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 보조공학기기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urvey on Awareness and Availability on Items of 2018 Assistive Devices Distribu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i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2018년도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 품목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도와 활용도 조사)

  • Kim, Jeong-Eun;Park, Je-Min;Bae, Su-Yeong;Jung, Nam-hae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
    • v.26 no.4
    • /
    • pp.85-95
    • /
    • 2018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availability on items of 2018 assistive devices distribu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i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A total of 132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May 1 to May 31. Results : 96.2%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responded that assistive device is helpful in lives of the disabled people. Especially, they responded that assistive device is the most helpful in 'movement and mobility'. Awareness on an angle spoon/fork with built-up handle and universal cuff was the highest, while a visual signaling indicator was the lowest. Availability on an air cushion was the highest, while a visual signaling indicator and a voice guidance system were the lowest. 67.4% responded that 'sometimes' they use the assistive device and 77.3% responded they will utilize the assistive device. To improve awareness and availability, 43.2% needed financial support, 32.6% needed to add insurance bill and 22.7% needed related education. Conclusion : In the future, this result will be available as a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about assistive device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 Study on Improvemen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Support System for the Work Disabled in Korea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Mi-Jung;Nam, Se-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2
    • /
    • pp.523-530
    • /
    • 2021
  • The study i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ATD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ATDs support system for work. As a method, domestic and foreign systems were investigated to derive implications can be applied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that compromised Gilbert and Terrell's policy analysis model and research purpose. Next, a survey was conducted on 202 disabled supported ATDs for Work. They were looking for a job or working. We would like to suggest a plan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upport process centered on consumers. Second, the expansion of items and supplementation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onsidered. Third, it is urgent to expand the application qualifications. Finally, the foundation for improvement should be continuously laid. We expect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support system will be established.

A Surve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Satisfaction in Assistive Technology of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ies (지체장애인의 보조공학 이용 실태 및 만족도 조사)

  • Lee, Chun-Yeop;Kim, Eun-Joo;Noh, Dong-Hee;Moon, Seo-Jin;Park, Sung-Ho;Chae, Gang-Seok;Chang, Moon-young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3 no.1
    • /
    • pp.21-31
    • /
    • 2013
  •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the present situation and satisfaction in assistive technology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 Method : 110 patients, being diagnosed with spinal cord injury and stroke, were chosen and structured interview was carried out using by a questionnaire. Result :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pinal cord injury(76.2%) and stroke(72.5%) patients used the most wheelchair and mobility devices i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Second, they were satisfied in effectiv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Third, spinal cord injury(39.4%) patients used the most repair service i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Fourth, stroke(28.2%) patients used the most application and training service. Fifth, they were satisfied in professionality while were dissatisfied in service delivery program.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better assistive technology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

  • PDF

Design for ESFAS ARC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 계통 보조계전기 캐비넷 설계)

  • Han, Sang-In;Jang, Woo-Hyun;Shin, Hyun-K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1.07a
    • /
    • pp.734-737
    • /
    • 1991
  • 본 고는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계통 보조계전기 캐비넷의 설계과정을 위하여 작성되었다.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계통 설계는 순차적인 과정을 밟아서 진행이 되므로, 설계담당자(Cognizant Engineer)는 그 작업순서를 이해하여야 하며, 각 과정마다 필요한 자료들과 생산해야될 결과물들을 정확히 파악하여야만 설계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계과정은 많은 연계 업무가 있으므로, 서로 주고받아야 할 자료들의 종류 및 그 시기를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본 내용에서는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계통 보조전기 캐비넷의 특성에 따라 연계요건서, 설계시방서 및 개념적인 도면을 중심적으로 기술하였으며, 기기설계(Component Design)와 제작설계(Manufacturing Engineering) 및 현장지원(Field Supports)은 아직까지도 미비한 점이 많으나, 담당자(Cognizant Engineer)가 아는 바대로 작성하였다.

  • PDF

Design of Household Trash Collection Robot using Deep Learning Object Recognition (딥러닝 객체 인식을 이용한 가정용 쓰레기 수거 로봇 설계)

