 잔향기 설계에 객관적인 수치로써 반영하는 방법으로, 5 자유도 잔향 모델이 제안된 바 있다[1]. 5자유도 잔향 모델은 잔향에 대한 다섯 개의 객관적인 평가량들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음 에너지 감쇠 곡선을 근사화한 것이다. 즉 5 자유도 잔향 모델을 이용하여 청취자가 원하는 특성을 갖는 잔향을 객관적으로 묘사할 수 있고, 이는 잔향을 합성할 때 잔향 필터의 설계 기준이 된다. 그러나 이 모델로부터 만들 수 있는 잔향 필터의 개수는 실로 무한하고, 그 중에는 인간이 듣기에 부자연스러운 합성음을 만들어 내는 경우도 있다. 즉 자연스러운 잔향을 만들기 위해서는 잔향 모델 외에도 부가적인 잔향 설계 기준이 필요하다. 시간, 주파수 영역에서 대표적인 특성을 갖는 몇 종류의 원음에 대한 청음실험을 통해, 필요한 잔향 설계 기준을 제시한다.

  • PDF

Fault Detection Method for Ceramic Cup by Pseudo Reverberation Time Based on Output Data by Impact Test (충격 시험의 출력 데이터에 기초한 유사잔향 시간을 이용한 도자기의 결함 탐지법)

  • Park Seok-T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6
    • /
    • pp.257-268
    • /
    • 2006
  • To determine the faults of ceramic cup it is proposed to use pseudo reverberation time concept estimated by impact test in room. Schroeder curves estimated from impact test for a cup with small crack and without one are utilized to estimate pseudo reverberation time. Pseudo reverberation times are compared and discussed according to a sort of impact hammers and impact points and also boundary conditions. As a result. proposed method is proved to be very useful to detect the existence of faults for candidate cups.

The accuracy of analyzing reverberation time (잔향 시간 분석의 정확도)

  • Kang, Seong-Hoon;Jung, Han-Ky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5
    • /
    • pp.349-355
    • /
    • 2018
  • A large number of parameters have been defined in order to describe and to evaluate the acoustical propeTies in rooms. Reverberation time is an impoTant characteristic of conceT halls, theaters and studios, etc. Over the years, a number of different methods for measuring the reverberation time have been developed, the most common being: the interrupted noise method, the integrated impulse response method,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room response to an impulsive source. However, the reverberation time can be changed by the measurement method, sound source and microphon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reverberation time in a room. In this paper, it will be analyzed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the reverberation time and discussed the limitations.

A Five-Degree-of-Freedom Room Reverberation Model Based on Objective Measures of Reverberation (잔향의 객관적 평가량에 근거한 5자유도 실내 잔향 모델)

  • 안상태;김양한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1
    • /
    • pp.48-53
    • /
    • 2000
  • To analyze a room reverberation, many objective parameters have been suggested as measures of subjective perception in concert hall acoustics. Howeve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dividual parameters and to have a whole image of them. In this paper five primary objective parameters were selected and a reverberation model based on them was established by the reverberation decay curve. The proposed model was interpreted geometrically in terms of subjective characteristics. And finally we discuss the usefulness and the limitation of the model when it is applied to the analysis and.

  • PDF

Analysis of the Reverberation Time in the Normalized Impact Sound Pressure Level (경량충격음 평가시 잔향시간 영향에 대한 고려)

  • Park, C.Y.;Hong, G.P.;Kim, S.H.;Jang, D.W.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05a
    • /
    • pp.952-955
    • /
    • 2007
  • 경량충격음레벨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음실의 잔향시간을 측정하여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을 구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과 표준화 바닥충격음레벨을 구할 때 고려하는 보정레벨을 중심으로 등가 흡음력을 결정하는 잔향시간과 수음실의 체적을 변수요인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측정된 잔향 시간은 공간에 관계없이 기준보다 2배 이상 길게 나타났고, 등가 흡음력은 기준보다 침실의 경우 1/2 정도 작지만 거실의 경우 기준과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 침실의 경우 두 보정레벨이 유사하지만 거실의 경우 전자가 후자보다 낮게 보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rrelation between reverberation time and standing wave (잔향시간과 정재파의 상호관계)

  • 차일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10 no.5
    • /
    • pp.31-38
    • /
    • 1973
  • The Sabine's formula has been widlely used for calculating reverberation time and applied for actual systems. The result of Sabine's method is only same as the reverberation time of one axial wave according to the wave theory. Reverberation time is mainly dependent on the standing waves. In case of the rectangular room the frequencies of three mode covering 250Hz and several intensities at various positions of the room were measures by a spectrograph. It wart found that axial wavers and tangential waves decayed more slowly than oblique wav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axial and tangential wave in a frequency band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room. It is concluded that the results give to control reverberation times in a room.

