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지리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17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Estimation of Small Hydropower Resources Using GIS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소수력자원 평가)

  • Park, Wan-Soon;Lee, Chul-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27-227
    • /
    • 2011
  • 에너지 자원이 절대 부족하여 에너지 해외의존도가 97% 이상인 우리 나라의 입장에서는 에너지 해외의존도를 경감시키고 에너지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국내의 부존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지구온난화에 대처하는 범세계적인 규제에 대비하기 위하여, 청정한 에너지를 적극 개발하여 에너지자립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소수력 자원은 다른 대체에너지원에 비하여 에너지밀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개발할 가치가 큰 부존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해 소수력자원에 대한 정보제공과 함께 소수력 자원지도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국내 840개 표준유역의 소수력자원량을 산정하였다. 그림 1은 표준유역의 소수력 연간발전가능량 주제도를 나타낸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eo-Ontology Population Model using Non-Structured Web Resources (비 구조화된 웹 자원을 이용한 지리정보 온톨로지 확장 모델 설계 및 구현)

  • Song, Won-Yong;Ji, Jong-Jin;Baik, Doo-Kwon;Jeong, Dong-W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397-400
    • /
    • 2009
  • 현재 웹은 단순히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던 웹 1.0을 지나 정보의 사용자가 곧 생산자가 되어 개방된 웹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를 제작, 재창조, 공유하는 인터넷 서비스 모델인 웹 2.0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웹의 발전 과정에서 시맨틱 웹이 등장하게 되었고 시맨틱 웹이 지리 정보와 접목되어 시맨틱 지리 정보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기존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들이 국한된 정보만을 제공받아 왔지만 웹이 발전하고 수많은 콘텐츠가 생성되면서 웹의 데이터를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결시켜서 사용자에게 풍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하여 비공간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특정 시스템에 종속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시맨틱 웹에서 지향하는 풍부한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격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웹 자원을 정의된 지리정보 온톨로지(Geo-Ontology)의 인스턴스로 추가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의 비공간 정보를 확장함으로써 특정 시스템에 종속적이지 않고 사용자에게 보다 풍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한다.

  • PDF

Populating Geo-ontology with Web resources (웹 자원을 이용한 지리정보 온톨로지 확장)

  • Song, Won-Yong;Baik, Doo-Kwon;Jeong, Dong-Wo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5 no.10
    • /
    • pp.740-751
    • /
    • 2009
  • Much research on semantic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hat incorporating the Semantic Web and geographic information has been actively studied. However, the exis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have a system dependency problem that users can input and retrieve non-spatial information only in a specific system. It also causes difficulty in providing rich service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implementation model for population of Geo-ontology from non-structured Web resources. The proposed model can populate instances for Web ontology independently of systems, and thus it enables a richer Web service development. Finally, this paper shows the prototype that populates instances including a Geo-ontology building example for a University selected as an application domain.

Analysing GIS Implementation Factors in Local Governments (지방자치단체의 지리정보시스템 집행요인분석)

  • Kim, Kwang-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 no.2
    • /
    • pp.26-36
    • /
    • 1998
  • As the digitization of maps in Korea has been completed in 1998, local governments begin to apply digital maps for their administrative convenience. In applying GIS to local administration, there are some important aspects to be considered such as technical aspect, organizational aspect and data managerial aspect. Using surveys to local governments, the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factors such as leadership, GIS organizational settings,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and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related to the applications of GIS to local governments in Korea. As a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that organizational and human factors be combined harmoniously with technical factors from the beginning stage of GIS installati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GIS applications to local governments.

