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잔존내력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화해를 입은 보통강도 철근콘크리트 정방형 기둥의 실용 잔존내력식 (Practical Predictive Formulas for Residual Strengths of Fire-Damaged Normal Strength Reinforced Concrete Square Columns)

  • 이차돈;이승환;이창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12
    • /
    • 2006
  • 화해를 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은 많은 변수에 따라 영향을 받는 복잡한 현상을 나타낸다. 연구에서 고려되는 변수들은 콘크리트 및 철근이 받는 온도크기 및 가열시간, 콘크리트와 철근의 기계적 물성, 함수율, 피복두께, 편심유무, 기둥단면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주요변수들이 화해를 입은 기둥의 잔존내력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할 수 있는 수치해석 모델이 존재하나 실무에서 용이하게, 그러나 어느 정도 정확성을 갖고 화해 입은 기둥의 잔존내력을 예측할 수 있는 실용예측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목적을 위하여 화해를 입은 보통강도 철근콘크리트 정방형 기둥에 대하여 수치해석적 모델에 의한 잔존내력 예측치를 근사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실용예측식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식은 화해시간, 콘크리트강도, 철근비, 기둥단면크기의 영향을 고려한다. 개발된 실용예측식에 의한 잔존내력값은 수치해석 모델에 의한 잔존내력값을 비교적 근접하게 예측하였다. 화해를 입은 보통강도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잔존내력, 안정성 및 추가 필요내력의 산정 등에 대한 예제를 수록하였다.

양단고정 단부구속에 따른 H 형 강재기둥의 좌굴 후 잔존내력 평가 (Evaluation of Post-Buckling Residual Strength of H-Section Steel Column for Both Ends are Fixed Condition)

  • 아베베 다니엘 예쉬와웍;최재혁;김진향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1호
    • /
    • pp.83-88
    • /
    • 2013
  • 연쇄붕괴는 충격이나 폭발 등의 비정상 하중에 의하여 구조물의 하중 전달요소가 제거됨으로써 구조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연쇄적으로 붕괴되는 형상을 말한다. 예상외의 하중이 기둥부재에 작용할 경우, 좌굴이 발생하며 내력저하가 급격히 진행되어 붕괴에까지 이르게 된다. 하지만 좌굴 후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잔존내력이 충분하면 붕괴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이 최종 붕괴상태에 도달되는 전 과정에 대한 기둥부재의 하중-변형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H 형 강재기둥의 단부 구속조건이 고정일 경우 잔존내력의 변화추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처짐이론을 기반으로 이론식을 도출하여 해석값과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지속하중을 받은 FRP 외부부착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의 거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RC Beams Externally Bonded with FRPs Under Sustained Loads)

  • 심재중;오광진;김연태;박선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25-132
    • /
    • 2010
  • 최근 건설 사업에서 FRP를 단순 부착하여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수보강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FRP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지속하중을 받고 있기 때문에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하여 FRP의 보강효과도 달라지며, 처짐 및 변형의 회복성능, 잔존 내력 역시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CFRP, GFRP가 휨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보강 성능을 파악하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 하중을 제거하여 장기 변형 및 처짐의 회복성능을 파악하고, 잔존하는 내력을 알아보고자 정적 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한 결과, FRP 보강 실험체는 즉시 처짐을 제어하는 측면은 매우 효율적이고, 즉시변형 회복량 또한 즉시 변형량보다 큰 결과를 보였다. 잔존강도 실험을 통하여 CFRP로 보강된 실험체가 가장 큰 내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RP로 보강된 보는 지속하중에 의한 부착성능 및 잔존내력에는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비재하 가열에 의한 무내화피복 CFT 기둥의 잔존내력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Residual Strength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 without Fire Protective Coating by Unstressed Heating)

  • 김규용;이형준;이태규;김영선;강선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31-39
    • /
    • 2009
  • 최근 고층건물의 화재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이 사회적으로 부각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고층 건물에 다수 사용되고 있는 CFT기둥 부재에 대한 내화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나 기준들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충전한 CFT 단주를 제작하여 내화실험을 실시하고, 화재시 내화성능평가 및 비정상온도분포해석을 이용한 해석을 수행하여 온도분포해석의 모델링을 제안할 수 있었다. 이것을 기초로 CFT Stub Column의 고온특성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화재시 내화시간에 따른 CFT기둥의 잔존내력 예측식을 유도할 수 있었다.

