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업지능

검색결과 865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어 개념망 구축을 위한 지능형 워크벤치 (Intelligent Workbench for Korean Concept-Net Construction)

  • 허정;최미란;장명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472-474
    • /
    • 2005
  • 개념망은 상당히 도메인에 의존적인 언어자원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메인이 다른 분야에 적용하고자 한다면, 많은 수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개념망의 편집은 언어 이해 능력이 뛰어난 언어학자들 조차도 상당히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대부분의 시간소요는 개념망의 전체적인 계층구조를 스캐닝하는 작업과 특정 노드를 검색하는 작업에 의한 것이다. 기 구축된 개념망을 분석하면 계층관계에 있는 어휘들간의 일관된 규칙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어휘들의 뜻풀이와 상위어간의 관계성, 복합명사와 상위어간의 관계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위어 추천 기능을 구현하였다. 상위어 추천 기능의 시간 절감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실험자 2인을 대상으로 개념망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위어 추천 기능이 있는 지능형 워크벤치를 이용할 경우 개념망 작업 시간은 약 $65\%$정도로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지능형 워크벤치는 다양한 도메인에서 요구되는 개념망 구축의 시간 비용 절감에 크게 기절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능형 로봇 제어를 위한 작업계획 생성기와 실행기의 통합 (Integrating Task Planner with Plan Exective to Control Intelligent Robots)

  • 김인철;김하빈;신행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37-14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로봇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해 작업계획 생성기와 계획 실행기간의 연동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작업계획 생성기와 실행기의 대표적인 유형과 연동방식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BDI 구조의 계획 실행기에 주문형 작업계획 생성기를 연동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소개하며, 이러한 연동방식에 기초한 지능형 로봇 제어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AIBO 로봇을 이용한 데모시스템의 구현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이러한 연동방식과 제어구조의 유연성과 견고성을 분석해본다.

  • PDF

모바일 사용자 작업 예측 모델 및 정확도 평가 기법 (Mobile User Task Prediction Models and Accuracy Evaluation Method)

  • 강영민;옥수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742-1748
    • /
    • 2007
  •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편리한 접근을 제공하고 휴대 장치의 활용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입출력 환경에서 효율적인 작업 선택과 전환 등을 보장할 수 있는 지능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지능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에 필수적인 사용자 작업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 이러한 모델을 통한 예측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 비디오 게임 플레이 인공지능을 위한 GreedyUCB1기반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 (GreedyUCB1 based Monte-Carlo Tree Search for General Video Game Playing Artificial Intelligence)

  • 박현수;김현태;김경중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72-577
    • /
    • 2015
  • 보통의 인공지능 시스템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되며, 해당 작업만을 수행하는 능력을 가진다. 그에 반해 인공 일반지능이란 설계 당시 목표로 한 작업만이 아니라 새로 접하는 다양한 문제에도 대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의미한다. 최근 게임 인공지능 분야의 일반지능 문제인 General Video Game Play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디오 게임으로 범위가 제한되었지만,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단일 인공지능을 설계하는 것은 상당히 도전적인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Monte-Carlo Tree Search를 이용하는 기존 비디오 게임을 위한 인공 일반지능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여기서는 UCB1 알고리즘을 문제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GreedyUCB1과 게임 분석을 통해 얻은 지식을 활용한 Rollout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으로 개발된 인공지능은 국제 학술대회인 IEEE Computational Intelligence in Games의 2014년 인공지능 경진 대회에 출전하여 4위의 성적을 보였다.

기술 측면에서의 지능망과 TINA 비교 (Comparison of IN and TINA from the Engineering Viewpoint)

  • 백영식;오사무미야기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0권2호통권36호
    • /
    • pp.73-86
    • /
    • 1995
  • 통신망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효율적인 보수, 운용의 추구 및 통신사업의 자유화와 동반하여 멀티미디어화, 통신 및 정보 분야의 전략 산업화에 의한 멀티벤더화 등에 의해 점점 복잡해 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U-T(구CCITT)에서는 국제회의를 통하여 지능망 (Intelligent Network) 및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에 관한 권고를 만들고 있는 중이다. 이와는 다른 방향으로 TINA(Telecommunications Information Networking Architecture)에 대한 작업이 진행중에 있다. TINA는 지능망과는 달리 컨소시엄(TINA-Consortium)을 구성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적용 기술에 있어서도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지능망과 TINA는 아직 모든 문제를 완전히 해결한 것은 아니지만 점차 통신망의 고도화에 기여하고 있다. 차세대 통신망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TINA는 분산처리 및 객체 지향 기술과 같은 고도의 정보 처리기술을 통신 기술에 적용한 구조이다. 몇몇 연구에서는 지능망에서 TINA로의 진화등에 관해 기술하고 있지만, 지능망과 TINA의 차이점을 부분적인 기술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차이점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망과 TINA의 차이점을 기술 측면에서 비교함으로써, 현재 연구중인 TINA의 관계정립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지식 기반 다중 대화 시스템을 위한 주의 집중 지식 선택 모델 (Attentive Knowledge Selection Model for Knowledge-Grounded Multi-turn Dialogue System)

