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로봇

Search Result 81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위험 작업용 로봇

  • 김승호
    • Journal of the KSME
    • /
    • v.42 no.3
    • /
    • pp.45-51
    • /
    • 2002
  • 이 글에서는 산업용 로봇 중 작업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는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원자력용 로봇, 방재 로봇, 수중 로봇, 국방 로봇 등 위험작업용 로봇에 대해 소개한다.

  • PDF

인간-로봇 협업 기술에 대한 연구동향

  • Park, Dong-Il;Gyeong, Jin-Ho;Jeong, Gwang-Jo
    • 기계와재료
    • /
    • v.22 no.4
    • /
    • pp.76-83
    • /
    • 2010
  • 로봇의 발전 동향을 살펴보면, 기존의 위치 기반제어를 통하여 단순반복 재생 하는 로봇에서 인간과 로봇이 협력할 수 있는 로봇으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독자적인 작업지능을 갖고서 독립적으로 운용되거나 인간과 공존할 수 있는 로봇으로 개발되어 나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현재까지의 로봇 기술로는 로봇 독자적으로 완전한 작업지능을 구현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그 중간 단계로써 사람과의 협력 작업을 구현하고 하는 것이다. 이처럼 인간-로봇 협업 기술은 인간의 지능과 로봇의 성능을 결합하여 고도의 작업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써 로봇의 사용법을 모르는 현장 작업자도 로봇의 말단부를 잡고 손쉽게 로봇에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로봇의 응용 범위가 매우 다양해지고, 특히 로봇 전문인력이 없고 다품종 변량 생산을 주로 하는 중소기업에서의 로봇 활용을 촉진시켜 작업 환경 개선과 생산성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조업용 로봇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범용성이 강한 기술로 개인서비스 로봇에서부터 국방, 건설, 의료 등 전문 서비스 로봇에 이르기 까지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간-로봇 협업을 위해 필요한 기술들로는 경량형 로봇팔 기술, 인간-로봇 협조 제어 기술, 인간-로봇 안전 기술, 작업자 편이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 등이 포함되며 향후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파급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증기발생기 노즐댐작업용 로봇 입/퇴실장치 기구학 해석

  • 이재경;김승호;황석용;김창희;김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a
    • /
    • pp.171-176
    • /
    • 1996
  • 증기발생기 노즐댐작업은 고방사선 구역에서의 극한작업으로서 로봇이 이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로봇을 증기발생기 수실 내부로 자동으로 입실시켜 노즐댐 장/탈착 작업시 로봇의 플랫포옴 역할을 담당함과 동시에 작업 완료후 로봇을 수실 외부로 회수하는 장치인 로봇 입/퇴실장치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증기발생기 노즐 댐작업용 로봇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로봇 입/퇴실장치의 최적설계를 위한 기구학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매니퓰레이터를 장착한 이동로봇의 집기-놓기 작업계획

  • 홍창우;조경래;송재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8-28
    • /
    • 2004
  • 최근 산업용 로봇뿐만 아니라 의료작업, 위험물처리 작업, 생활지원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을 갖는 새로운 분야의 로봇들이 제작되고 있다. 생활지원 로봇 분야 중의 한 부분인 서비스로봇은 산업용 로봇처럼 고정된 환경이 아닌, 인간이 거주하는 변화하는 실내 환경에서 인간을 돕는 다양한 작업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로봇에 이동로봇 부분과 매니퓰레이터 조작 부분이 결합된 시스템을 적용하여 건물을 안내하고, 순찰하고, 물건을 집어서 옳기는 등의 인간을 돕는 보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중략)

  • PDF

Factory automation for fettling work using industrial robot system (산업용 로봇트 시스템을 이용한 페들링 작업의 자동화)

  • 이민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2.10a
    • /
    • pp.708-713
    • /
    • 1992
  • 본 논문은 주조공정후 주물의 라이져(Riser)나 버어(Burr) 등을 제거하는 페틀링(Fettling) 작업의 자동화에 대해서 기술한다. 이 작업을 주물의 마무리 작업이라 하는데 이 분야는 작업상의 특수성과 적용 로봇의 미개발로 아직 산업현장에서 실용화 되지 못한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라인딩 작업 환경과 이 분야에 적용되는 로봇의 필요조건에 관해서 기술하고 이 분야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MC 560 로못을 소개한다. 주물제작의 마무리 작업은 로봇 이외에도 여러종류의 가공기계와 주변기기를 요구한다. 본 논문은 주물의 재질과 형상에 따른 가공기계 선택방법과 주변기기의 설계 등을 기술하며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요소, 작업공정, 작업효과 등에 관해서 논한다.

