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순환정보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Application of Smart Water Grid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Power Generation Industry (발전산업 연계 스마트워터그리드 물순환 시스템의 적용방안)

  • Jang, Dong Woo;Choi, Gye Woon;Park, Hyo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73-373
    • /
    • 2018
  • 화력발전소, 석유화학공단 등 대규모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탄소자원화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전략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자원화 기술은 아직 상용화 단계이지만 최근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의무로 인하여 탄소자원화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발생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는 응축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수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응축된 물의 최적 활용과 사용처 지향적 효율적 물순환을 위한 시설 내 스마트 워터 그리드(SWG) 개념의 물분배 시스템은 발전 산업 내에 탄소자원화의 핵심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 SWG는 시설 내 용수공급 관리에서의 관망 운영, 물 수요 관리 등 ICT를 활용한 종합적인 물 분배 시스템으로, 본 연구에서는 SWG 물순환 시스템의 국내외 기술조사를 통해 발전 산업 시설 내에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물의 재이용 시스템을 포함한 SWG 기술, 지능형 관망 운영 기법 기술, 실시간 수질 감시 체계 기술 연구를 기반으로, ICT 기반 용수공급 정보 관리 기술과 수운영 모니터링 기술을 통하여 SWG가 발전 산업 연계 기술로써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SWG 시스템을 적용한 산업 인프라를 통하여 산업적 파급 효과를 높이고, 이를 활용한 인력과 비용 절감이 기대되며, 저에너지,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력과 글로벌 물 시장진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ocedures of Transform the IDEF3 Process Model of Concurrent Design into CPM Precedence Network Model (동시공학적 설계의 IDEF3프로세스 모델을 CPM Network 모델로 변환하기 위한 절차)

  • 강동진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4 no.2
    • /
    • pp.73-80
    • /
    • 1999
  • A major concern in Concurrent Engineering is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workload As a general rule, leveling the peak of workload in a period is difficult because concurrent processing is comprised of various processed, including overlapping, paralleling and looping and so on. Therefore workload management with resource constraints is so beneficial that effective methods to analyze design process are momentous. This paper presents a procedure to transform the IDEF3 process model into the precedence network model for more useful assessment of the process. This procedure is expected to facilitate resolving resource constrained scheduling problems more systematically in Concurrent Engineering environment.

  • PDF

Design and Construction of Green Infrastructure-Low Impact Development Experimental Complex for Hydrological cycle (부산대학교 GI·LID 물순환 실증단지 계획 및 구축)

  • Lee, Jae-Hyuk;Yoon, Eui-Hyeok;Jang, Young-Su;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19-319
    • /
    • 2016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강우량 및 강우강도는 약 20% 증가하고 강우일수는 14% 감소하며 도시 기온이 최대 $3^{\circ}C$까지 증가하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한 도시 물순환체계의 파괴는 도시물관리 여건의 악화로 이어지고 특히 불투수면적 증가로 인한 도시 홍수 및 침수의 증가, 잦은 도시 고온 현상, 도시하천의 건천화로 수질 악화를 야기하는 실정이다. 이에 국토의 자연자원을 보전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하면서 도시의 안전도와 가치를 높이기 위한 물관리 정책은 먼저 물을 순환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통합적인 물관리 체계 확보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생원 관리를 포함한 소규모 분산관리 체계로 변화하여야 하며 이들 시설에 대한 네트워크화를 통해 기후변화에 강건하고 통합관리쳬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및 그린인프라(GI, Green Infrastructure) 기반의 분산식 빗물관리기법의 도입이 절실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제도적으로 기후변화 대비,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구축을 위한 물순환 건전화를 위해 100대 국정화제에 포함시키는 등(2013.2) 도시계획 및 기반시설 설치 LID기법의 법제적 산업적 도입을 추진중에 있으나, LID 기술의 수자원 치수, 이수 및 환경 효율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의 부재, LID 기술에 대한 효율성 검증 및 인증시스템의 부재, LID 기술의 무분별한 국외기술 도입으로 인한 효과 저감, LID 기술의 설계, 시공, 관리를 위한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의 부재, LID 기술에 대한 지자체 지원 및 전문가 양성 시스템의 부재 등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있어 GI 및 LID 기술의 적용을 통한 새로운 도시 및 유역차원의 수자원확보와 재해경감기술 패러다임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한 LID기술 신뢰도 향상 및 단일화, 표준화된 효율성 검증 기술 개발과 더 나아가서 도시-건축-수자원-도로-조경 등의 종합적인 인프라를 바탕으로 LID기술 통합관리 및 기술 고도화를 위해 부산대학교 GI LID 물순환 실증단지의 계획 및 구축을 수행하였다.

  • PDF

An Integrated Method of Iterative and Incremental Requirement Analysis for Large-Scale Systems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을 위한 순환적-점진적 복합 분석방법)

  • Park, Jisung;Lee, Jaeh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6 no.4
    • /
    • pp.193-202
    • /
    • 2017
  • Development of Intelligent Systems involves effective integration of large-scaled knowledge processing and understanding, human-machine interaction, and intelligent services. Especially, in our project for development of a self-growing knowledge-based system with inference methodologies utilizing the big data technology, we are building a platform called WiseKB as the central knowledge base for storing massive amount of knowledge and enabling question-answering by inferences. WiseKB thus requires an effective methodology to analyze diverse requirements convoluted with the integration of various components of knowledge representation, resource management, knowledge storing, complex hybrid inference, and knowledge learn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grated requirement analysis method that blends the traditional sequential method and the iterative-incremental method to achieve an efficient requirement analysis for large-scale systems.

