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업공간

검색결과 1,931건 처리시간 0.041초

기억부하가 얼굴과 공간 작업기억의 유지에 미치는 효과: 사건유관 fMRI 연구 (The Effect of Memory Load on Maintenance in Face and Spatial Working Memory: An Event-Related fMRI Study)

  • 김정희;정광우;강형근;이무석;박태진
    • 인지과학
    • /
    • 제21권2호
    • /
    • pp.359-386
    • /
    • 2010
  • 본 연구는 공간작업기억과 비공간작업기억의 유지 처리에 대한 영역특수모형과 처리특수모형을 검증하고자 수행한 사건유관 fMRI 연구이다. 지연반응과제에서 얼굴자극을 표적자극으로 사용하고 표적자극의 수를 달리하여 기억부하를 조작하였으며 일정한 지연기간 후 위치 및 얼굴 재인판단을 요구하였는데, 지연 동안 정보유형(위치와 얼굴)이 기억부하효과의 신경상관물에 미치는 영향을 뇌영상 처리로 분석하였다. 독립변인은 정보유형(자극영역)과 기억부하(표적자극의 수)로서, 정보유형변인은 얼굴작업기억(비공간작업기억) 및 공간작업기억의 두 수준, 기억부하변인은 표적자극이 1개인 조건(저부하)과 3개인 조건(고부하)이었다. 행동수행 분석 결과, 재인정확도에 있어 얼굴작업기억과 공간작업기억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두 작업기억 모두에서 동등한 정도의 기억부하효과가 확인되었다. 뇌 영상분석 결과, 유지단계에서 전전두피질의 하측 및 중/상측영역이 모두 얼굴작업기억과 공간작업기억 양자와 관련되고 특히 VLPFC가 두 작업기억에 공통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러한 결과는 처리성분에 따른 전전두피질의 기능적 전문화를 주장하는 처리특수모형에 더 잘 부합된다.

  • PDF

개인 지능형 공간에서의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작업 분배 기법 (A Task Decomposition Scheme for Context Aggregation in Personal Smart Space)

  • 유호석;박인석;현순주;이동만;김정선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308-315
    • /
    • 2007
  • 상황 인지 컴퓨팅에서 상황정보 추론 기능은 상황정보 관리를 위해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상황정보 추론 기능은 하위 레벨의 상황정보들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상위 레벨의 상황정보를 제공한다. 인프라 기반 지능형 공간에서 중앙 집중 형의 상황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자원 소모를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자원이 제약된 장치들로만 구성된 개인 지능형 공간에서는 공간 내 전체의 자원 소모뿐만 아니라 상황정보 관리자 역할을 하는 장치 (coordinator)들의 자원 소모가 최소화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앙 집중적인 상황정보 추론 작업을 분배하여 개인 지능형 공간 내의 다른 장치들에게 작업을 분산시키는 상황정보 추론 작업 분배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분배 기법은 건강정보, 환경정보, 지리정보 같이 상황정보가 자주 발생하는 환경에서 더 효율적이다. 상황정보 추론작업을 분배 함으로써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개인 지능형 공간의 전체의 처리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코디네이터의 처리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의 작업분배 기법은 상황정보 추론의 역할을 하는 코디네이터와 분산된 로컬 상황정보 추론기능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상황정보 추론 기능을 개인 지능형 공간을 구성하는 장치들에 각각 구현하고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처리부하를 측정하여 제안된 기법의 실행 가능성을 보였다.

  • PDF

발전소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 방법 연구 - 밀폐공간 및 용접화재를 중심으로 - (Study on Development Method of VR Training Contents for Power Plant Safety Education - Focused on sealed space and welding fire -)