  • PDF

악 환경 작업에서의 로봇 시스템 적용사례

  • 장행남
    • Journal of the KSME
    • /
    • v.31 no.7
    • /
    • pp.636-643
    • /
    • 1991
  • 그 동안 투자가치를 기준으로 국내 가전 및 자동차산업 분야에서 고품질작업을 위한 로봇 시스 템(소형부품 조립과 스폿, 아크용접 및 실릴용 등)의 도입이 대기업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어 왔으나, 90년대에 들어서면서 로봇 적용기술력의 향상과 로봇 시스템가격의 하락에 힘입어 열 악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인력을 대치할 수 있고,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용할 다기능 및 지능로봇 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하게 검토되고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제조업 분야의 자동화동향변화에 부응하여, 열악한 작업환경을 지닌 주물공장에서 3D 작업환경을 기피하는 작업자를 대신하고, 공장자동화의 한 셀(CELL)로서 연계자동화에 적용할 수 있는 주물소재의 가스절단 로봇 시스템 및 다버링 로봇 시스템에 대하여 당사의 개발적용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Tele-operated Heavy Duty Robot System (고하중용 원격작업 로봇시스템 개발)

  • Seo, Yong-Chil;Kim, Chang-Hoi;Cho, Jai-Wan;Choi, Young-Soo;Kim,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5b
    • /
    • pp.166-168
    • /
    • 2004
  • 근래에 무인 자동화기술의 발달과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의 혁신적인 성장에 힘입어 일반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로봇은 복잡하고 다양한 작업이 요구되는 비제조업분야로 그 적용분야가 확장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분야를 들자면 방사능 지역과 같은 위험한 환경에서의 작업, 우주공간이나 심해에서의 작업, 활선 작업과 같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 인간을 대신하는 작업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인간을 대신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작업 로봇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로봇은 6 자유도를 갖는 수평다관절 유압구동형 조작기로써 로봇의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제 1 링크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로봇의 제어기는 전체 제어기를 통괄하는 1 개의 마스터 CPU 및 3 개의 제어보드로 구성되며 이들은 VME 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로봇의 관리제어시스템은 그래픽워크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구성하였으며 로봇의 작업상황을 실시간으로 애니메이션하여 작업자에게 원격현장감을 제공하고 작업효율의 향상시켰다.

  • PDF

Development and Verication of a Robot Off-line Programming System for Die Polishing Process (금형 연마작업을 위한 로봇 오프라인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 Kang, Sungchul;Kim, Munsang;Lee, Kyo 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4 no.1
    • /
    • pp.69-77
    • /
    • 1997
  • 본 논문은 금형의 마무리 연마 작업을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하기 위한 오프라인 프로그래밍 시스템개발을 그 내용으로 하고있다. 3차원 자유곡면 형상을 갖는 금형을 연마하기 위한 로봇 작업 경로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시 방법이 아닌 CAD시스템과 연계된 시뮬레이션 방식의 자동 경로 생성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금형 연마 작업을 위한 오프라인 프로그래밍 시스템은 연마 작업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하학적 모델링 기능, 로봇의 작업 공간을 고려한 작업장 배치 기능, 연마 로봇의 효율적인 기구학 해, 3차원 그래픽 시뮬레이션, 3차원 물체간의 충돌 검사 기능 및 유기적인 관계형 데이타 베이스 기능 등으로 구성된다. 본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로봇의 위치 보정 과정을 거쳐 로봇 작업 프로그램 으로 변환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실제 연마 작업이 가능한, 정확하고 안전한 로봇 프로그램을 생성하였다.

  • PDF

The Design of Robot for Live-line Maintenance of the Distributed Power Line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로봇 설계)

  • Kim, Chang-Hoi;Lee, Sung-Uk;Shin, Ho-Cheol;Kim, She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1a
    • /
    • pp.120-122
    • /
    • 2006
  • 배전선로의 활선작업은 무전전의 고품질 전력 공급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나 매년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위험한 작업 분야이다. 이러한 위험한 활선 작업을 로봇이 대신하여 수행하기 위한 연구가 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전선로 상에서 활선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을 설계하였다. 선로 상에서 최대한의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 작업을 수행토록 하기 위하여 로봇의 탑재 위치에 따른 로봇의 작업성능을 분석하여 로봇의 구조를 설계하였으며 로봇의 기구학적 해석 및 전주 및 완금 등의 부속물과의 간섭을 그래픽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설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될 로봇은 배전선로의 애자교체, COS 교체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작업자를 대신하여 활선작업을 수행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tudy on dual-arm SCARA robot system for collision avoidance (두 대의 스카라로봇으로 구성된 시스템의 충돌회피에 대한 연구)

  • 홍용준;양승원;김성권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10b
    • /
    • pp.908-911
    • /
    • 1996
  • 본 논문은 작업공간을 공유하는 두 대의 스카라 로봇으로 이루어진 Dual-Arm SCARA 로봇 시스템과 여러 대의 로봇을 제어할수 있는 로봇제어기로 동시에 독립적인 작업을 하는 경우 두 로봇의 동작에 따른 로봇 ARM의 모델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상대 로봇과의 충돌이 예상되는지를 실시간 검색하여 두 로봇간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충돌검출 방법과, 두 대의 로봇이 충돌가능성으로 인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 작업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돌회피를 위한 로봇의 궤적을 생성하여 로봇을 이동시키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 올수 있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