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안보

Search Result 12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Maritime Security Review of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의 해양안보적 고찰)

  • Jung, Min-ki
    • Maritime Security
    • /
    • v.6 no.1
    • /
    • pp.57-81
    • /
    • 2023
  • This study aims to review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from a maritime security perspective. Based o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Russia's national security perception, this study analyzed Russia's maritime security strategy and the security importance of the Black Sea and the Sea of Azov, and reviewed the annexation of Crimea from a maritime security perspective. The main argum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wa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fulfillment of Russia's maritime security strategy in the Black and Azov Seas.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guarantees the activities of the Black Sea Fleet militarily from a maritime security point of view, secures a passage to the Atlantic Ocean to counter NATO's expansion. From a economic security point of view,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was based on the strategic considerations to secure influence within the Black Sea economic bloc which guarantees stable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shipping.

  • PDF

Comparative Study of US-China Discourse on Cross-border Data Regulation and Cybersecurity: Focusing on ASEAN Development Assistance Cases (미·중 초국경 데이터 규제와 사이버안보 담론 비교: 아세안 개발원조 사례를 중심으로)

  • Kayeon Lee
    • Informatization Policy
    • /
    • v.30 no.1
    • /
    • pp.89-108
    • /
    • 2023
  •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TI) has expanded the activity of actors from the traditional physical territory to the cyberspace. Data-driven platform services and markets advance new discussions on cross-border cooperation and cyber security, as well as discourse on sovereignty in cyberspace. These changes are also affecting the hegemony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n particular, competition for aid to developing countries that are located along major resource transportation routes, such as natural gas and deep sea resources, is fierce. ASEAN is not only a geopolitical military and security point where the US and China powers collide, but its population of 600 million has grea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economy due to its data resource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aims to connect the discourse of liberalism and authoritarianism with data regulation and cybersecurity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ASEAN integr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convergence study that links international political issues related to big data in terms of global governance.

Comparative Analysis on Inter-Countries For the Development of Energy Security Index -Focusing on LNG- (에너지 안보 지표 개발에 관한 국가 간 비교 분석 -LNG를 중심으로-)

  • Hwang, Yun-Seop;Kim, Dong-Yeub;Song, Seok-Wo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3 no.3
    • /
    • pp.191-210
    • /
    • 2009
  • Energy Security has been factor of great importance to national security, economy, society and all other areas. However, it has been in the lack of situation where there is no leading method to measure energy security nor to compare among countries until now. In the research, objective index to assess energy security has been developed and compared among the level of countries in terms of energy importing countries' perspective. Based on the suggested index, comparison for the energy security level has been explained. The implication of the research is that in terms of energy importing perspectives, method to appraise energy security and according to this, energy security rate by each countries with respect to LNG. This method is doubtlessly applicable to comparison of security rate from other resources and fluctuation of energy security by reflecting other factors. Also, discussion about how increased autonomy of resources can impact Korean energy security with regard to recent international energy development. As a consequence, it has revealed that enhanced authority of resources evokes ascendancy of energy security in a positive way.

국가안보적 측면에서 필요불가결한 해기사의 역할

  • 전해동;하민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231-232
    • /
    • 2021
  • 승선근무예비역제도는 미국의 사례와 같이 훈련된 우수한 승선근무예비역을 제4군으로 장기적으로 양성·예비함으로써 평화시에는 국가의 부를 축적하고, 전시, 사변 또는 국가비상시에는 국가안보를 부담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이다. 우리나라가 동북아 물류거점국가 및 해양강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해양 분야의 전략적 인적자원인 해기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승선근무인력의 제4군화 제도의 정착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승선근무예비역제도는 육·해·공 어느 최정예군대에 의해서도 대체할 수 없는 국가필수요원이며, 특히 국가안보와 해운력의 기초가 되는 제4군의 역할을 하는 해운인력은 양성기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한번 교육기반이 무너지면 복원하기 힘든 특성이 있으므로 단순한 직업인으로서의 해기사가 아니라 국가존립을 위한 국가의 사람으로서 국가 백년대계의 근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 PDF

The optimization of energy and food interdependencies in view of water security (물안보 관점에서의 에너지, 식량 연계 최적화 방안 접근)

