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잔존치아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초

임시치아 double scanning을 이용한 전악 임플란트 수복 증례 (Full mouth implant rehabilitation with double scanning of provisional restoration)

  • 양동헌;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방몽숙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52-257
    • /
    • 2014
  •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전악 수복시 환자 고유의 악간관계, 교합평면의 위치, 구순지지, 치아형태와 교합양상을 알 수 없기 때문에 그 모든 것을 임시의치에 기록한 후 이것을 최대한 최종 보철물에 반영하여 이상적인 보철물을 제작해 주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치주질환에 의한 다수 치아 동요가 존재하여 예후가 불량한 잔존치아 전악 발거 후 임플란트 식립하여 임시치아에 환자의 수직 및 수평 악간관계, 교합평면의 위치, 수직 및 수평 피개의 양, 치아 크기, 전치부 길이를 기록하였다. 그 후 임시치아를 스캐너와 CAD/CAM 기술을 이용하는 double scanning technique로 복제하여 임시치아와 동일한 형태의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브릿지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치료 이후 4개월간의 임상 관찰에서 환자는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교차교합을 가진 다운증후군 환자의 상악 이중관 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Prosthetic treatment for Down's syndrome patient with dental cross bite problem using maxillary double crown denture)

  • 도석주;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81-87
    • /
    • 2019
  • 다운증후군은 영구치의 법랑질과 상아질 층이 얇아서 치아가 작고, 부정교합의 발생가능성이 높다. 특히 치주염의 빈도가 높으며 작고 불규칙한 치아 및 좁은 구개로 인한 부정교합의 발생가능성이 높고, 발치 지연이나 유치잔존의 가능성이 있다. 이런 다운증후군 환자에게 있어서 상악 이중관을 이용한 의치는 한가지 좋은 치료선택이 될 수 있다. 상악 이중관을 이용하면 교차교합을 해결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치의 지지 및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향후 지대치 발치시에 수리가 쉬운 장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 다운증후군과 치과공포증을 가진 26세 여자 환자에서 상악에 잔존유치가 존재하고, 치아 갯수가 작으며, 잔존치아 대부분의 경우 법랑질저형성증(Enamel hypoplasia)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좁은 구개로 인한 전후 및 측방으로 교차교합 상태였다. 상악에는 전후 및 좌우 반대교합(Cross bite)을 극복하기 위해서 이중관을 이용한 가철성의치로 수복을 하였고, 하악의 경우는 마취없이 가능한 법랑질에 변연을 형성하여 전치부는 라이네이트로 구치부는 지르코니아로 수복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발치와 마취없이 반대교합을 해결하였으며, 심미성과 기능성의 개선 및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었다.

한국성인의 고혈압, 당뇨 환자의 구강건강행태가 잔존치아 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 on remaining teeth in Korean adults older than 45 year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 이정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51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s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ic patients o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in Korean adults over 45 years of age, furthermore, we also aimed to develop oral health care programs and health promotion for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Methods: Altogether, 1,526 subjec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from the 6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3-2015) were analyzed. Results: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 and periodontal disease on residual teeth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after adjusting for age. We found 1.53 times the risk of having less than 20 remaining teeth in the group of brushing more than 3 times a day (95% CI: 1.00,2.35, p<0.001), 2.27 times (95% CI: 1.23-4.17, p<0.05) in the group not using the dental floss group 0.05), compared to the group undergoing regular dental check-up (95% CI: 0.93-1.85, p>0.05), compared to the non-smoking group 0.77 times (95% CI: 0.51-1.14, p>0.05), 1.33 times (95% CI: 0.98-1.80, p>0.05) in the drinking group compared to the non-drinking group, in the periodontal disease group, the risk of having less than 20 remaining teeth was 2.19 times higher (95% CI: 1.48-3.24, p>0.001) than in the normal group. Conclusions: As a super-aging society, develops in Korea,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will increase gradually. Therefore, an oral health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as well as the management of oral health the elderly.

노인의 활동제한과 잔존치아 수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restrictions and remaining teeth of the elderly)

  • 김남숙;이정화;윤나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9-637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ctivity restriction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of the elderly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Method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program 25.0 version (IBM) using a composite sample for the analysis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and a composite samp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activity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activity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in the model that analyzed only activity restriction variables, the risk ratio of less than 20 remaining teeth was 1.61 times higher and the age-adjusted model, the risk ratio of less than 20 remaining teeth was 1.46 times higher (p<0.001). In the model that corrected all variables,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restriction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could be confirmed, and in subsequent studies, more in-depth studies are considered to be needed using sub-variables that specifically reflect the reasons for activity restriction.