  • 민설희;박봉성;김유식;이성기;이동준;강기헌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67-368
    • /
    • 2019
  • 여러 가지 안전사고 항목 중에 밀폐공간 작업과 관련된 사고는 다른 사고에 비해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사고 발생 시 2명 이상이 동시에 사망하거나 부상당할 가능성이 높은 사고다. 안전보건공단 자료에 의하면, 사고자 2명 중 1명이 밀폐공간 질식사고자이다. 또한 용접작업은 발전소 작업 현장에서는 보일러 튜브 교체 및 수리 등 다양한 부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발전소는 위험물질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 고열, 불티에 의한 화재폭발은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밀폐공간 작업 및 용접작업에 대한 안전교육은 직접 체험이 어렵기 때문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발전소 작업 현장 인원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이 가능한 밀폐공간 작업 및 용접작업 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를 개발한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초대형 작업공간의 환기시스템 시공사례

  • 최충현;신승서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3권12호
    • /
    • pp.24-31
    • /
    • 2004
  • 조선조 작업장 및 자동차 조립공장과 같은 초대형 작업공간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환기시스템 시공사례에 대해서 설계, 시공, 성능검증 및 완공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진행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효과적인 공동작업의 지원을 위한 웹기반 공유작업공간 (A Web-based Shared Workspace Supporting Effective Collaborative Work)

  • 정재훈;정수권;김인호;김규완;이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270-272
    • /
    • 1998
  •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는 작업그룹의 여러 사용자들이 공동의 프로젝트에 관하여 효율적으로 협력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긴밀한 정보의 교류와 공유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서로 공유한 정보를 잘 관리하여 이후에도 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독립적인 환경에서 작업하기를 원하며, WWW와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유형의 작업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환경을 갖추고 있다. 공유작업공간(shared workspace)은 공동작업(collaborative work)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환경으로서 그룹 구성원들이 접근가능하고 공유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와 웹 기반기술을 응용하여 중앙집중방식의 공동작업 기능을 지원하는 공유작업공간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업무지원 시스템 및 공간정보 기반의 제품 이동 작업 경로 최적화 기법 연구 (A Study on Product Move Operation Optimal Path Based on Business Supporting System & Spatial Information)

  • 박성일;최익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555-55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제조/물류 기업 등 제품(물품) 이동 작업 시 효율적인 경로 제공을 위한 경로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업무지원 시스템(MES, ERP, WMS 등)이 구축되어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공간정보와 업무지원 시스템에 저장되는 제품 데이터를 기준 정보로 하며, 다익스트라(Dijkstra), 개미 집단 알고리즘(Ant Colony Algorithm, ACO)등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공간정보는 공장(현장)의 레이아웃(Layout)과 제품이 적재/출하되는 렉(Rack) 등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고, 업무지원 시스템에서 제품의 현재 위치, 공정 상태, 등록 시간, 제품 크기 등을 사용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상기 기준 정보를 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적재/출하, 공정 이동, 보관 장소 변경 등 제품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품 이동 작업은 대부분 노동력에 의존하는 작업으로 경로 최적화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인력 비용 감소와 향후 로봇 기반의 제품 이동 작업에도 적용하여 자동화된 작업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CoWare : 효과적인 공동작업을 위한 웹 기반 그룹웨어 (CoWare : A Web-based Groupware for Effective Collaboration)

  • 문남두;안건태;김진홍;한천용;정명희;이명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3호
    • /
    • pp.269-282
    • /
    • 2001
  • 최근 웹의 확산과 더불어 제품개발을 위하여 공동작업 구성원들 사이의 정보 공유와 재사용을 지원하는 웹 기반의 공동작업 지원 시스템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기업 및 공공기관의 공동작업은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여러 작업그룹 내의 구성원은 이러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공동작업의 결과로서 생성된 기술문서의 체계적인 관리 기능과 실시간 의사전달의 기능 등이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의 공동작업 지원 시스템인 CoWare의 설계와 구현에 대하여 설명한다. CoWare는 통합시스템으로서 CoSpace, CoDocs, CoMail로 명명된 세 개의 관련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CoSpace는 자료의 저장과 공유를 위하여 개인 및 작업그룹을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CoDocs는 전자문서의 체계적인 관리를 지원하며, CoMail은 실시간 의사전달의 기능을 제공한다. CoSpace, CoDocs, 그리고 CoMail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정보, 사용자 그룹정보, 작업그룹정보의 공유를 통하여 상호 연계되어, 보다 자연스럽고 효율적으로 공동작업을 지원할 수 있다.