방화석고보드 부착이 섬유혼입 고강도 콘크리트 모의 기둥부재의 내화특성 및 잔존내력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ffect of Fireproofing Gypsum Board on Residual Strength and Fire Resistance of Fiber Addition High Strength Concrete-Model Column)

  • 양성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42-450
    • /
    • 2012
  • 본 연구는 5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 모의 기둥부재를 대상으로 PF섬유 혼입 및 방화석고보드를 부착하므로써, 내화특성 및 잔존내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모체 콘크리트의 기본 물성은 모두 목표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온도이력은 방화석고보드가 미부착된 경우 온도가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방화석고보드가 부착된 경우는 섬유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온도가 점차 낮게 분포되었다. 상호관계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섬유가 혼입된 경우에서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보드가 부착되었을 때 더욱 낮은 온도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외관성상은 PF 0 %에서 심한 파괴 폭렬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섬유혼입율이 증가할수록 탈락 현상은 방지되었으나, 색상 변질 및 다수의 균열이 발견되었고, 보드가 부착된 경우는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외관이 양호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잔존 압축강도로 보드 미부착 PF 0 %에서는 강도측정이 불가능하였으며, 섬유혼입율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증가하였으나, 약 30~40 %의 강도저하 현상을 나타내었고, 보드 부착 PF 0 %의 경우 강도측정은 가능하였으나 약 80 % 가량 강도가 저하하였으며, 섬유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저하폭은 감소하여 약 10~20 %의 강도 저하만을 나타내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PF섬유 혼입 및 방화석고보드 부착을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두 가지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할 때 내화성능 향상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둥손실에 따른 철골프레임 잔존내력의 해석적 평가 (Analytical Evaluation of Residual Strength for Steel Frame in case of Column Member Loss)

  • 박훤모;;김현수;최재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75-683
    • /
    • 2011
  • 구조물의 우발적인 붕괴가 발생할 경우, 기둥 또는 기둥군(群)에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낙하물의 충격하중은 기둥부재의 하중변형관계에 따라 소성변형에너지로 흡수가 가능하다. 진행성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둥부재의 에너지 흡수 능력이 상시지지 하는 연직하중과 낙하물의 충격하중을 합한 연직하중보다 커야 한다. 이를 위해 구조물이 최종 붕괴 상태에 도달되는 전 과정에 대한 기둥부재의 하중변형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1층 4경간 평면철골프레임의 비선형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기둥부재의 우발적 손실에 대한 에너지 흡수 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극한해석을 실시하여 연직하중의 저하 정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비선형요구내력스펙트럼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건물의 지진손상도 평가법 - Part I. 지진손상도 평가법 개념 - (A New Methodology of Earthquake Damage Evaluation for R/C Buildings Based on Non-linear Required Strength Spectrum - Part I. Concept of Earthquake Damage Evaluation -)

  • 이강석;위정두;전경주;최윤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111-11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지진응답해석을 이용하여 유도된 전단 및 휨파괴형 부재가 혼합된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비선형 요구내력스펙트럼을 이용한 지진손상도 평가법을 제안하였다. Part I에서는 지진 손상도 평가법, 즉 비선형 요구내력스펙트럼을 수식화하여 대상건물의 특정 연성률별로 지진입력수준과 내진성능잔존률(R)을 산정하여 구조물의 손상정도를 평가하는 지진손상도 평가법의 개념을 나타낸다.

  • PDF

화해를 입은 철근콘크리트 내부기둥의 잔존거동 수치해석 모델 (Numerical Modeling of Residual Behavior of Fire-Damaged Reinforced Concrete Interior Columns)

  • 이차돈;신영수;이승환;이창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893-902
    • /
    • 2005
  • 화재에 노출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판단 및 보강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화해손상을 입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잔존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합리적 모델이 필요하다 . 화해 손상을 입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잔존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이론모델 은 기둥 내부에 전달되는 열, 구성 재료의 열화 정도, 그리고 여러 형태의 기둥단면 형상을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 서 제안한 수치해석 모텔은 이러한 영향인자들을 고려한다. 개발된 모델은 화해를 입은 기둥의 잔존거동을 적절하게 예측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피복두께, 화해노출시간, 기둥의 기하학적 형상 등이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잔존거동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하여 변수 고찰하였다. 변수고찰 결과 장기간 화해에 따른 기둥의 잔존내력 감소가 심각하게 나타났으나 기타 변수들의 차이에 따른 잔존거동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