  • Lee, Eul Rae;Park, Sang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1-461
    • /
    • 2018
  •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기인하는 기상변동성 증가 등의 원인으로 물, 식량, 에너지의 시공간적 불균형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 2012-2015 대가뭄, 우리나라의 2013-2015 대가뭄 등 물부족의 위험 가능성이 증폭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에너지와 식량 등의 연계자원들도 기존의 방법과 같이 관리되고 활용하는 것에 한계점이 도달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같이 기상학적 스트레스 증가와 더불어, 국제적으로 인구증가 및 도시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한국, 미국, 중국, 인도 등에서 물안보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으며,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전 지구적 위험도 인지 조사"에서도 물, 식량, 에너지 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물, 식량 그리고 에너지는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개별 분야에서의 문제는 그 자체의 위기로 그치지 않고 다른 타 분야의 위험도를 증폭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과거와 다르게 교통, 물류 등의 발달로 물, 식량 및 에너지의 국가간 의존도가 더욱 증가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세 가지 자원의 연계성 강화는 결국 상호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물안보 및 물복지 실현을 위한 물과 에너지의 저비용, 고효율의 최적화 방안은 상당히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자원간 Trade-off, 평가 등 에너지소비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하며 에너지 절약형 기술에 개발에 중점을 두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또한 원예시설 및 관개 기술의 개선에 따른 물과 에너지 소비량 비교 분석, 시설원예 산업의 에너지 생산성 및 절약형 기술 등 에너지-물-식량 분야의 상호연결을 정량화하고 최적화하는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Suitable Construction of the Social Overhead Capital for the National Security (국가안보 제고를 위한 사회간접자본 건설 방향)

  • 권헌철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2
    • /
    • pp.329-343
    • /
    • 2004
  • The Social Overhead Capital contains roads, railroad system, airports, seaport, waterworks, electric power plants, and etc. This SOC is very important, not only as a national economic competitiveness factor, but also as a national security factor. For example, 'Freedom Express Way' works as a tool of psychological warfare to the North Korea, as well as an economics infrastructure. In spite of that, until now on, we have disregarded the SOC as a national security factor. Constructing the SOC, only considering economic cost, we have not fulfilled other purpose requirement like stable national security, balanced development. When we invest the money to construct the SOC, considering multi-purpose requirement like military purpose, economic purpose, social purpose and cultural purpose, as a whole national wide point of view, the scares national resources and government budgets will be saved.

  • PDF

Developmental Direction for East Asia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동아시아 해양안보협력 발전방안)

  • Park, Eung-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8
    • /
    • pp.1596-1606
    • /
    • 2016
  • Today the ocean is a treasure trove of the resources that prosperous country and the passage of the trade to lead the world econom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activities are increasingly expanding into the ocean from land. Modern east Asian countries have also recognized the value of the ocean and competitively pursue their own interests at sea. For this reason, the conflict between the East Asian countries is rising. On the other hand, the mea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ritime security to resolve these issues are very limi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reexamine the scope and agenda of the maritime security issues, and re-evaluate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various security cooperation which have been implemented. If we solve these problems successfully, the troubled Asian waters will be changed to 'sea of peace and prosperity'.

Strategy of Water-Energy-Food Nexus to ensure Resources Security (자원안보 확보를 위한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추진 전략)

  • Lee, Eul Rae;Choi, Byung Man;Chae, Hyo Sok;Jung, Yo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6-136
    • /
    • 2016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인구증가와 도시화 및 산업화 영향으로 물, 에너지, 식량의 수요증가와 공급부족이 예상되는 가운데, 급격한 기후변화와 자원고갈로 인해 이는 더욱 가속화되고 심화될 위기에 직면하였다. 특히 물의 수요는 증가하나 공급은 제한되어 있어 지속가능한 인류의 생존을 위하여 인간에게 꼭 필요한 에너지와 식량의 문제를 물을 중심으로 상관성을 찾고 효율적인 물활용 방법을 개발하고 정책화할 필요가 있다. 세계 물공급량 중 농업으로는 70%, 에너지로는 15%로 소비되고 있다. 또한 유럽과 미국은 발전용 냉각수로 각각 담수총량의 43%, 50%를 사용하고 있는 등, 세계는 물, 식량 그리고 에너지 수급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상호 위기가 증폭되고 있다. 향후 인간의 삶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세가지 자원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상호 위기가 증폭될 수 있는 실정이나, 우리나라는 개별자원에 대한 관리 및 운영기술은 상당한 수준이지만 아직까지 연계성을 고려하여 자원간의 효율성을 찾는 물-에너지-식량 연계(Water-Energy-Food Nexus, WEF Nexus)에 대한 관리 및 기술은 부족한 실정이다. 국제적으로 세자원의 연계상황이 선진국과 개도국간에 편차가 크고, 사막지대 등 자연조건이 열악한 지역에서 자원들간의 위기 연계성이 높은 상황이므로 우리나라도 물-에너지-식량의 연계위기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이 필요하나, 현재 국내 물관리에 있어 저수지나 수리시설 관리가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어 이를 방치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식량 및 에너지생산에 있어 부족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부처간의 행정적인 간격으로 물-에너지-식량의 연계성 연구 및 정책수립에 있어서 자료 등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DB구축 및 인벤토리 정의 등도 현재시점에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WEF Nexus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 자원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야 한다. 과거에는 개별적 자원의 확보를 추구했다면 이제부터는 각 자원간의 상생을 통한 연계성을 확보하여 서로간의 자원 확보를 고려하여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의 자원확보에 대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상호 연계를 통한 효율성을 확보하고 그 효율성이 각 자원에 영향을 주어 시너지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