  • PDF

Inverse estimation of boundary characteristics by using underwater reverberation signals (수중 잔향음신호를 이용한 경계면 상태 역추정 알고리즘)

  • 김상균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06a
    • /
    • pp.45-50
    • /
    • 1996
  • 천해에서 얻은 잔향음신호를 역추정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자료수집 당시의 환경 변수인 해상풍의 세기와 해저면의 상태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소오나 시스템과 잔향음신호 수집 당시의 환경 자료를 알고 있다면 음원에서 방사된 음파가 해수면에 처음 도달하는 시간과 수평입사각을 multipath eigenray model에 의해서 계산할 수 있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잔향음 신호를 분석하여 해수면에 의한 산란잔향음 준위와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해수면 후방산란강도는 수평입사각, 음원의 주파수, 해상풍의 세기 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계산된 잔향음 준위로부터 소오나 방정식을 이용하여 후방산란강도를 알아낼 수 있다. 이 후방산란강도를 입력자료로 하여 Method of Small Perturbation이론과 Chapman과 Harris가 유도한 실험식을 사용하여 입력된 값과 일치할 때까지 후방산란강도를 계산하여 이때의 환경변수를 찾아내었다. 한편 해저면 잔향음신호는 표준화된 후방산란강도값들의 PDF를 만들어 그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환경하에서 실시된 많은 음향괸측자료를 필요로 한다.

  • PDF

Constraints for the Design of Room Reverberation Filter by Using 5-DOF Reverberation Model (5자유도 잔향 모델을 이용한 실내 잔향 필터 설계를 위한 조건)

  • 김소희;김양한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2
    • /
    • pp.58-65
    • /
    • 2001
  • Recently, a 5-degrees-of-freedom (DOF) reverberation model was proposed as a method of representing subjective perception of reverberation as objective measures[1]. This model approximates sound energy decay curve by five objective measures, widely used in which have been concert hall acoustics. However, it is note worthy that there can be infinite number of impulse responses which correspond to a selected 5-DOF reverberation model. There may exist some filters making very unnatural and unrealistic sound. In this paper, the limitation of the 5-DOF reverberation model when it is used as a filter design criteria is investigated. When a 5-DOF reverberation model is given, additional constraints to get natural reverberation are suggested. This is based on the listening tests for several quite different source sounds.

  • PDF

A Study on the Obstacle of Acoustic in Judgment Hall Using Improvement (대법원청사 대법정의 음향장해 개선에 관한 연구)

  • 김정중;김용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11a
    • /
    • pp.772-777
    • /
    • 2003
  • 우리나라의 법원청사 법정은 음향적으로 재판에 필요한 관련자의 발언을 청취하고 또한 방청석에도 명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실의 형상과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목적에 알맞게 건축음향설계를 하여야 하나 법정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도외시하고 거의 예외 없이 음향 전문가의 건축 음향의 기획 검토설계 없이 건축설계자와 시공자에 의하여 설계 건립되었으며 또한 준공된 예술회관과 종교단체의 건물들도 음의 장애현상으로 활용목적을 충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법원청사 대법정의 현재의 건축 구조를 본질적으로 유지하면서 재판에 관련된 관련자석과 방청석에서 발생되고 있는 음향 장해현상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를 연구하기 위하여 대법정의 음향장애 현상을 측정분석을 통하여 주파대역별로 분석하고 건축음향 개선에 필요한 대법정의 실내 흡음력을 산출하여 대법정의 사용목적에 적합하도록 음향 개선설계를 측정 결과치를 중심 개선 방향을 설정하고 음향 시뮬레이션를 통한 음향인자를 (잔향시간, 명료도) 비교 분석 평가 분석한 결과 잔향시간 평균값이 500Hz를 기준으로 1.59대에서 음향설계결과 예측 잔향시간 값이 법정의 권장치인 잔향시간 평균값을 1.1초대로 감소 개선할 수 있는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