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질선택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Dual SMS SPAM Filtering: A Graph-based Feature Weighting Method (듀얼 SMS 스팸 필터링: 그래프 기반 자질 가중치 기법)

  • Hwang, Jae-Won;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95-9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급속히 증가하여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SMS 스팸 필터링을 위한 듀얼 SMS 스팸필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새롭게 변형되는 SMS 문자 필터링을 위해서는 패턴 및 스팸 단어 사전을 통한 필터링은 많은 수작업을 요구하여 부적합하다. 그리하여 기계 학습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기계 학습을 위해서는 자질 선택과 자질의 가중치 책정 방법이 중요하다. 하지만 SMS 문자 특성상 문장들이 짧기 때문에 출현하는 자질의 수가 적어 분류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 기반 N-gram 확장을 통해 자질을 확장하고, 확장된 자질로 그래프를 구축하여 얕은 구조적 특징을 표현한다. 학습 데이터에 출현한 N-gram 자질을 정점(Vertex)으로, 자질의 출현 빈도를 그래프의 간선(Edge)의 가중치로 설정하여 햄(HAM)과 스팸(SPAM) 그래프를 각각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그래프를 바탕으로 노드의 중요도와 간선의 가중치를 활용하여 최종적인 자질의 가중치를 결정한다. 입력 문자가 도착하면 스팸과 햄의 그래프를 각각 이용하여 입력 문자의 2개의 자질 벡터(Vector)를 생성한다. 생성된 자질 벡터를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를 이용하여 각 SVM 확률 값(Probability Score)을 얻어 스팸 여부를 결정한다. 3가지의 실험환경에서 바이그램 자질과 이진 가중치를 사용한 기본 시스템보다 F1-Score의 약 최대 2.7%, 최소 0.5%까지 향상되었으며, 결과적으로 평균 약 1.35%의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A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Modified ECCD and Category Weight for each Document (Modified ECCD 및 문서별 범주 가중치를 이용한 문서 분류 시스템)

  • Han, Chung-Seok;Park, Sang-Yong;Lee, Soo-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9B no.4
    • /
    • pp.237-242
    • /
    • 2012
  • Web information service needs a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conveniently searches. Existing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s have a problem of low accuracy in classification, if a few number of feature words is selected in documents or if the number of documents that belong to a specific category is excessively larg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Modified ECCD' feature selection method and 'Category Weight for each Documen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odified ECCD' feature selection method has higher accuracy in classification than ${\chi}^2$ and the ECCD method. Moreover, combining the 'Category Weight for each Document' feature value and 'Modified ECCD' feature selection method results better accuracy in classification.

An analysis of Speech Acts for Korean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지지벡터기계(Support Vector Machines)를 이용한 한국어 화행분석)

  • En Jongmin;Lee Songwook;Seo Jung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3 s.99
    • /
    • pp.365-368
    • /
    • 2005
  • We propose a speech act analysis method for Korean dialogue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SVM). We use a lexical form of a word, its part of speech (POS) tags, and bigrams of POS tags as sentence features and the contexts of the previous utterance as context features. We select informative features by Chi square statistics. After training SVM with the selected features, SVM classifiers determine the speech act of each utterance. In experiment, we acquired overall $90.54\%$ of accuracy with dialogue corpus for hotel reservation domain.

Comparison of Product and Customer Feature Selection Methods for Content-based Recommendation in Internet Storefronts (인터넷 상점에서의 내용기반 추천을 위한 상품 및 고객의 자질 추출 성능 비교)

  • Ahn Hyung-Jun;Kim Jong-Wo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2 s.105
    • /
    • pp.279-286
    • /
    • 2006
  • One of the widely used methods for product recommendation in Internet storefronts is matching product features against target customer profiles. When using this method, it's very important to choose a suitable subset of features for recommendation efficiency and performance, which, however, has not been rigorously researched so far. In this paper, we utilize a dataset collected from a virtual shopping experiment in a Korean Internet book shopping mall to compare several popular methods from other disciplines for selecting features for product recommendation: the vector-space model,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he mutual information method, and th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SVD). The application of SVD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the analysis results.

A Genre-based Classification of Digital Documents by using Deviation Statistic of Genre-revealing Term and Subject-revealing Term (장르와 주제 범주간 용어 편차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문서의 장르기반 분류)

  • 이용배;맹성현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0 no.11
    • /
    • pp.1062-1071
    • /
    • 2003
  • A genre-based classification means classifying documents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were written, not by the semantics or subject areas. Most genre classifying methods in the past were based on the existing documents categorization algorithms and ineffective for feature selections, resulting in low quality classification result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new method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digital documents by genre. The genre classifier we developed uses the deviation statistic between the genre-revealing term frequencies and between the subject-revealing term frequencies within a genre. We collected Web documents to evaluate the proposed genre classification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a direct application of a kai-square feature selection and bayesian classifier often used for subject classification by proving an excellent accuracy of about 30 percent.