  • 이도행;장영진;황금하;오욱;김학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61-364
    • /
    • 2021
  • 지식 기반 다중 대화 시스템은 지식 정보를 포함한 응답을 생성하는 대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응답 생성에 필요한 지식 정보를 찾아내는 지식 선택 작업과 찾아낸 지식 정보를 바탕으로 문맥을 고려한 응답을 생성하는 응답 생성 작업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 선택 작업을 기계독해 프레임워크에 적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지식 선택 작업은 여러 개의 발화로 이루어진 대화 기록을 바탕으로 지식 문서 내에 존재하는 지식을 찾아내는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 기록 모델링 계층을 활용해 마지막 발화와 관련 있는 대화 기록을 찾아내고, 주의 집중 풀링 계층을 활용해 긴 길이의 지식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목적지향 지식 문서 기반 대화 데이터 셋인 Doc2dial 데이터의 지식 선택 작업에서 F1 점수 기준 76.52%, EM 점수 기준 66.21%의 성능을 기록해 비교 모델 보다 높은 성능을 기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데이터 글로브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Implementation of User Interface with Data glove)

  • 김선태;마평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74-477
    • /
    • 2002
  • HMD를 연결한 지능정보단말을 휴대하여 이동 중이거나 작업 중에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편리하게 획득하기 위해서는 보다 손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데이터 글로브를 이용한 촉각 인터페이스는 지능정보단말상에서 구현되는 웹 브라우저의 네비게이션이나 미디어 재생기의 명령어 제어를 기존의 PC상의 키보드나 마우스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이다. 지능정보단말상에서의 데이터 글러브를 이용하여 각각의 손 동작에 대응하는 적절한 제어 신호를 정의함으로써, 웹 브라우징이나 미디어 재생기의 기본적인 제어를 사용자가 마치 마우스를 사용하듯이 이동 중이거나 작업 중에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다비이스 드라이버 상에서 구현한다.

  • PDF

사물지능통신기반에서의 컴퓨터지원협력작업 (A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s based on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 고응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50-1151
    • /
    • 2011
  • 본 시스템은 사물 지능 통신 기반의 개방형 API 중에서 컴퓨터 지원 협력 작업 API 에 대한 설계를 제안한다. 컴퓨터 지원 협력 환경이 잘 지원되면 개방형 사물 지능 통신 기반의 원격 진료, 원격 교육 등 개발 시 비 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다.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한 최적 플랫폼 위치 선정 방안 -굴삭기 제원에 따른 최적화- (Decision of Optimal Platform Location Considering Work Efficiency -Optimization by Excavator Specification-)

  • 이승수;박진웅;서종원;김성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90-793
    • /
    • 2008
  • 현재, 국토해양부 건설기술혁신사업의 일환으로 2006년 말부터 토공자동화를 위한 '지능형굴삭시스템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지능형 굴삭시스템의 세부핵심요소기술 중, Task Planning System(TPS)은 토공 작업의 효율성, 안전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토공 설계데이터와 작업환경 인식기술에 근거한 작업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작업계획을 수립하는 시스템이다. 작업계획생성 시 효율적인 토공작업을 위해서는 플랫폼 생성 시 그 위치가 최적의 점을 형성하여 중첩되는 작업영역의 크기가 줄어들어 비효율적인 작업을 제거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굴삭작업의 생산성을 극대화찰 수 있다. 또한, 최적 플랫폼 위치 선정 시 굴삭기 제원에 따른 최적화가 되어야 굴삭기의 규격에 따른 로컬 영역의 산출 알고리즘과 호환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영역 분할 과정에서 산출된 로컬영역을 기준으로 굴삭기 제원에 따른 최적화된 플랫폼 위치 선정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 검증을 통하여 효율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 PDF

SVM을 이용한 3차원 해마의 지능적 형상 분석 (Intelligent Shape Analysis of the 3D Hippocampus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 김정식;김용국;최수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387-139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SVM (Support Vector Machine)을 기반으로 하여 인체의 뇌 하부구조인 해마에 대한 지능적 형상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의료 영상으로부터 해마의 형상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임상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양의 표본들을 얻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전문가의 지식을 기반으로 한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결국 이러한 요소들이 분석 작업을 어렵게 한다. 의학 기술이 복잡해 지면서 최근의 형상 분석 연구는 점차 통계적 모델을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로부터 고해상도의 매개변수형 모델을 만들어 형상 표현으로 이용하고, 집단간 분류 작업에 SVM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지능적 분석 방법을 구현한다. 우선 메쉬 데이터로부터 물리변형모델 기반의 매개변수 모델을 구축하고, PDM (point distribution model) 방법을 적용하여 두 집단을 대표하는 평균 모델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SVM 기반의 이진 분류기를 구축하여 집단간 분류 작업을 수행한다. 구현한 모델링 방법과 분류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커널 함수 (linear, radial basis function, polynomial, sigmoid)들을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매개변수형 모델은 다양한 형태의 의료 데이터로부터 보편적인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또한 모델의 전역적, 국부적인 특징들을 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통계적 형상분석에 적합하다. 그리고 SVM 기반의 분류기는 적은 수의 학습 데이터로부터 정상인 해마 집단과 간질 환자 집단간의 정확한 분류를 가능하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