  • PDF

Development of a Spatial Data Mirror ing System based on Peer-to-Peer (Peer-to-Peer 기반의 공간 데이타 미러링 시스템의 개발)

  • 김한주;김동오;윤재관;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8-60
    • /
    • 2002
  • 최근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근거한 다양한 형태의 GIS 응용 시스템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으며, 또한 인터넷의 발전으로 사용자 측면의 기술도 발전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대해 마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지리 정보 시스템7: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지리 정보시스템은 데이타의 처리와 전송에 상당한 시스템 자원을 소모하는 단점이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각각의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는 P2P 기술은 자원의 공유를 통한 저장 공간의 절약, 데이타 전송의 효율성, 클라이언트의 기능 활용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P2P를 이용하면 이전의 방법에서 문제시되었던 과부하, 접속 지연, 전송비용 과다 등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 형태 지리 정보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P2P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토대로 다양한 미러링 클라이언트를 두어 서버의 과부하나 전송 비용 과다를 줄이고, 클라이언트의 활용도를 높여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 형태의 지리정보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한 P2P 기반의 공간 데이타 미러링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Estimation of Small Hydropower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소수력 자원량 산정과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 Heo, June-Ho;Park, Wan-Soon;Yun, Jung-Hwan;Jeong, Sang-M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2
    • /
    • pp.103-110
    • /
    • 2010
  • Small hydropower is one of the many type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which South Korea is planning to develop, as the country is abundant in endowed resources. In order to fully utilize small hydropower resources, there is a need for greater precision in quantifying small hydropower resources and establish an environment in which energy sources can be discovered using the small hydropow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has given greater precision to calculating annual electricity generation and installed capacity of small hydropower plants of 840 standard basins by inquiring into average annual rainfall, basin area and runoff coefficient, which is anticipated to promote small hydropower resources utilization. Small hydropow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as also established by additionally providing base information on quantified small hydropower resources and analysis function and small hydropower generator status, rivers, basin, rainfall gauging station, water level gauging station etc., all of which were not provided by the domestic hydropower Resources Map System. Established GIS small hydropower energy system can be used to basic information for active uses of small hydropower energy which is scattered to the entire country.

An Dynamic Monitoring Interval for Grid Resource Information Services (그리드 환경에서 동적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 허의남;김혜주;이웅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328-330
    • /
    • 2003
  • 그리드 기술은 지리적으로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기에 다양한 자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이는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이루어진다. 자원 상태 정보가 실시간으로 변하여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행해야 한다. 모니터링에 사용된 자원은 시스템 성능에 오버헤드가 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cpu 상태 변화 정도를 관찰하여 시스템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모니터링 주기에 적용시켜 모니터링 주기를 조절하는 시스템을 모델링 하였다. 이는 cpu상태 변화율에 따라 효율적이고 정확한 자원 정보를 수집하도록 모니터링 주기가 조절됨을 실험을 통하여 보일 것이다.

  • PDF

An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Touris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관광지리정보시스뎀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Si-Jo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1 no.3
    • /
    • pp.395-409
    • /
    • 2005
  • Nowadays, it is required that GIS(Geography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into tourism fiel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everal directions as to how well GIS can be used and applied into tourism area. Several directions were made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and the analyses of TGIS(Tourism Geography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verall, the research found that it were necessary for five main points to make a development of TGIS. First, TGIS database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ourism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database. Second, as one of an institutional devices, systems for supporting were needed to be prepared for businessmen and integrated information function. Third, as an administrative countermeasure, a mediation committee between the department and bureaus, Tourism Geography Information Circulation Management and Local Tourism Information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ourth, the methods for financial resource, which amplify the investment funds,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universities must introduce a large number of specialists of TGIS by setting up the department of tourism geography information newly.

  • PDF

Implementation of Access Control System for Site Autonomy in Grid Environment (그리드 환경에서의 사이트 자율성 보장을 위한 접근 제어 시스템 개발)

  • 김법균;황호전;두길수;곽의종;안동언;정성종;장행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361-363
    • /
    • 2003
  • 지리적으로 분산된 이 기종의 유휴 자원들을 서로 연결하여 가상의 고성능 컴퓨팅 자원으로 사용하는 그리드에서 자원에 대한 접근 제어 시스템의 구축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원에 대한 접근 제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특히, 그리드 환경 구축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Globus Toolkit을 기반으로 하고 각 자원을 제공하는 사이트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자원 접근 제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