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일지

Search Result 22,420,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단독작업시 안전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
    • /
    • pp.17-25
    • /
    • 1999
  • 설비의 자동화, 소단위작업에 의해 감시업무나 그에 따른 보전 등 업무에 단독(주위에 다른 작업자가 없는 상태)으로 작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런 상황을 포함한 작업현장에 있어서 단독작업의 현 샅애와 단독작업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교육, 설비대책에 대해 일본 중재방에서 보고된 사례를 소개한다.

  • PDF

Comparison of Three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OWAS, RULA, and REB A) in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에서 세 가지 인간공학적 위험 평가기법의 비교분석)

  • Cho, Min-Jae;Jeong, Eung-Jin;Oh, Jae-Heun;Han, Sang-K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0 no.2
    • /
    • pp.210-216
    • /
    • 2021
  • Musculoskeletal disorders affect workers' safety in most industries, and forest operations are classified as a musculoskeletal burden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are mainly conducted by manpower, and the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ergonomic risk assessment for safety of felling and delimbing workers. Three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such 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OWAS), Rapid Upper Limb Assessment (RULA), and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REBA), are available for assessing exposure to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imber harvesting operations. Here, three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were applied to examine ergonomic risk assessments in chainsaw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Additionally, exposure to risk factors in each method was analyzed to propose an optimal working posture in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The risk levels of these operations were evaluated to be highest in the RULA method, followed by the OWAS and REBA methods, and most of the exposed working postures were examined with a low-risk level of two and three without requiring any immediate working posture changes. However, two significant working postures, including the bending posture of the waist and leg in felling operation and standing posture on the fallen trees in delimbing operation, were assessed as the high-risk level and needed immediate working posture changes. Low-risk work levels were examined in the squatting posture for felling operation and the straightened posture of the waist and leg for delimbing operation. Moreover, the slope in felling operation and the tree height in delimbing ope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risk level assessment of working posture. Therefore, our study supports that felling and delimbing workers must operate with low-risk working postures for safety.

Health Assessment of Shift Workers in a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자동차공장 교대작업 근로자들의 건강상태평가)

  • Lee, Jung-Jeung;Chung, Jong-Ha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8 no.1 s.49
    • /
    • pp.103-121
    • /
    • 1995
  • An investigation on psychophysiological health and social well-being of shift workers been carried out on workers of a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in Ulsan, for 1 month from April, 1993. This cross-sectional survey compared shift workers(n=544) with day workers(n=115). Each subject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his personal habit, background, shift schedule, sleep and eating patterns, subjective digestive sympto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using the General Well-Being Schedule(GWB) by self 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for the U.S.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HANES I). Chi-square analysis was used for discontinuous data and the t-test was used for continous data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ces no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sleep quality, a great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frequently had trouble getting back to sleep once awakend(p<0.01), and a great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awakend tired or sleepy frequently more often than day workers(p<0.05). In rating the quality of their sleep, more shift workers rated their sleep fair to poor than day workers, and great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felt tired or sleepy at work two or more times per week(p<0.01) and a much high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felt tired or sleepy after work every days(p<0.01). In terms of sleep patterns, a much higher percentage of day workers reported uninterrupted sleep per 24hours than shift workers. The shift workers reported different eating patterns from day worker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rate of their appetite. Thirteen percent of day workers reported the best appetite but only 6.6% of shift workers had the best appetite. The gastric complaints is more frequent in shift workers than day workers(p<0.01). Among subscores in General Well-Being Schedule, anxiety, depression, positive well-being and vitality subscale of shift workers were lower than those of day workers(p<0.05) and general health and self control subscale of shift workers were lower than .those of day worker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se study result,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hift work has significant effects on some psychophysiological conditions of the workers.