Identifying users' intentions using neural networks in a schedule management domain (일정관리 영역에서 신경망을 이용한 사용자 의도파악)

  • Lee, Hyun-Jung;Seo, J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6.06a
    • /
    • pp.87-90
    • /
    • 2006
  • 목적 지향 대화에서, 사용자의 의도는 화행(speech acts)과 개념열(concept sequences)로 나타낼 수 있다. 화행은 대화의 영역과는 상관없이 표현되는 정보이고, 개념열은 영역과 깊은 관련을 지닌 정보이다. 대화시스템에서 화행과 개념열로 구성되는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시스템이 사용자의 발화에 정확히 응대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정관리 영역에서의 대화를 대상으로 화행과 개념열을 분류하고 신경망을 사용하여 이들을 분석한다. 화행과 개념열로 구성되는 의도 분석에 사용하는 자질은 크게 문맥 자질과 문장 자질로 분류되며, 문장자질은 카이제곱 통계량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의도 분석에 효과적인 자질만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문맥자질로는 이전 발화에 대한 정보를 활용한다. 신경망을 사용하여 사용자 의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Named Entity Recognition based on CRF reflecting relative weight (상대적 가중치 자질을 반영한 CRF 기반의 개체명 인식)

  • Jeong, Jin-Wo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338-339
    • /
    • 2017
  • 본 논문은 개체명 인식을 위해 CRF 모델을 이용해 분류를 수행했다. 개체명 후보를 개체명으로 식별에서 중의성 문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의성 문제 해결을 위해 학습 셋으로부터 패턴과 형태적 특성을 고려해 개체명 후보를 최대로 선택하고 선택된 개체명 후보의 중의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주변의 문맥 자질과 분별 확률 모델인 CRF를 이용해 중의성 문제를 해결한다.

  • PDF

Sentence Cohesion & Subject driving Keywords Extraction for Document Classification (문서 분류를 위한 문장 응집도와 주어 주도의 주제어 추출)

  • Ahn Heui-Kook;Roh H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463-465
    • /
    • 2005
  • 문서분류 시 문서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자질로서 사용되는 단어의 출현빈도정보는 해당 문서의 주제어를 표현하기에 취약한 점을 갖고 있다. 즉, 키워드가 문장에서 어떠한 목적(의미)으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표현할 수가 없고, 문장 간의 응집도가 강한 문장에서 추출되었는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를 표현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 정보로부터 문서분류를 하는 것은 그 정확도에 있어서 한계를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서표현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키워드를 선택할 때, 자질로서 문장의 역할(주어)정보를 추출하여 가중치 부여방식을 통하여 주어주도정보량을 추출하였다. 또한, 자질로서 문장 내 키워드들의 동시출현빈도 정보를 추출하여 문장 간 키워드들의 연관성정도를 시소러스에 담아내었다. 그리고, 이로부터 응집도 정보를 추출하였다. 이 두 정보의 통합으로부터 문서 주제어를 결정함으로서, 문서분류를 위한 주제어 추출 시 불필요한 키워드의 삽입을 줄이고, 동시 출현하는 키워드들에 대한 선택 기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해 한번 출현한 키워드라도, 문장을 주도하는 주어로서 사용될 경우와 응집도 가중치가 높을 경우에 주제어로서의 선택될 가능성이 향상되고, 문서분류를 위해 좀 더 세분화된 키워드 점수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선택된 주제어가 문서분류의 정확도에 있어서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Text Categorization Based on the Maximum Entropy Principle (최대 엔트로피 기반 문서 분류기의 학습)

  • 장정호;장병탁;김영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57-5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최대 엔트로피 원리에 기반한 문서 분류기의 학습을 제안한다. 최대 엔트로피 기법은 자연언어 처리에서 언어 모델링(Language Modeling), 품사 태깅 (Part-of-Speech Tagging) 등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중의 하나이다. 최대 엔트로피 모델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자질 선정이 중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자질 집합의 선택을 위한 기준으로 chi-square test, log-likelihood ratio, information gain, mutual information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하고, 전체 후보 자질에 대한 실험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데이터 집합으로는 Reuters-21578을 사용하였으며, 각 클래스에 대한 이진 분류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Feature Selection for Chinese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SVM (SVM을 이용한 중국어 고유명사 식별에서의 자질 선택)

  • Jin, Feng;Na, Seung-Hoon;Kang, In-Su;Li, Jin-Ji;Kim, Dong-Il;Lee, Jong-H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4.10d
    • /
    • pp.90-95
    • /
    • 2004
  • "고유명사 식별"은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고유명사를 찾아내고 분류하는 과정으로 주로 인명, 지명, 조직 명을 처리 대상으로 한다. 처리할 데이터는 점점 많아지고 고유명사는 수시로 생겨나기 때문에 고유명사 식별은 정보검색, 질의응답, 기계번역시스템의 핵심 기술 중의 하나로 부각되었다. 고유명사 식별에 있어 정확률과 더불어 식별속도와 식별모듈의 크기가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문제도 쟁점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VM과 자질선택을 결합한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중국어 고유명사의 식별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