Development of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Methods for a Hybrid-type Unmanned Aircraft Electromagnetic System (하이브리드형 무인 항공 전자탐사시스템 자료의 분석 및 해석기술 개발)

  • Kim, Young Su;Kang, Hyeonwoo;Bang, Minkyu;Seol, Soon Jee;Kim, Bona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5 no.1
    • /
    • pp.26-37
    • /
    • 2022
  • Recently, multiple methods using small aircraft for geophysical exploration have been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hybrid unmanned aircraft electromagnetic system of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which is under development. Additionally, data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methods are suggested via the analysis of datasets obtained using the system under development to verify the system. Because the system uses a three-component receiver hanging from a drone, the effects of rotation on the obtained data are significant and were therefore corrected using a rotation matrix. During the survey, the heights of the source and the receiver and their offsets vary in real time and the measured data are contaminated with noise. The noise makes it difficult to interpret the data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fore, we developed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model to enable rapid predictions of the apparent resistivity using magnetic field data. Field data noise is included in the training datasets of the RNN model to improve its performance on noise-contaminated field data.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the trained RNN model predicted similar apparent resistivities for the test field dataset.

기획특집 - 미래형 도시, 꿈꾸는 탄소 제로도시 개발

  • 환경보전협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89
    • /
    • pp.8-24
    • /
    • 2010
  • 도시생활과 관련된 교통 주택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43%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에서의 온실가스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며,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기후변화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저탄소 녹색도시'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기능을 확충하면서 자연과 공생하는 도시를 말한다. 최근의 '저탄소 녹색도시'는 기존의 녹색도시와 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자원순환과 신재생에너지원의 도입을 주장하고, 탄소상쇄를 위한 에너지 및 자원절감 전략을 중요시 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주거단지내 소비되는 난방과 전력은 단지내에서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고 있으며, 모든 주택의 지붕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단지 내 열병합 자가발전소에서 산업폐기물을 소각하여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제로 에너지(Zero Energy)를 실현하고 있다. 선진국 뿐 아니라 전 세계의 이목이 '저탄소 녹색도시'에 집중되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도시를 조성해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의무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0년 그린홈 100만호 보급을 목표로 주택분야 보급가능 신재생 에너지원을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으로 다양화하여 안정적 보급 기반을 확보해 가고 있다. 녹색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저탄소 주택, 저탄소 에너지, 녹색교통, 생태녹지, 물 및 자원순환등 핵심요소들의 적용방안이 검토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지에서는 "저탄소 녹색도시의 해외사례와 국내 적용방향",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 그간 성과와 발전방향", "온라인 전지자동차의 기술 개발 동향"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Green Libraries Certification (녹색도서관 인증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2 no.3
    • /
    • pp.99-130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propose the evaluation indicators to evaluate the eco-friendliness of the library, when certified as the eco-friendly Green Libraries. To do this, we extracted the green library componen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green library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and surveyed the perceptions of the library staffs about the assessment factors. Finally, we developed the green library evaluation index with 11 evaluation areas, 31 evaluation items, and 135 evaluation indicators. The 11 evaluation areas are as follows; Land use and transportation, energ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materials and resources, water cycle management, maintenance management, ecological environment, the indoor environment, the library resources, the eco-education programs and campaigns, the staff and operations, and the computerization.

정유사 주유소간 휘발유 가격발견에 관한 연구

  • Park, Hae-Se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1 no.3
    • /
    • pp.493-517
    • /
    • 2012
  • This paper analyzes a price discovery process for gasoline among branded and independent stations in Korea using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and directed acyclic graphs (DAG). Two data sets for daily prices of medium level gasoline running from April 15, 2008 to May 31, 2009 and from January 1, 2011 to December 31, 2011 a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S-OIL has an exogeneity and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flow of price information in the market in the first period. In the second period, SK energy played a key role in price discovery process in the market. The price of NH-OIL stations do not cause the price of any other stations, which implies that the entrance of new branded stations with lower gasoline price to market has no influence on gasoline prices of retail markets.

  • PDF

Blockchain-based system architecture for secure data communication in mobile IoT environment (모바일 IoT 환경에서 안전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시스템 구조)

  • Heo, Gabin;Doh, Inshil;Cha, Ki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02-204
    • /
    • 2021
  • 다양한 IoT 기기로 구성된 모바일 IoT 환경에서는 IoT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다른 IoT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는 순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해당 환경에서 데이터는 공유되는 자원이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IoT 기기가 밀집된 지역에서는 많은 트래픽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송지연 및 데이터 손실로 인한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시스템 구조를 제안한다. 해당 시스템은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IoT 기기의 이동성과 밀집도를 판별하고, 트래픽 밀집 구역이 발생하였을 경우 UAV를 활용하여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 Method of Supervised Learning for Optimized Household Waste Detection based on Vision AI (비전 인공지능 기반 생활폐기물 선별에서 성능최적화를 위한 감독학습 기법)

  • Park, Sang-Hee;Lee, Bbun-Byul;Jung, Jo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637-639
    • /
    • 2021
  • 인공지능 기반의 생활폐기물의 인식 및 선별에서, 선별 정확도의 저하는 인식 대상의 형태적 다양성과 학습데이터 부족 및 불균등성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 인공지능 기반의 효과적인 폐기물 선별을 위한 인식 시스템 및 감독학습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 기법을 제안한다. 생활폐기물 중 순환자원적 가치가 높은 CAN, PET, 그리고 이와 형상적으로 유사한 폐기물에 대해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시스템에서 물체원형 및 훼손된 형태의 총 18 종 이미지 데이터를 대상으로, 감독학습기반의 인공지능 모델 제작에서 최적의 데이터 레이블링을 위한 분류체계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