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조집단 프로그램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초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자조집단 운영 현황 (A study on current situation of self-help group program in community-bas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 박정숙;권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449-458
    • /
    • 2014
  •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동일한 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자기관리 증진을 위한 자조집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전국 253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2010년 9월 3일부터 9월 20일까지 회수된 109개소의 자료를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건소에서 방문간호사업을 담당하는 간호사는 평균 9.27명, 대상 보건소 중 자조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한 보건소는 48개(44.0%), 자조집단 중 암 관련 프로그램이 65건(28.8%)으로 가장 많았으며, 실행예산은 500만원 이상은 19.6%로 재정적 지원이 열악한 현실이었다. 반면에 전문인력, 자조집단 관련 정보 및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자조집단을 운영하지 못하는 보건소들도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조집단 형성과 운영을 위한 매뉴얼 개발 및 효과성 검증을 위한 객관적 척도 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고혈압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근로자의 고혈압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이행도 및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ypertension Self-help Program on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Self-management Complianc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in Workers)

  • 기미영;박영혜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ypertension self-help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self-management complianc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workers with hypertension. Methods: The subjects of study were 54 patients with hypertension, divided into 28 of experimental group and 26 of control group, working in a general work place located in K city from June to September, 2009. Experiment treatment was a 12-week self-care program given for two hours, once a week. Results: After conducting a self-help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knowledge level, self-efficacy, self-management complianc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blood pressure, BMI, total cholesterol level, neutral fat, and LDL-cholesterol of blood lipid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program is greatly recommended for workshops.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유방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Selp-Help Group Program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 김미숙;전미선
    • 종양간호연구
    • /
    • 제3권1호
    • /
    • pp.45-55
    • /
    • 2003
  • Self-help group program is an elective procedure inten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undergoing mastect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e effects of the self-help group program for QOL after mastectomy. 40 Women who had undergone mastectomies between stagel to 3 were recruited.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attended the self-help group for 4 week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ing questionnaire. QOL was assessed using the Quality of Life Scale(QLS) translated by Kwon(1990). As a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changes of QOL. But,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QOL score. In conclusions, when the self-help group program is provided to th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t can be helpful for promoting QOL and emotional support, even no statistical difference. For the further study, repeated researched with appropriate duration of intervention is suggested. Significant anxiety about their disease and fear of recurrence will be persisted despite intervention.

  • PDF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Care Training Program on Motor Function of Upper Limb and Self-Efficac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김기도;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97-503
    • /
    • 2019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기반으로 하는 자조활동 프로그램이 상지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은 상지 과제 지향적 훈련으로 총 6주간, 주 4회 40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매주 1회 집단훈련을 통해 훈련 프로그램을 점검하였다. 상지 운동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맨손기능 검사, 악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기효능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지 운동기능 검사 결과, 자조활동 훈련 전에 비해 자조활동 훈련 후 맨손기능과 악력이 모두 증가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자기효능감 변화를 관찰한 결과, 자조활동 훈련 전에 비해 자조활동 훈련 후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과제 지향적 훈련을 기반으로 하는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과제 성취감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신체의 운동기능 회복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이 정신지체장애인의 자기주장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Mentally Retarded Persons)