  • PDF

병렬 공간 조인 시 정적 부하 균등화를 위한 작업 생성 및 할당 방법 ((Task Creation and Allocation for Static Load Balancing in Parallel Spatial Join)

  • 박윤필;염근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8권3호
    • /
    • pp.418-429
    • /
    • 2001
  • 현재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은 컴퓨터 응용 시스템의 중요한 분야로서 도시 정보 시스템, 교통 정보 시스템 등에 활용되고 있다. 이들 응용 분야 는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간 연산 수행을 위한 기본 연산자를 필요로 한다. 특히, 기본 연산자 중에서 공간 조인은 연산에 참여하는 객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행 시간이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빠른 응답 시간을 요구하는 시스템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공간 조인의 효율 적인 병렬 수행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조인의 효율적인 병렬수행을 위하여 정적 부하 균등화를 위한 작업 생성 및 할당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공간 지역성을 고려하 여 작업을 생성하고, 비용 모댈을 통하여 작업량을 예측하여 표현한 뒤 작업 그래프로 나타 낸다. 그리고 생성된 작업 그래프를 그래프 분할 알고리즘을 통하여 균등하게 할당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독일 Parsytec 사의 CC16 병렬머쉰에서 실험한 결과로 볼 때, 기 존의 정적 할당을 통한 작업 생성 및 할당 방법에 비하여 각 프로세서간의 작업 수행시간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부하 균등화의 효과를 가져온다.

  • PDF

방사성 폐기물 저장시설에서의 방사선 작업 중 피폭선량 최소화를 위한 최적 작업경로 계획 (Planning of Optimal Work Path for Minimizing Exposure Dose During Radiation Work in Radwaste Storage)

  • 박원만;김경수;황주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17-25
    • /
    • 2005
  • 원자력 발전의 안정성이 사회적 문제로 제기된 이후 작업종사자에 대한 작업 중 방사선 피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의 방법에 의하면 방사선 작업 계획의 수립 시 작업 공간 내 선량률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피폭선량을 예측하므로 작업 경로에 따른 피폭선량의 변화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와 선원과의 거리가 고려되 수정된 방사선 피폭량 계산식을 이용하여 방사성 폐기물 저장시설에서의 작업 중 작업경로 변화에 따른 방사선 피폭량을 계산하였다. 이 계산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작업 공간과 선원 조건하에서 작업 중 방사선 피폭량을 최소로 하는 최적 작업경로를 탐색할 수 있는 수치해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2차원 작업공간에서 무한개의 작업경로를 유한개의 경로로 근사화하고 근사화된 모든 작업경로 중 피폭선량이 최소가 되는 작업경로를 탐색하였다. 또한, 3차원 그래픽 기술과 Java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가상작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작업 공간의 선량률 가시화 및 가상 작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방사선 작업 계획의 수립을 위한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수치해석 계산과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하여 최적 작업경로는 작업자와 선원과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경로로 제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방사선 피폭량은 작업시간뿐만 아니라 작업자와 선원간의 거리에 영향을 받음과 최적화된 방사선 방호를 위해 작업경로가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IPIace 시스템에서의 공개 작업공간 지원 (Supporting Open WorkSpaces In IPIace)

  • 박희종;김진홍;신원준;박양수;이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A)
    • /
    • pp.478-480
    • /
    • 2004
  • IPIace 시스템은 등록된 사용자 사이에서 효과적인 공동작업을 지원하는 웹 기반 협업지원 시스템이다. 현재 개발된 IPIace 시스템은 자주 일어나는 공동작업을 등록된 사용자가 생성한 팀작업장을 통해서만 지원하고 있으므로 시스템에 등록하지 않은 사용자와의 효율적인 자료공유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IPIace 시스템에 등록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공동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공개 작업공간인 OpenSpace에 대하여 기술한다. IPIace 시스템에 제안된 OpenSpace 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IPIace 사용자와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사이의 자유롭고 편리한 자료공유 기능을 제공한 수 있다. OpenSpace는 플랫폼 독립적인 JSP 및 EJB 컴포넌트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