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참여

Search Result 87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Feature, Leisure Participation Type,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University Students' Life Care (대학생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감각처리특성과 여가참여유형, 작업참여인식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

  • Park, Young-Ju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6
    • /
    • pp.203-21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feature, leisure participation type,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QoL) for life care in university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19 to March for 169 university students. The author used the Adolescent / Adult Sensory Profiles (AASP) for sensory processing, and used the leisure activity questionnaire to find out the type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used the Occupational Self Assessment (OSA) for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for QoL.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feature, leisure participation type,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QoL. Among the sensory processing featur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ow registration and sports.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seeking and sports, social activities, tourism.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low registration, sensory sensitivity, sensory avoiding. Hobbies, appreciativeness and social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QoL (p <.05, p <.01). Sensory processing feature correlated with leisure participation type, occupational participation perception, and QoL. Future research should develop evaluation tool for leisure activities,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QoL based on sensory processing.

Factors which Influence Quality of Life(QOL) among Asian Migrant Women in Australia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tudy (호주 이민 아시아 여성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설문지를 이용한 단면연구)

  • Park, Kang-hyun;Kang, Eun-Jeong;Jeon, Byoung-Ji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8 no.1
    • /
    • pp.11-21
    • /
    • 2018
  • Objective : Migration can be a stressful process to people because they have to adjust a lot of things including habits, routine and cultural behavior. Also, Migrant can negatively impact on participation in daily meaningful occupa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ether participation in meaningful occupations after immigr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mpact the QOL in migrant women. Method : Migrant females who live in Australia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n= 9). In this study, participation, environmental factors and QOL were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Purposive sampling was used to select the participants who were then asked to fill out a survey. Both quantitative data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 quantitative data that was transcribed and coded. Result :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shows that the total scale of QOL and the total scale of occupational engagemen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t the 0.05 level. Conclusion :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occupational engagements. Migrant women tend to have a lack of participation in meaning occupations thus, it seems to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Implementation of Shared Work Environment using JAVA on the CORBA Environment (CORBA 환경에서 JAVA를 이용한 공동 작업 환경 구현)

  • 김근형;이봉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08-213
    • /
    • 1998
  • 멀티미디어 회의, 원격 교육, 원격 의료 등과 같이 다수가 참여하여 공동으로 작업을 하는 응용 서비스들이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가능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가 참여하여 객체를 공유하면서 공동 작업을 하여야 하는 응용들은 공유 작업 환경(shared work environment)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또한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응용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세션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여러 세션에 참여하여 공동 작업이 가능한 공유 작업 환경을 다자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세션의 제공, 제어 및 관리를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기반의 COMUS(CORBA based Multiparty Multimedia System)와 자바 언어의 객체 지향 특성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최종 사용자 전산환경에서의 공동작업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문용은;서창갑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6.04a
    • /
    • pp.399-402
    • /
    • 1996
  • 정보시스템의 가장 큰 목적은 시스템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보의 유용성 결정은 사용자들의 판단에 근거하므로 사용자의 참여는 시스템 성공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사용자 참여에 대한 기존 연구는 사용자의 참여에 대한 이점을 설명하고 있기는 하나, 메인프레임 환경의 전통적 시스템 개발방법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최종사용자 전산환경에서의 사용자 참여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필요하다. 최종사용자 전산 환경에서는 최종사용자의 책임과 권한, 정보의 내용, 친숙한 개발 도구 등으로 인해 시스템 개발 주기의 일정 단계에서의 제한적 참여가 아닌 주체적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개발 환경은 참여자로서의 역할보다는 오히려 개발자로서의 역할이 훨씬 더 강조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자로서의 사용자 참여가 발생하는 새로운 환경을 '공동작업'이라고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공동작업'의 결과로 인한 정보시스템의 성과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공동작업'이 사용자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 PDF

Collaborative Attributes of a Visual Language (시각언어의 공동작업 속성)

  • Kim, Kyu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71-17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공동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시각언어를 제안하고 생성되는 시각문장에서 공동작업을 위한 속성과 컴파일 방법을 설명한다. 생성되는 시각문장은 객체 아이콘과 연산자로 구성되며, 각각은 공동작업 참여자와 참여자간 상호작용 시점에 따른 공동작업 관계를 의미한다. 생성되는 시각 문장은 객체 아이콘과 연산자의 결합 관계에 따라 다양한 공동작업을 지원한다. 또한, 동기 및 비동기 공동작업을 함께 표현함으로써 기존 공동작업을 위한 시각언어보다 효율적으로 공동작업을 지원한다.