  • 박민희;차영주;유영원;부희옥;이숙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9-351
    • /
    • 2004
  • 본 연구는 원예 치료프로그램 종결 이후에 정신지체 장애인이 자조모임을 구성하는 것에 있으며, 의도적인 집단원예 활동을 통해 개인의 심리적 치료를 경험하게 하고, 사회부적응문제를 치료하여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생활태도를 가지도록 지원하며 자조모임을 형성하여 직업개발과 사회통합에 기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기 간은 2003년 1월 4일부터 2003년 5월 27일까지였으며 모집기간 중에 선발된 정신지체장애인 10명 중 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프로그램은 정신지체장애인의 사랑과 나눔의 재활공동체인 자조모임형성을 목표로 설계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서, 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접촉, 시행단계의 원예활동(2단계)과 자조모임을 위한 원예활동(1단계)을 적절히 배치하였으며 , 치료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원예에 대한 기초 조사표, 원예에 대한 기초적인 흥미 진단표, 자아존중간척도(Self-Esteem Scale), 원예치료평가표, 클라이언트 만족도, 자체 설문지를 치료 전, 후로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원예에 대한 기초조사표 평가결과 원예에 대해 꽃가꾸기를 좋아하고, 원예 활동 중 마음이 평 화롭고 편안하다고 대답하였다. 선호하는 색깔은 파란색, 분홍, 노란, 흰색이었고 선호하는 꽃은 장미, 국화, 진달래, 백합 순으로 답하였으며, 채소는 무, 상추와 시금치, 배추 순이었고 과일은 배, 사과, 감과 밀감 순으로 조사되었다. 원예에 대한 기초적인 흥미 진단표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해 본적이 있거나 해 보고 싶다고 답을 했다 특히 정원수, 자생식물, 허브, 화단, 정원 가꾸기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 보아 원예활동이 주는 정신적 안정을 느끼고, 기능의 재활이나 회복, 취미 생활로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사전사후검사로 실시 한 자아존중감(Self-Esteem Scale)평가결과는 대상자 6명 모두에서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 된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원예활동을 하면서 스스로 심고 가꾸는 것을 통해서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끼게 되고, 실시한 성과물을 집에 가지고 가게 함으로써 정신지체장애인의 자아 존중 감에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된다 사후검사로 실시한 클라이언트 만족도 척도의 평가한 결과 대부분이 정신지체장애인이 본 프로그램에 상당한 만족 도를 보였다. 원예 치료평가표 결과는 참가성,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 운동지각능력에서 모두에서 증가를 보였고 그 중 참가성 ,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 4개의 측정항목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원예 치료 실시 후의 자체설문지 평가결과 원예 활동을 통해서 달라진 점은 개인적으로 가족, 이웃 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다양한 원예프로그램이 인상깊었다고 하였으며 다음진행에 추가적으로 야외에서 진행할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표출되었다. 이것을 통해 개인적 치료경험과 가족, 이웃 간의 지지망 형성이 중요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과 야외 활동을 조화롭게 적용한다면 성공적인 프로그램 진행에 도움을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정신지체장애인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원예에 대한 관심이 높고 자아존중 감이 향상되었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원예치료에 대한 참가성,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성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프로그램의 개입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 볼 때 의도적인 원예치료활동을 통해서 심신의 치료를 경험하$\infty$I 자존감이 향상되며 회원 상호관계를 통한 사회부적응문제를 치료하여 사회성이 향상될 것이라는 목표에 대한 높은 달성정도를 볼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이고 흥미를 유발하는 원예치 료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심리적, 신체적, 정서적 치료효과가 높은 향상을 보이고 자신감과 성취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의 한계점은 원예치료사와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주도성의 일부를 성원들에게 이전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이다. 집단내 성원을 리더로 세우고 권한부여를 통한 독립적인 자조모임을 이끌 수 있도록 하여 사회복지사는 조력자로, 원예치료사는 프로그램 진행 자로서 역할을 축소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리더를 세우기 위한 시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참여자의 대부분이 선천적장애인이었고 선천적장애인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대부분이 적극성과 주도성에 제한되었음을 고려하지 못하고 기간 내에 목적을 수행 하고자 했던 것이 부정 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것을 알 수 있다. 성공적인 자조모임의 모형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원예치료프로그램 자체의 효과성과 동시에 집단지도자는 장기적이고 세밀한 개입을 계획하여 점진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기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초등학생집단 다전문가 협업프로그램에서의 School AMPS 분석을 통한 작업치료와 감각통합접근의 의미 (Sensory Integration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Elementary Students Collaborative Group Program : Implementing School AMPS)