의과적 문제가 있고 소수 잔존치를 가지는 환자에서의 치주보철 임상증례: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법 (Periodontal prosthesis on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 with few remaining teeth: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with friction pin method)

  • 하석준;이청희;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59-365
    • /
    • 2014
  • 치아가 얼마 남지 않은 부분 무치악 환자들에 있어 이중관(Double crown)을 이용한 치료의 성공적인 결과에 대해서 여러 문헌에서 보고 되고 있다. 이중관 가철성국소의치(Double crown removal partial denture)는 잔존치의 치주적인 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게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는 특히 치주상태가 좋지 않고,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는 의과적으로 문제가 있는 환자(Medically compromised patient)에게는 수술에 대한 부담 없이 치료할 수 있어 심리적이고 경제적인 이점이 존재한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은 다수의 치아가 잔존하여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이 가능한 상태였고, 하악은 소수 잔존치만 남아있고 치주 상태가 매우 불량하여 잔존치를 이용한 클라스프 가철성 국소의치로는 수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환자는 1년 전에 하악 전치부 부위의 골수염으로 인한 수술병력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악조건에서 하악의 소수 잔존치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는 2년이상의 기간동안 기능적,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맹출장애를 가진 하악 제1대구치의 치료 : 증례 보고 (Management of Eruption Disturbances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 A Case Report)

  • 전현순;양연미;백병주;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4-320
    • /
    • 2013
  • 하악 제1대구치 맹출장애의 빈도는 전체 인구의 0.01%로 드물게 나타나며, 발생 원인과 발견 연령 등에 따라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primary retention), 이차적 만기잔존(secondary retention) 등으로 분류된다. 치료로는 주기적 관찰, 외과적 노출술, 외과적 노출술 후 교정적 견인술, 탈구를 동반한 교정적 견인술, 외과적 재위치술, 발치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증례보고는 각각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 그리고 이차적 만기잔존으로 진단된 5명의 환자들에서 다양한 치료방법을 이용하여 하악 제1대구치를 성공적으로 교합유도한 증례들을 보여준다. 맹출장애를 갖는 하악 제1대구치는 치아의 평균적인 맹출시기에 임상 및 방사선검사를 통해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 그리고 이차적 만기잔존으로 적절하게 진단내려질 수 있으며, 치아의 맹출 정도, 대합치와 인접치와의 관계, 환자의 연령, 협조도, 경제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되어야 한다.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소수 잔존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보고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a few remaining teeth and implants for a patient with chronic periodontitis: a case report)

  • 신은정;방몽숙;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253-261
    • /
    • 2015
  • 만성 치주염 환자 치료시 잔존치 발치 여부를 결정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 고정성 또는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시 치주조건이 불량한 치아를 지대치로 사용하면 과부하로 조기실패가 우려되어 발치를 고려하지만,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경우 잔존치로 전달되는 기능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잔존치를 유지시키는 경우가 많다. 잔존치를 이용한 전악수복시 proprioceptive response를 보존할 수 있어 악간관계와 교합평면 결정시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환자의 보철물에 대한 적응이 쉽다. 본 증례의 환자는 치주질환에 의해 다수치 상실 및 대합치의 정출을 보였다. 동요도가 심해 예후가 좋지 않은 치아를 발거하고 소수 잔존치와 임플란트로 전악수복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결과를 얻었다.

한국 성인의 잔존 치아 수와 우울증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 조민정;마재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25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subjects were the respondents of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relationship of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calculat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odds ratio(OR) was 1.940(95% confidence interval: 1.062-3.544).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after adjusting for age and gender and OR was 1.515(95% confidence interval: 0.823-2.787).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after adjusting for age, gender and other variables. The OR was 1.399(95% confidence interval: 0.757-2.586). Conclusions: Depression in the adults was related to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fter adjusted for age, gender, and other factors.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 발거에 의한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SECOND PREMOLAR TOOTH BY EXTRACTION OF PROLONGED RETAINED SECOND PRIMARY MOLAR.)

  • 이근혜;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5-501
    • /
    • 2003
  • 매복은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으로 인식할 만한 맹출로의 장애물이나 잘못된 치배의 위치로 인하여 치아의 맹출에 진전이 없는 것을 말한다. 제 3 대구치와 상악 견치를 제외하고 제 2 소구치에서 가장 흔히 매복이 발생하며, 소구치의 매복은 전체 매복의 0.5%를 차지한다. 소구치 매복의 치료에는 교정적 견인과 외과적 재위치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만기 잔존된 유구치에 의해 발생한 소구치 매복은 유구치의 발거 및 공간 유지로서 소구치의 맹출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제 2 소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서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를 발거하고 공간 유지를 하여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을 시도하였는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와 연관된 매복된 제 2 소구치는 유치 발거를 통한 최소한의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제 2 소구치가 맹출할 때까지 적절한 공간 유지와 정기적인 방사선 검사가 필요하다. 3. 교정적 견인 또는 외과적 재위치를 시도하기 전 치아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허용되어야 한다. 4. 치근이 미완성된 치아에서 좀 더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