  • Ju-hyeon Lee;Dong-myung Kim;Byeong-chan Choi;Woo-jin Kim;Kyu-ho Lee;Jae-wook Shin;Tae-sang Yun;Kwang Sik Youn;Ok-Kyoo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113-114
    • /
    • 2023
  • 가정용 생활 쓰레기 수거 작업은 야간이나 이른 새벽에 이루어지고 있어 환경미화원의 안전사고와 수거 차량으로 인한 소음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영상 인식을 활용하여 종량제 봉투를 인식하고 수거가 가능한 생활 쓰레기 수거 로봇의 설계를 제시한다. 제시하는 생활 쓰레기 수거 로봇은 지정 구역을 자율주행하며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해 학습된 모델을 기반으로 가정용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검출한다. 이를 통해 처리 대상으로 지정된 종량제 봉투와 로봇 팔 사이의 거리를 카메라를 활용하여 얻은 깊이 정보와 2차원 좌표를 토대로 목표 위치를 예측해 로봇 팔의 관절을 제어하여 봉투를 수거한다. 해당 로봇은 생활 쓰레기 수거 작업 과정에서 환경미화원을 보조하여 미화원의 안전 확보와 소음 저감을 위한 기기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performance and Vocational abilit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인의 직무수행도와 직업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Kim, Mi-J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2
    • /
    • pp.427-434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job-performance of manual wheelchair post-management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performance and vocational abi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is study, situational evaluation and vocational evaluation were conducted for 9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about manual wheelchair post-management. The data was analyzed by non-parametric statistical processing. As a result, the job-performance was an average of 80.87%. The job-perform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s with visual closure, kinesthetic integration, and basic concepts(p<.05). The relationship between job-performance and vocational abilitie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vocational training program and job assignment. It is expected to be useful of spreading the post-management job f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n the local community activat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assistive technology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n Informatization Education of the Blind and Hearing-impaired Persons for solutions of Digital Divide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시.청각 장애인 정보화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Gwon, Mi-Gyeong;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181-185
    • /
    • 2010
  • 본 연구는 시 청각 장애인의 정보격차 및 정보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장애인 정보화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장애인 정보화 교육이 보다 효율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시 청각 장애인에게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은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정보화가 진행될수록 신체적 결함으로 인한 정보소외는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첫째, 시 청각 장애인에게 정보화 교육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화 교육을 실현할 수 있도록 정보화 교육과정 및 교수법 개발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의 정기적인 지도 점검이 요구된다. 넷째, 보조공학 기기 및 S/W에 대한 지원 및 개발을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 청각 장애인 정보화 교육 과정의 표준화 작업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pollutants using IoT technology in LID facilities (LID 시설 내 IoT 기술을 활용한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

  • Jeon, Minsu;Choi, Hyeseon;kevin, Geronimo Franz;Reyes, N.J.DG.;Kim, Le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3-453
    • /
    • 2021
  • 도시지역 비점오염원관리, 물순환 회복, 침투 및 증발산량 증가, 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주요한 방안으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과 그린인프라 기법의 적용되고 있다. LID 시설은 소규모 분산형 시설로써 넓은 지역에 많고 다양한 시설들이 적용되어 시설의 개수가 많으며, 수질 및 토양 내 기성제품에 대한 센서들의 가격은 고가로 형성되어 있어 기기의 경제성 및 유지관리 등 적용하는데 제한적이다. 따라서 과거 모니터링 자료를 기반으로 오염물질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계측이 어려운 항목들을 계측가능한 항목들로부터 예측 가능하며, 선정된 항목들에 대한 비용효율적인 센서를 개발하여 실시간 LID 모니터링이 가능한 비용효율적 모니터링을 개발하였다.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의 LID 시설들은 2013년에 조성되어 현재까지 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5년이상의 과거 강우시 모니터링 자료들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을 수행가능 하기에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은 2013년부터 2017년도에 침투도랑에서 수행된 강우시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각 오염물질들의 상관성을 분석을 수행하였다. 침투도랑 내 유입되는 평균 유입수는 TSS 286.1±318.3 mg/L, BOD 22.6±39.5 mg/L, TN 8.96±5.85 mg/L, TP 1.01±1.11 mg/L로 나타났다. 겨울철에 비해 여름철에서의 오염물질의 유입농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여름철 고온건조로 인한 노면 내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중금속, 폐타이어 등과 장마철 강우 시 유출된 토사로 인하여 유입수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물질 부하량은 TSS와 COD 0.66으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COD와 TSS, TP, TN 등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rduino와 Raspberry PI를 활용하여 저비용 센서와 LTE 모뎀통신과 데이터 베이스 연결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서 무선으로 LID 시설에 대한 모니터링을 침투화분2와 식생체류지에 조성하였다. 전력공급이 어려운 식생체류지의 경우 태양열(Solar system) 시스템과 보조 전력 배터리를 조성하여 장마철이나 장기적인 악천후로 인한 전력을 생산하지 못할 경우 보조전력배터리에서 전력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토양함수량, 토양온도와 Conductivity 등 3종류의 센서를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은 현재 2단계를 통한 2차수정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구축하였다. 오차, 오작동, 계측값에 대한 검·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대기자료의 구축을 통해 보다 토양과 LID 시설에 대한 영향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