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물생산정보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4초

작물생산정보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 MCPI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ethodology : MCPI for Crop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 박동진;서순모;김인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3호
    • /
    • pp.429-438
    • /
    • 2005
  • 우리나라 농촌의 발전전략중 하나인 정밀과학 기술농업실현을 위해서는 작물별 통합기술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시스템은 웹 기반으로 작물생산자와 기술조언자를 위한 협업시스템이어야 하며, 실시간 정보 분석 및 지식제공이 가능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특성과 농업 분야 작물생산정보시스템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이를 지원하는 작물 컴포넌트 등의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만들었다. 특별히 기존의 대단위 프로젝트에 적합한 마르미-III 방법론을 작물생산정보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의 개발 특성에 적합하게 재조직화 하여 MCPI(Method for Crop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를 제시하였다. 또한 현실문제의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MCPI에 기초하여 작물생산정보시스템 컴포넌트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타 방법론과 비교하여 농작물분야에 최적화된 단위 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교결과를 논문에 기술하였다.

지능형 스마트 팜 활용과 생산성에 관한 연구: 토마토 농가 사례를 중심으로 (Intelligent Smart Farm A Study on Productivity: Focused on Tomato farm Households)

  • 이재경;설병문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3호
    • /
    • pp.185-199
    • /
    • 2019
  • 한국의 시설원예는 짧은 기간에 주목할 만큼 발전하였지만, 높은 경영비와 시장개방 등 불리한 주변 여건에 대응하여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설원예의 문제점 진단과 분석을 통하여 대응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팜을 2세대 지능형 스마트 팜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선도사례와 실증사례 연구를 통해 작물 생육 정보의 활용 및 분석 능력이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사례를 통하여 고찰한다.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입한 시설원예 스마트 팜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업기술이 농가의 생산성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선도농가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작물 생육 정보 수집 및 분석 솔루션을 개발하여 수경재배 토마토 농가에서 산출된 생산성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작물 생육 정보 엽온의 활용 필요성이다. 엽온의 활용 범위는 시설 내 하우스 환기, 보온 커튼의 열고 닫음, 최초 관수 시점과 종료 시점 결정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작물 생육 정보 함수율의 활용 필요성이다. 작물 생육 함수율 정보는 작물의 현재 상태가 영양 생장인지, 생식 생장인지를 확인 가능하게 하며, 광합성 능력에 따라 함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작물의 EC, pH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다. 작물에 따라 기후조건에 따라 EC 값을 달리해야 한다. 공급되는 EC, pH와 배액에서 측정되는 EC, pH를 비교하여 현재 작물의 생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스마트 팜의 측정 생육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콩 생산성 향상 모델 개발을 위한 콩 농가 데이터 수집 현황 및 기초 분석

  • 전재범;류수현;고현석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8-148
    • /
    • 2022
  • 콩[(Glycine max(L.)]은 우리나라에서 벼와 더불어 주요한 식량작물이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콩 생육데이터를 수집하여 생산성 향상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농업빅데이터수집및생산성향상모델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수집되는 콩 데이터는 농가정보, 콩 생육정보, 토양정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가정보는 시군, 시군구, 품종, 파종량, 종자확보경로 등이 수집되고 있다. 그리고 콩 생육정보는 경장, 줄기굵기, 마디수, 가지수, 꼬투리수, 꼬투리립수, 개체당 입수, 종실수량 등이 수집되어 있다. 토양정보는 수분, 지온, EC 등이 수집되고 있다. 주요 항목의 평균은 경장 47.4 cm, 줄기굵기 11.1 mm 마디수 12.7 개, 꼬투리수 54.0 개, 꼬투리립수 2.7 개, 종실수량 227.9 kg/10a 정도이며 토양수분은 26.3 %, 지온은 27.1 ℃ EC는 2.58 ds/CM 정도이다. 주요 형질의 상관관계는 종실수량과 개체당 협수가 0.651로 나타났으며 가지수, 꼬투리수, 개체당협수와 줄기굵기는 각각 0.783, 0.653, 0.663 정도로 나타났다. 추후 이를 기반으로 다중회귀 등 분석 가능한 방법(머신러닝 등)을 적용하여 콩수량을 예측할 수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사업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콩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평가한 결과는 콩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모델 작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통계정보(1) 2011 국내 농약시장 어떠했나?(I) - 출하량 지속적 감소 완제품 수입.수출 증가 추세

  • 한국작물보호협회 기획홍보부
    • 자연과 농업
    • /
    • 통권278호
    • /
    • pp.22-25
    • /
    • 2012
  • 2011년 우리나라 농약시장은 2010년 보다 생산은 물론 출하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작물보호협회가 최종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11년도 농약 생산량은 1만7천9백91톤으로 전년도 2만1백66톤 보다 10.8%가 감소했으며 출하량은 1만9천1백60톤으로 전년도 2만4백31톤 보다 9.3%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이후의 지속적인 감소 추세는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과 재배면적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해 국내 농약 생산 출하 현황을 작물별, 약제별, 제형별로 자세히 알아본다.

  • PDF

소비자 시각 - 올바른 정보 제공으로 소비자 불안 해소해 줘야

  • 김옥자
    • 자연과 농업
    • /
    • 통권251호
    • /
    • pp.24-25
    • /
    • 2009
  • 최근 작물보호제에 대한 소비자교육과 연구시설 및 제품 생산현장을 둘러보고는 개발과정 및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인 데이터를 통해 농산물 중 잔류농장에 대한 막연한 우려를 덜게 되었고 작물보호제에 대한 인식을 다소 새롭게 하게 되었다.

  • PDF

북한의 작물보호 현황에 대하여 - 작물보호제 없어 병해충 피해 심해 실증시험 통한 지원대책 강구해야

  • 정봉진
    • 농약정보
    • /
    • 제23권1호통권174호
    • /
    • pp.16-19
    • /
    • 2002
  • 북한은 비료와 작물보호제 부족으로 영양공급이 부족하고 병해충 잡초 피해로 먹거리 부족현상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화학비료 등 단발성 지원보다는 퇴비를 만들어 재투입하는 복합영농법 소개 및 작물보호제 생산기반 구축 등 영속성 지원이 절실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