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화손실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Magnetization loss characteristics at arbitrary directional magnetic field by perpendicular magnetization loss in YBCO CC stacked conductors (YBCO CC 적층선재의 수직자화 손실 값을 이용한 임의 방향 자화손실 평가)

  • Lee, Ji-Kwang;Lim, Hyoung-Woo;Cha, Guee-Soo;Park,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655-656
    • /
    • 2006
  • 대부분의 초전도 전력기기의 경우, 초전도 테이프를 솔레노이드나, 팬케�� 형태로 권선해서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권선을 구성하는 테이프들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는 권선내의 각각의 테이프에 임의 방향의 외부 인가자계로 작용하여 자화손실을 발생시키므로 초전도 코일에서의 교류손실을 평가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임의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수직 자화손실에 대한 측정값으로서 임의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을 알 수 있다면 코일의 교류손실 평가는 훨씬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된 자화손실 값들로부터 각 방향 인가자장에 의한 자화손실과 인가된 자장을 분리하여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성분에 의한 자화손실 측정값의 합과 비교하여 각도별로 두 자화손실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 PDF

Estimation of magnetization loss st arbitrary directional magnetic field by perpendicular magnetization loss in BSCCO tapes (BSCCO 선재의 수직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 값을 이용한 임의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 평가)

  • Lee, Ji-Kwang;Park, Myung-Jin;Lim, Hyoung-Woo;Cha, Guee-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101-1103
    • /
    • 2005
  • 초전도 전력기기에서는 선재를 이용하여 권선한 코일 형태로 적용되므로 코일을 구성하는 각각의 초전도 선재에서는 코일 여자시 임의 방향의 자장이 발생한다. 초전도 코일에서 발생하는 주 교류손실인 자화손실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임의 방향 외부자장에 의한 초전도 선재의 자화손실을 알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BSCCO선재에서 측정된 임의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과 수직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값을 이용하여 초전도 선재에서 자화손실의 자장방향 의존성 및 임의 각도의 인가자장에 의한 자화손실 예측방법을 살펴보았다.

  • PDF

Test Results of AC Losses in a High Tc Superconductor (고온 초전도도체의 교류손실 측정 결과)

  • Ryu, Kyung-Woo;Kim, Chang-Wan;Han, Hyung-J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4a
    • /
    • pp.9-11
    • /
    • 2001
  • 현 단계에서도 임계전류밀도가 약 $100A/mm^2$로 충분히 높아 전력분야 응용이 기대되는 Bi-2223테이프에 대한 교류손실을 초전도 전력기기의 실제 상황을 고려하여 측정하였다. 중요한 평가 결과로서는 먼저 통전손실 특성은 외부 교류자장의 세기뿐만 아니라 방향에 따라서도 매우 상이하였으며, 비교적 외부자장이 큰 경우는 동저항손실 메카니즘이, 작은 경우는 그 외의 또 다른 손실 메카니즘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수평자장에 대한 자화손실 특성은 코아 모델로부터 계산된 손실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자화손실은 히스테리시스 손실 메카니즘이 지배적이라 할 수 있으며, 측정된 자화손실은 저온 초전도체에서는 볼 수 없었던 약한 주파수 의존성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외부자장의 세기에 따라서도 주파수 의존 특성이 상이하였다.

  • PDF

Magnetization Loss Characteristics of Bi-2223 Tapes in Longitudinal Magnetic Field (Bi-2223데이프의 종자계 손실 특성)

  • Kim, Hyun-Jun;Ryu, Kyung-W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b
    • /
    • pp.851-853
    • /
    • 2002
  • Bi-2223도체의 종자계 손실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조사하였으며, Bi-2223도체의 종자계 손실은 주파수에는 의존하지 않으며, 이는 수직 수평방향의 자장에 대한 자화손실처럼 히스테리시스손실이 지배적임을 의미한다. 또한 측정된 자계 손실은 절충 본수에도 그다지 의존하지 않으며, 필라멘트들 사이가 완전히 비결합된 모델로부터 계산된 손실에 더 유사하고, 수평방향의 자장에 대한 자화손실의 약 1/5정도로 작으며, 따라서 종자계 손실은 전력기기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음을 알수 있었다.

  • PDF

Analysis on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magnetization loss in YBCO CC by slit numbers (YBCO CC의 slit 개수에 따른 자화손실 저감 특성 해석)

  • Lee, Kwang-Youn;Park, Myung-Jin;Cha, Guee-Soo;Lee, Ji-Kw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249-1251
    • /
    • 2005
  • YBCO CC의 초전도 전력기기 응용에 대한 자화손실 저감을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계상태 모델에 기초한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슬릿개수의 변화에 따른 YBCO CC의 자화손실 저감 특성을 해석하였다. 수치해석을 위한 YBCO CC의 규격은 두께와 폭이 각각 $2{\mu}m$, 4mm이며 슬릿에 의한 선재분한인 필라멘트는 각각 2,4,8개이다. 또한, 수치해석의 결과는 strip모델의 자화손실식과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strip모델 해석값과 수치해석값은 차이를 보였으며 필라멘트 개수의 변화에 따라 약 1/n 수준으로 자화손실이 저감됨을 확인하였다.