  • PDF

Ergonomic Evaluation of a Powered Rail Trolley in a Tomato Greenhouse (토마토 온실 내 레일 전동 작업차의 인간공학적 작업 부하 평가)

  • Jeong, Eun Seong;Yang, Myongkyoon;Son, Daesik;Cho, Seong 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43-143
    • /
    • 2017
  •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자동화 기계 및 로봇에 의해 대량 생산 되는 품목과 달리, 작업 절차의 비정형성, 비연속성 등으로 인해 여전히 농업에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있다. 국제노동기구에 따르면, 세계 인력의 절반이 농업 인력에 해당하고 작업 중 부상이나 사망 등으로 인해 가장 위험한 직업군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재배 농업의 경우, 노동집약적인 온실 내 작업 특성상 잘못된 자세로 작업하거나 지나친 작업량 등으로 인해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해 작업효율이 감소하거나 생산비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농가 수익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시설 재배 농업에서 사용되는 레일 전동 작업차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토마토를 수확할 때의 신체에 대한 농작업의 부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작업차를 이용한 주요 작업 절차는 작물로부터 과실 수확, 과실 상자에 과실 투입, 빈 과실 상자와 가득 찬 과실 상자의 교대, 작업차 위의 과실 상자를 운반용 파레트에 하역하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디오장비로 촬영된 일련의 농작업 과정을 OWAS, RULA, REBA와 같은 체크리스트형 인간공학적 작업 부하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기존 레일 전동 작업차를 이용한 농작업의 근골격계 질환 유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동작별 위험성을 토대로 근골격계 질환 유발 가능성이 높아 개선이 필요한 농작업 동작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동작은 실험실 내 환경에서 피실험자를 통한 모의 동작의 생체 신호 계측을 통해 신체 부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보조가 필요한 신체 부위를 특정하거나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동작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토마토 온실 내 신선도 유지를 위한 레일 전동 작업차의 개발에 작업자의 안전과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인간공학적 설계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 Analysis of the Operational Productivity and Cost for the Utilization of Forest-biomass(II) - the Analysis of Operational Cost - (산림바이오매스 이용을 위한 산림작업 공정 및 비용 분석(II) - 작업비용 분석 -)

  • Mun, Ho-Seong;Cho, Koo-Hyun;Park, Sang-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2
    • /
    • pp.230-238
    • /
    • 2015
  • This study was analyzed the operational cost of logging and chipping operations in order to develop the efficient logging operation system for the utilization of forest-biomass. Analysis of the operational cost of logging operation systems, the operation system D which include chain saw, tower-yarder, mini-forwarder and truck was calculated the lowest cost to be $68,498Won/m^3$. In the utilization of forest-biomass, the operation system E which include chipping by mini-chipper at the site, forwarding of chips by mini-forwarder, transportation of chips by truck was estimated to be 90,770 Won/Ton. Thus, These results are determined as an effective operating system for logging operation and the utilization of forest-biomass.

Development of Applications for Recording Ore Production Data and Writing Daily Work Report of Dump Truck in Mining Sites (광산 현장의 원석 생산 데이터 기록 및 덤프트럭 작업일지 작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 Park, Sebeom;Choi, Yosoo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32 no.2
    • /
    • pp.93-106
    • /
    • 2022
  • This study developed applications that allows truck drivers to record ore production data using smart devices at mine sites and to create a daily work report (operation report) in a PC environment. For this, four operating mines in Korea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and daily work reports used there were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elements included in the daily work report of each mine were analyzed. Because the information to be collected for writing ore production data and format of report are different for each mine, four types of applications were developed for the study areas. Ore production data could be recorded by receiving a signal from a Bluetooth beacon and by operating the application directly by the truck driver. The collected data files are uploaded to the cloud server, and the uploaded data files can be converted into a daily work report using the developed applications in a PC environment.

Study on Ways to Improve Risk Assessment of Unskilled Foreign Workers (Based On Shipbuilding Industry Workers) (비숙련 외국계 작업자의 위험성평가 개선방안 연구 (조선업 종사자를 기준으로))