  • 지석연;이성아;박소연;홍민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27
    • /
    • 2013
  • 목적 : 학교기반 작업치료는 교육전문가와 협업하는 다전문가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에 진학하는 고위험군 아동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가 함께 지역사회 기관에서 협업으로 실시하는 집단교육 시간의 작업수행변화를 분석하고, 감각통합 중재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예비 프로그램으로 입학준비 프로그램을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부분적인 협업을 통해 실시한 후, 초등학교 적응프로그램은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가 전체과정을 협업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6명이었다(7세 5명, 9세 1명). 프로그램 평가는 교육활동 참여에 대해 School AMPS를 실시하였고, 일정하게 구성된 자조활동에 대해 AMPS 수행기술을 관찰하여 중재전략에 활용하였다. 평가를 통한 중재전략과 그에 따라 진행된 변화를 교사와 치료사의 월간 기록을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설문을 통해 감각프로파일을 조사하였다. 결과 : 사전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동 5명 중 4명이 감각통합적인 어려움으로 수행에 영향을 받는다고 평가되었고, 이 결과가 본 프로그램 구성에 기반이 되었다. 본 프로그램 구성은 참가 아동이 속한 학년의 교실에서 수업과제(school task)와 집단 활동, 기본 자조활동으로 이루어졌고, 수업과제활동평가 School AMPS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으나 평균 운동기술은 0.14 로짓(logit), 평균처리기술은 0.07 로짓이 향상되었다. 협업적 중재로는 감각 통합이 주된 회복적 중재로 사용되었고, 과제수행을 통해 직접 어려움이 있는 기술을 향상하는 습득적 중재, 교사의 대응전략이나 도구 및 환경 조정을 시행하는 보상/적응적 중재가 적용되었다. 기본적 자조활동들은 도움이 필요한 수준에서 자립적인 수준으로 향상되어서 반복적인 자조활동의 경험과 중재가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개선된 수행기술들 이외에 새롭게 도전이 되는 수행기술이 발생하였고, 이런 문제들은 감정과 행동문제와 더불어 감각통합의 어려움 뿐 아니라 집단에서 일어나는 역동적 이유 때문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초기에는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참여가 향상될 수 있었다. 그러나, 집단 활동을 통해서 드러나는 초등학생들의 감정조절 문제, 역할 변화에 따른 수행변화, 또래에 대한 반응문제가 드러남에 따라 감각통합적인 중재에서 더 복합적인 개인-환경-과제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였다.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협업은 상호보완적이며 필요한 수행기술을 향상하는 데 시너지 효과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School AMPS는 측정 가능한 결과를 일부 제시하는 데 유용하며, 향후에는 질적 분석을 보다 객관화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된다.

  • PDF

뇌졸중 기능손상 노인의 가족수발자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Family Caregivers of Older Persons with Stroke)

  • 이인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3권
    • /
    • pp.231-255
    • /
    • 2003
  • 본 연구는 뇌졸중 노인의 가족 수발자들을 대상으로 집단 프로그램과 개별상담을 제공하고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에 입각한 개입이 간병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지 검증하였다. 12명의 가족 수발자들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고 사전 검사 후 실험집단에 대해서만 8회에 걸쳐 개입을 실시하고 다시 두 집단에 대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개입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3개월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개입 효과의 지속 여부를 검증하였다. 통계분석은 비모수통계방법인 Mann Whitney test, Wilcoxon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입은 수발자의 간병 부담, 소외감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었다. 간병자의 자존감과 간병에 대안 자진감, 노인과의 관계, 정서적 지지도 향상되었다. 그러나 간병자의 우울, 전반적인 삶의 만족, 공적 서비스의 사용은 변화가 없었다. 둘째, 추후검사를 통해 개입 효과의 추이를 확인한 결과 간병부담, 자존감, 간병에 대한 자신감, 정서적 지지에 대한 개입효과는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인과의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소외감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에 대한 참여자들의 만족도, 유용하다고 느끼는 정도는 매우 높았다. 참여자들은 특히 지지적 세션에 의해 많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확대, 자조집단의 조성, 지지적 세션을 잘 이끌어갈 것, 간병 받는 노인의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배려, 수발자들의 내재된 분노나 죄의식을 다루어 줄 것 등의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 PDF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유방절제술 환자의 적응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help Group Program on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of Mastectomy Patients)