  • PDF

Angular Dependance of Magnetization Loss in Striated YBCO Coated Conductors with a External Magnetic Field (분할형 YBCO CC의 외부자장 인가각도에 따른 자화손실)

  • Byun, Sang-Beom;Lee, Kang-Jun;Park, Sang-Ho;Kim, Woo-Seok;Lee, Ji-Kwang;Park, Chan;Choi, Kyeong-Da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635-636
    • /
    • 2008
  • 현재 고온 2세대 YBCO CC(Coated Conductor) 초전도 선재를 사용하여 초전도 전력기기를 제작하게 되면 BSCCO 선재보다 많은 전류를 인가할 수 있지만, 자화 손실도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폭 12 mm YBCO CC선재를 이용하여 자화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몇 개의 샘플을 제작하고, 먼저 각 샘플에 대해 외부에서 수직으로 (${\theta}=90^{\circ}$) 가해지는 자장 값에 대한 자화 손실을 측정하였다. 그 후에 측정값을 이용하여 임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자장 값들에 대한 자화 손실을 계산하고, 측정한 값과 비교하여 자화 손실의 패턴을 확인하였다.

  • PDF

Round-robin Test Results of AC Losses in a Practical Bi-2223 Tape (Bi-2223테이프의 교류손실에 관한 round-robin테스트 결과)

  • Kim, Hyun-Jun;Ryu, Hyung-Woo;Choi, Byoung-J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b
    • /
    • pp.780-782
    • /
    • 2003
  • 60 Hz의 전력분야에 고온초전도체를 적용 하는데 있어 가장 큰 장애요소인 교류손실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한 일간의 상이한 시험방법 및 장치에 대한 신뢰성과 정밀도를 상호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샘플 및 동일 시험조건으로 양측에서 round-robin테스트를 하였다. 그 주요 결과는 양측에서 측정한 자화손실은 시험 방법 및 장치의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이는 자화손실 측정 시, 금기사항으로 되어있는 철심자석의 사용이 문제가 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기존 자화손실 시험장치의 공심자석 및 자석용 전원 설비가 대단히 소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Magnetization Loss in BSCCO Multi-stacked Conductor According to Stacking Geometry using 2-D FEM (수치해석을 이용한 적층 배열에 따른 BSCCO 적층선재의 자화손실 특성)

  • Park, Myung-Jin;Lee, Kwang-Youn;Cha, Guee-Soo;Lee, Ji-Kw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945-947
    • /
    • 2005
  • 변압기, 케이블, 한류기와 같은 고온초전도 선재의 전력기기의 개발과 응용에 있어서 교류손실은 기기의 운용과 효율에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중요한 연구 분야가 되고 있다. 또한 현재 전력기기에 응용 하고 있는 고온초전도 선재는 전력기기에 필요한 통전용량을 수용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재를 적층하여 통전용량을 증대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온초전도 선재의 적층배열을 달리 하였을 때, 외부자계에 의한 고온초전도 선재의 자화손실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선재의 적층 배열의 형상은 Edge-to-Edge, Face-to-Face형과 Matrix형이며, 적층배열에 사용한 선재의 개수는 2, 4, 8개이다. 연구결과, 동일한 적층 수의 조건하에서 Face-to-Face형의 적층배열이 다른 종류의 배열보다 자화손실이 낮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Face-to-Face 형태로 적층 될 때 인접선재로 인한 자기차폐효과가 다른 배열의 경우보다 우수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 PDF

Angular Dependency of Magnetization Losses in Continuously Transposed Coated Conductors for large current applications (대전류용 초전도 연속전위도체의 외부자장 인가방향에 따른 자화손실 특성)

  • Han, B.W.;Kim, W.S.;Lee, J.K.;Lee, S.Y.;Park, S.H.;Kim, Y.I.;Choi, 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4b
    • /
    • pp.15-17
    • /
    • 2009
  • 초전도선재를 사용한 전력기기에서 발생하는 교류손실은 전력기기의 효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류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해 분할형 초전도 연속전위도체(Continuously Transposed Coated Conductor, CTCC)를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분할형 CTCC에 교번자장을 인가하였을 때 발생하는 교류손실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분할된 필라멘트 수와 선재의 적층수가 증가함에 따라 교류손실 값의 변화 패턴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할형 CTCC에 가해지는 외부교번 자장의 인가 각도에 따른 자화손실을 측정하여 그 경향을 확인하였다.

  • PDF

Energy Loss Measurement of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Under Rotational Magnetization (회전자화에 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철손측정)

  • Son, D.;Kum, Chae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0 no.4
    • /
    • pp.178-182
    • /
    • 2000
  • We have constructed a rotational loss measuring system which consists of two yoke system for rotational magnetization and 4-channel transient recording system for Hx, Hy, Bx and By measurements. Using the constructed measuring system, we have mesaured rotational energy loss for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Rotational energy loss was depending on the angle between B-search coil and H-search coil,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clockwise and counter clockwise). The average of the rotational energy losses under clockwise and counter clockwise was independent of the angle between B-search coil and H-search coil, and we could improve measuring uncertainty using the averaged rotational energy los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