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정작용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5초

울릉도 민속식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 김현준;이동준;구자정;최경;박광우;강신호;문철;이평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9-177
    • /
    • 2013
  • 울릉도 민속식물 31분류군 49점 추출물을 대상으로 최종농도 $50{\mu}g/mL$로 LPS에 의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의 NO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래(Actinidia arguta) 잎 가지, 헛개나무(Hovenia dulcis) 잎,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잎 가지, 말오줌나무(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잎 가지,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뿌리 순으로 항염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 중에서 다래 잎 가지, 헛개나무 잎, 동백나무 잎 가지 추출물을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최종농도가 10, 20, 40, $50{\mu}g/mL$로 처리하여 NO 생성량과 세포생존율, $PGE_2$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래 잎 가지($IC_{50}=29.21{\mu}g/mL$), 헛개나무 잎($IC_{50}=27.34{\mu}g/mL$), 동백나무 잎 가지($IC_{50}=45.68{\mu}g/mL$) 모두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또한 $PGE_2$ 측정결과 다래 잎 가지($IC_{50}=21.06{\mu}g/mL$), 헛개나무 잎($IC_{50}=33.47{\mu}g/mL$), 동백나무 잎 가지($IC_{50}=43.90{\mu}g/mL$)에서도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다래 잎 가지, 헛개나무 잎, 동백나무 잎 가지의 추출물은 염증 유발의 중요 인자인 NO 및 $PGE_2$ 생성을 저해하여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이들 소재에 대한 염증억제 유효성분 규명 및 그 작용기전을 추가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만성 염증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단그라스 Biochar를 적용한 수중 암모니아성 질소(NH4-N) 흡착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queous ammonium-adsorption of biochar produced from Sudangrass)

  • 류도윤;김도용;김대기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2호
    • /
    • pp.63-71
    • /
    • 2023
  • 수계 내 질소의 증가는 부영양화나 녹조 및 적조현상을 유발하여 수계의 파괴 및 물의 자정능력을 저하시켜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환경문제가 되었다. 수계 내 질소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암모늄(NH4+)이온의 형태로 폐수로부터 유입되는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부영양화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어 암모늄 제거에 있어 적절한 처리 및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장력이 좋은 바이오매스 중 하나인 수단그라스를 적용하여 바이오차를 생산하였으며, 200℃-400℃ 탄화 온도 조건 변화에 따른 과정에서 생성된 수단그라스 바이오차를 활용하여 암모늄 이온, 10~100ppm 농도 변화에 따른 흡착능력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통해 흡착제로써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탄화반응으로 인해 수단그라스의 화학구조가 분해되면서 바이오차의 탄소 및 고정 탄소함량이 증가하였다. 바이오차의 pH는 탄화 온도가 높을수록 pH와 전기전도도가 높아지면서 전기전도도로 인해 양이온에 대해 높은 흡착 가능성을 보였다. 흡착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NH4-N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최대 54.5%, 최저 17.4%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탄화 온도가 높을수록 바이오차의 기공 및 비표면적 증가로 인해 오염물질의 흡착이 용이해져 NH4-N의 제거효율이 높아졌다. FT-IR 분석 결과, 탄화반응의 고온으로 인해 전체적인 표면 작용기의 감소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