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잔디 초생대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새만금유역 수질오염저감을 위한 잔디초생대 적용 (Application of Turf grass VFS for Water Pollution Degradation in Saemangeum Watershed)

  • 이슬기;장정렬;최경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47-647
    • /
    • 2015
  • 본 연구는 새만금 유역에 잔디초생대 적용 시 수질오염 저감효과와 적용비용을 산출해 보았다 또한 초생대 본래의 기능 외에 잔디의 활용성에 대해서도 평가해 보았다. 새만금유역 내 익산시 밭경지에 세로 22m${\times}$폭 5m 규모로 대조구 1개소, 처리구 2개소를 각각 조성하여, 처리구 말단에 세로 2m${\times}$폭 5m 규모의 잔디 초생대를 조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포의 경사는 8%이며, 토성은 양토로서 토양배수등급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기간동안 모니터링 실시한 강우에 대해 각 시험구별로 측정된 유출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생대 처리구의 대조구 대비 유출저감 효과는 14.1~64.0%로 나타났으며, 비점오염저감효과는 SS 9.8~73.9%, T-N 24.0~84.2%, T-P 31.6~80.9%으로 나타났다. 잔디초생대 적용시 소요되는 총비용의 산정은 초생대 조성을 위한 잔디구입비 및 관리비용, 초생대 조성 면적만큼의 작물재배 포기로 인한 손해비용 등을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 초생대 조성을 위한 잔디구입 및 조성비용과 유지관리비용은 1,730천원/ha로 소요되는 것으로 산정되었으며,, 초생대 구역의 작물 재배포기로 감수해야 할 손해비용은 1,649천원/ha로 산정되어 잔디초생대 적용을 위한 총비용은 3,379천원/ha/year로 산정되었다. 또한 차년에는 조성비용은 제외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비용 및 손해비용만을 고려한 1,899천원/ha/year이 소요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잔디의 활용성 평가는 초생대가 완전 피복된 후 잔디를 일정부분 떼어 내어 판매할 경우를 고려하여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초생대 40% 규모의 잔디를 떼어내 판매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수익은 1,260천원/ha/year으로 추정되었으며, 떼어낸 부위의 잔디 재활착은 정상적으로 진행됨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잔디초생대는 새만금유역의 수질오염 저감효과 뿐만 아니라 잔디판매를 통한 농민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초생대의 현장 적용성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밭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초생대 적정 초종 선정 (Selection of Appropiate Plant Species of VFS (Vegetative Filter Strip) for Reducing NPS Pollution of Uplands)

  • 최경숙;장정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0호
    • /
    • pp.973-983
    • /
    • 2014
  • 본 연구는 밭경지 현장실험을 통해 다양한 초생대 초종을 적용하여 밭의 비점오염저감효과 분석 및 초생대에 적용 가능한 적합한 초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경북 군위군에 위치한 면적 $1,500m^2$, 경사 5%의 밭경지를 선정하여 시험포를 조성하였으며, 시험포내에는 대조구 1개와 초생대 처리구 6개로 구성된 총 7개의 시험구를 조성하였다. 츄파, 피, 바랭이, 잔디, 톨페스큐, 켄터키블루그라스를 포함하는 6개의 초종을 선정하여 초생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실험 결과 대조구 대비 초생대의 유출저감효과는 6.1~77.8%였으며, 비점오염저감효과는 TS의 경우 15.6~90.3%, T-P의 경우 49.9~96.6%, T-N의 경우 6.7~91.1%를 나타내었다. 전체 오염인자 중에 초생대로 인해 전반적으로 높은 비점오염저감 효과를 나타낸 것은 TS, T-P, T-N, SS인 반면, BOD, TOC와 $NO_3^-$는 낮은 저감효과를 보였다. 비점오염저감 및 유지관리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초생대 초종은 잔디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농촌지역 밭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관리기법으로 초생대가 효과적으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되며, 보다 장기적이고 다각적인 현장실험을 통해 초생대 현장적용을 위한 설계 지침서 개발이 요구된다.

밭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잔디초생대 적용 비용 및 활용성 평가 (Estimation of Application Cost and Utilization of Turf Grass VFS for Reduction of Uplands NPS Pollution)

  • 이슬기;장정렬;최경숙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7권2호
    • /
    • pp.75-83
    • /
    • 2015
  • This study was aimed to estimate the total application cost and utilization of Turf grass VFS application through the field experiment. The experimental plots were constructed in an upland field of Iksan city within the Saemangeum watershed. Turf grass was transplanted at the down-slope edge of the pollution source area in each of the treated plots. Three rainfall events were monitored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and the rainfall-runoff relationships and NPS pollution reduction effects of the VFS systems were assessed. As results, the reduction ratio of runoff volume ranged 14.1~64.0 %, while the NPS pollution reduction ratio ranged 9.8~73.9 % for SS, 24.0~84.2 % for T-N, 31.6~80.9 % for T-P respectively. The total cost of VFS application was estimated by considering purchase cost of Turf grass sods an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of VFS system as well as the loss caused by giving up crop cultivation for the area needed to construct the VFS. The total cost of the VFS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379,000/ha/year for the first year of application, and this cost could be decreased to \1,899,000/ha/year from the second year as the construction cost of VFS could no longer need to be counted afterwards. Apart from the NPS pollution reduction effects, the possible utilization of VFS was examined by detaching Turf grass within 40 % of VFS area for sale during spring time when the VFS systems fully covered. The benefit of selling the detached Turf grass sods was estimated as \1,260,000/ha/year, and also found that the VFS area successfully recovered by the time of the summer period. This benefit could attract farmers to adopt the VFS technique to manage agricultural NPS pol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