  • 박영신;임난영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1-71
    • /
    • 1999
  •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intended to test the effect of self-help group program, which is one of the way to enhance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to mastectomy patients.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14, 1998 to Oct. 31, 1998 at two Medical Center in Seoul.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he patients who had undergone mastectomy and were follow-up ; 14 in experimental group and 14 in control group matched with age and treatment.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adaptation in Lee(1994)'s physical symptom questionnaire,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1965), and Self-rating Anxiety Scale(SAS, 1970), quality of life in Spranger(1996)'s and No(1988)'s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The self-help group program for mastectomy patients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ilot study by the investigator.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participated in 6 weeks self-help group program and were received arm and shoulder exercise, informational support, and interpersonal support by group members. The control group were received no intervention, Both group answered questionnaires prior to intervention and 6 weeks later. The data analyzed by frequency, $X^2$-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self-help group program will have a higher score on adaptation state than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But the post test score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were declined and the depression score was reduced relatively.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self-help group program will have a higher score on quality of life than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But the posttest score of quality of life in experimental group was reduced relatively. Hypothesis 3. "The higher adaptation state of mastectomy patients, the higher quality, of life." was supported(r=,80, p<.001). Additionally, the lower physical symptom, depression and anxiety, the higher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which was the main predictor of quality of life, accounted for 59.5%, depression and anxiety accounted for 65.5%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when the self-help group program was intervened to mastectomy patients, it was tended to increase quality of life and to reduce depression and anxiety. So self-help group program can be considered useful nursing inter vention effect on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of mastectomy patients. With discussion, I suggest repeated further re search on self-help group with appropriate sample size and longitudinal study. Also during adjuvant therapy, it is needed to develop convenient method to be supported from peer group and family, such as computer mediated support group.

  • PDF

중독 회복을 위한 SMART Recovery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SMART Recovery for the Recovery of Addiction)

  • 허은정;김나미;김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67-468
    • /
    • 2019
  • Alcoholics Anonymous(AA)/Narcotic Anonymous(NA)의 12 단계 중독 회복 프로그램과 선배 회복자의 지지는 중독 치료 모델에서 성공적인 회복에 기여하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 12단계 중독회복 프로그램의 특징은 특정 종교를 기반으로 하지 않지만 자신의 무력감과 영적 존재에 대한 인정을 바탕으로 한다. 어떤 이들에게는 성공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이 특징이 일부 참여자에게 거부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AA/NA의 오프라인 모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으로 인해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지만 사회적 지지를 포기하는 이탈이 발생하여 참석자의 회복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이에 서구 여러 나라에서 AA/NA와 유사하지만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 모임이 가능하고, 외부의 존재에 대한 의존이 아닌 중독자 스스로가 중독을 극복하게 도와주며 다양한 형태의 중독의 문제를 다루도록 돕는 SMART(Self Management and Recovery Training) Recovery가 대안으로 부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독회복에 상호자조집단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12단계 프로그램이나 오프라인 모임 외에 다른 대안이 없는 국내 상황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SMART Recovery에 대한 정보와 접근방법들을 심도 있게 탐색하고자 한다.

  • PDF

9동작 타이치운동을 이용한 자조타이치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elf-help Tai Chi for Arthritis Applying the Nine Movement Tai Chi)

  • 최정숙;소애영;이경숙;이은희;이인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2-72
    • /
    • 2008
  • Purpose: There has been a need to integrating the self-help program for arthritis with the Tai Chi for arthritis(SHTC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SHTCA for arthritis applying the nine movement Tai Chi. Method: This study was designed the pre-post 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A total 47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W-city in Korea, an experimental group(26) and a control group(21) at pre-test, but after the eight weeks the composition of the groups were changed to 22 experimental group and 15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HTCA once a week for eight weeks. SHTCA program consisted of understanding of the arthritis, contracting of the promise, exercise for muscle strength and joint flexibility and the nine movements of Tai Chi exercise. The measure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HTCA were shoulder flexibility, back flexibility, grasping power, balance, abdominal obesity rates, perception of health status, and EQ-5D standardized five dimensions, mobility, self-care,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Results: At The completion of the eight weeks of SHTCA applying the nine movement Tai Chi,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a significance in a number of variables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right shoulder flexibility(p=.018), left shoulder flexibility(p=.031), right grasping power(p=.014), left grasping power(p=.024), the perception of health status(p=.005) and abdominal obesity rates(p=.027). Conclusion: This SHTCA applying the nine movement Tai Chi would be helpful on right shoulder flexibility, left shoulder flexibility, right grasping power, left grasping power, abdominal obesity rates and the perception of health status for arthritis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