  • Jung, woo-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49-150
    • /
    • 2023
  •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하는 조선업은 선박을 건조하는 현장의 제품들이 복합 공정이면서도 중후장대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선박을 건조할 때는 종사하는 작업자 간의 작업 내용에 대한 의논과 방법의 결정에 따른 경험기술의 활용도가 높다. 그래서 작업자별 작업 방법이나 기능의 차이가 많고 그 차이만큼이나 공정 진척이나 품질에 대한 결과도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인력 집약도가 높은 조선소 작업인력이 퇴직이나 이직 등으로 발생되는 공백을 내국인으로 채우지 못하고 경험이 없고 소통도 어려운 외국인 작업자로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계 작업자의 경우 인건비가 낮은 중소기업이나 대기업의 하도급 업체에 고용이 되는데 중소기업의 특성상 기술력의 축적이나 안전작업을 위한 사전 직무교육 등에는 여유가 없어 제한된 기간 동안의 고용이나 단순 업무에만 종사토록 하는 등의 방법으로 활용해왔다. 그러나 외국계 작업자의 고용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생산성의 한계와 불안전 작업에 대한 우려로 그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외국계 작업자의 경우 생산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안전관련 교육이나 행사, 동료간의 소통등에 소외되면서 불안전이 가중되고있고 비자종류에 따라 체류기간이 한정되어 기술력의 유지는 어려운 현실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외국계 작업자에게 안전에 대한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직무별 위험성평가도 작업자의 논높이에 맞게 해야 한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4가지 위험성평가 방법을 일부 보완하여 안전수준에 맞게 실시하여 작업자 개인별 직무 수행상의 위험성에 대한 이해도가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여 안전을 유지시키는 방안을 연구한다. 위험성평가의 취지가 기본적으로 해당 작업자 전원참여라는 중요 요소임을 감안할 때 외국인 작업자의 직무 이해도 점검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 PDF

Robot Task Planning within a Distributed Control Framework (분산 제어 구조내의 로봇 작업 계획)

  • Kim, Hyun-Sik;Shin, Hang-Cheol;Kim, Man-Soo;Kim,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319-32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동작 모델과 작업 목표에 따라 지능 로봇 시스템의 작업 순서를 결정하는 작업 계획기의 설계와 데모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블랙보드 중심의 분산 제어 구조에서 하나의 독립적인 지식원으로 동작하는 작업 계획기는 작업 관리기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지식베이스로부터 동작 모델과 월드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작업 목표 달성을 위한 작업 계획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작업 계획은 오류로 인해 재 계획이 필요할 때까지 작업 관리기를 통해 실행된다. 본 연구의 작업 계획기는 효율적인 작업 계획 생성을 위해 지역 상태공간 탐색법의 하나인 EHC+ 탐색법과 계획그래프-기반의 휴우리스틱 계산법을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 계획기의 효율성과 블랙보드와의 연계성을 시험하기 위한 데모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를 통해 지식베이스, 작업 관리기, 컴포넌트 서비스기 등 로봇 제어 구조내의 다른 지식원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시지 설계도 소개한다.

  • PDF

Cause of Schedule delay-based Constraints Analysis Process (작업지연원인 기반 작업여건분석 체계)

  • Song, Ji-Won;Yu, Jung-Ho;Kim, Chang-D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637-642
    • /
    • 2007
  • The sum of each work duration are entire period in construction project. Each work occurs to be late, the total period of construction project will delays. Therefore, the total period of construction project will not be delayed if probability of working progress makes higher. Finding each work's constraints performs constraints analysis in process of construction for checking probability of working progress. Grasp work's constraints through the constraints analysis and removes. This research will show preventing delay of consruction project, through constraints analysis process.

  • PDF

신경감각작업에 종사하는 작업자의 피로감과 수면시간의 관계

  • 박근상;서유진;박영만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04a
    • /
    • pp.175-180
    • /
    • 1995
  • 산업계를 중심으로 많은 직장에서 교대제 근무가 실시되고 있으나, 교대작업에 관한 작업시간의 단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교대제근무의 도입에 따라 직장내에서 취하는 수면과 이러한 수면후 아침 일찍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도 일반화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면시간은 적어도 7시간 정도 취하는 것이 이상적 이라고 일본 후생성 등에서 권장하고 있지만, 직장에 따라서는 심야 근무의 종료시간등의 문제때문에, 반드시 이러한 수면의 장려시간이 지켜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 따라서, 수면량의 부족 및 그에 따른 수면의 질적 저하가 다음날 작업시에 작업자의 심신반응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치게 될것이라는 것은 쉽게 예상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점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신경감각작업의 대표적인 예의 하나인 열차운전에 종사하는 운전사을 대상으로 새벽에 하는 작업에 대해 전날밤에 취한 수면의 양.부가 작업시에 작업자의 자각적 피로감에 양향을 미친는 가를 사례적으로 연구하여 분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