  • PDF

Construction of A Collaborative Documentation Environment based-on Message Agents (메시지 에이전트에 기반한 협동 문서화 작업 환경의 구축)

  • 장성봉;나홍석;백두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547-549
    • /
    • 1998
  • CASE도구의 일부로 제공되는 기존의 문서화 도구들은 개발자들을 위한 편리한 기능을 제공했지만, 문서화 참여자들 사이의 협동작업 및 정보교환을 효과적으로 지원해 주지 못했다. 협동작업 환경 및 정보교환 도구 지원의 미비로 인한 문서화 참여자들 사이의 의사소통 부족은 문서 사이의 불일치(Inconsistency), 누락(Incompleteness), 애매모호함(Ambiguity)을 발생시킨다. 소프트웨어 문서가 사용자 및 개발자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기 위해서 협동 문서화 작업 환경의 구축과 정보 교환 도구의 지원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 상태와 사건을 중심으로 한 문서화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문서 변경이나 삭제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탐지하여 자동으로 개발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주는 메시지 에이전트(Message Agent) 기반의 협동 문서화 작업 환경을 제안한다. 협동 문서화 작업 환경은 여러 명의 문서화 참여자들이 서로의 문서를 공유하며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메시지 에이전트를 통한 메시지의 자동 전송으로 문서화 도중에 개발자가 직접 메시지를 작성하던 번거로움을 줄이고 문서의 질적인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ORBA에 기반한 워크플로우 엔진 프로토타입 개발

  • 김동수;김영호;강석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33-3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공동 작업에 참여하는 작업자들의 업무흐름(workflow)을 관리하기 위한 워크플로우 엔진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분산 객체관리의 표준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하였으며, JAVA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호환성과 이식성을 높였다. 또한, HAD(heterogeneous and autonomous and distributed) 환경에서 작동 가능하도록 엔진을 설계하였다. 따라서, 공동작업에 참여하는 작업자들이 플랫폼에 상관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엔진에 접속할수 있으며, 워크플로우 엔진은 공동 작업을 진행 및 감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설계 작업에서의 변경요청(ECO:Engineering Change Order)이라는 업무흐름에 적용하여 보았다.

  • PDF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in Dementia Patients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와의 상관관계)

  • Lee, Hyun-Jin;Kwon, Hyuk-Cheol;Kim, 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4
    • /
    • pp.472-480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ognitive function and the ability for occupational participation in patients with mild and moderate dementia and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study investigated 95 dementia patients who visited a day care center in Daegu between September and November, 2017. Their detailed cognitive functions were examined using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Geriatric population: LOTCA-G. Their occupational participation was measured using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 (MOHOST). The subjects' cognitive functions and abilities for occupational particip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produced by the SPSS 20.0 program. In addi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subjects and their abilities for occupational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the ability for occupational participation of patients with mild and moderate dementi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valuation of the patients with dementia and ability for occupational participation related to the cognitive function in establishing the therapeutic goal should be considered.

Mobil Agent based User Group Management for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분산 가상 환경을 모빌 에이전트 기반 참여자 그룹 관리)

  • 이승근;탁진현;이세훈;왕창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236-238
    • /
    • 1999
  • 컴퓨팅 능력의 발달과 네트워크의 대용량화로 인해서 다중 참여자를 고려한 분산 가상 환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분산 가상 환경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다중의 참여자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참여자 그룹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기존의 분산 가상 환경에서의 참여자 그룹 관리는 참여자의 가입, 탈퇴 처리와 현재 상태의 제공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의 참여자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재 상태의 정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그룹 활동의 지원과 각각의 참여자가 수행한 작업의 형태와 그룹에 대한 정책등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기존의 참여자 그룹 관리 방식에는 중앙 서버에 지나친 부담을 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하기 위한 고려도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모빌 에이전트를 기반한 분산 가상 환경을 위한 참여자 그룹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의 특징은 하나의 그룹내에 다수의 소그룹이 존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그룹 활동을 지원하며, 그룹의 현재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그룹에 참여하는 각각의 참여자들의 행위 정보와 이동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참여자를 진단을 욕하는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빌 에이전트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중앙 서버에 대한 지나친 부담 문제를 해결하였다.

  • PDF

The effect of occupation-centered transition program on self-efficiency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에 미치는 효과)

  • Kim, Ko-Un;Oh, Hye-Won;Kim, 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2
    • /
    • pp.441-449
    • /
    • 2017
  • This study applied an occupation-centered transition program to adults, aged 18 years or mor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residing in a local community,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participants' self-efficacy and social participation.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program, 44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an occupation-centered transition program was applied, and the control group, to which the program was not applied. A self-efficacy scale and the K-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 (CPI) were used to assess self-efficacy and social particip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p<0.05). Similarly, a greater increase in the CPI scores was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 (p<0.05), but those in the control group were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occupation-centered transition program can improve self-efficacy and social participation in adults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