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외선 흡수도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4초

PVBC계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의 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paration of Polymeric UV Screening agent using PVBC)

  • 김효중;박혜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0-83
    • /
    • 1996
  •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품 원료 중 주요 자극원의 하나이다. 그러나 자오선 차단제를 고분자로 만들 경우 피부에 도포 되었을 때 경피흡수가 불가능 하여 피부 자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VBC와 alkylhydroxycinnamate를 반응시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합성하였다, PVBC는 benzylic chloride를 가지고 있는 고분자로서 이 작용기는 친핵성 치환반응이 용이하므로 side chain modification이 가능하다. PVBC와 alkyl hydroxycinnamate의 반응에서 반응성은 alkyl hydroxycinnamate의 크기와 반응에 첨가된 촉매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 효율이 낮은 촉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alkyl hydroxycinnamate의 크기가 작을수록 반응수율이 높았으며, 높은 효율을 갖는 촉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alkyl hydroxycinnamate의 종류에 관계없이 반응수율은 100%였다. 실험에 사용한 PVBC는 평균 분자량이 55,000이었으며, 고분자의 구조와 분자량은 NMR과 GPC로 확인하였다.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흡수 능력은 OMC에 비해 65 - 94% 였으며, caprylic/capric triglyceride에 좋은 용해도를 보여주었다.

  • PDF

키틴 및 키토산 미립자의 제조 및 자외선 차단 특성 (Preparation and UV-Protective Properties of Chitin and Chitosan Particles)

  • 조석형;김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005-1009
    • /
    • 2010
  • 자외선을 막아주고 피부에 안정한 자외선 차단성을 갖는 고분자 미립자를 키틴 및 키토산 미립자에 p-amino benzoic acid(PABA), parsol MCX, parsol 1789를 공유결합시키거나 캡슐화시켜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을 갖는 고분자 미립자의 자외선 차단성은 우수하였다. 그리고 피부에 대한 안정성과 독성을 in vivo로 평가한 결과 기존의 화학 자외선 흡수제 보다 안정하였다.

  • PDF

시력교정용 안경렌즈의 융복합적 기술개발을 위한 UV차단 성능 평가 (Assessment of UV Blocking Performance for Development of Converged Technologies of Vision Correcting Spectacle Lenses)

  • 김흥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93-98
    • /
    • 2018
  • 본 연구는 시력교정용 안경렌즈의 재질에 따른 자외선 차단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안경렌즈 Acryl, CR-39, NK-55, MR-8 재질의 렌즈에 대하여 흠집 방지와 반사방지 코팅을 한 렌즈 Group A와 여기에 자외선 차단 코팅을 추가한 렌즈 Group B, 그리고 자외선 차단 전용렌즈 Group C에 대하여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UV-A 파장에서 Group A는 CR-39 렌즈가 7.726 %, NK-55 렌즈, 0.043 %, MR-8과 Acryl 렌즈, 0.007 % 순 이었으며 Group B는 CR-39 렌즈가 0.038 %, NK-55 렌즈, 0.037 %, MR-8과 Acryl 렌즈, 0.007 % 순으로 나타나 CR-39 렌즈의 자외선 차단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다. Group C는 굴절률이 1.60과 1.67에서 각각 0.005 %, 0.004 %로 나타나 자외선 차단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저 도수의 렌즈와 썬글라스의 경우, CR-39 렌즈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현실에서 자외선 차단을 위한 새로운 재질 또는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코팅 기술 등의 융 복합적 기술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중파자외선에 대한 남극산 해조류의 광합성 및 자외선 흡수물질 형성 반응 (Photosynthesis and Formation of UV-absorbing Substances in Antarctic Macroalgae Under Different Levels of UV-B Radiation)

  • 한태준;박병직;한영석;강성호;이상훈
    • 환경생물
    • /
    • 제20권3호
    • /
    • pp.205-215
    • /
    • 2002
  • 남극에 생육하는 5종의 홍조류(Curdiea racouitzae, Gigartina skottsbergii, Mazzaella obovata, Myriogramme manginii, Palmaria decipiens)를 대상으로 인공 중파 자외선과 태양광선에 대한 종별 생리적 반응을 광합성이라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실험실연구 결과, 종간에 중파 자외선에 대한 내성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각 종들이 채집되기 전에 서식하고 있었던 수심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20-30m의 수심에서 채집된 M. manginii와 P. decipiens의 자외선 내성이 다른 종들에 비하여 작게 나왔다. 본 연구 결과는 서식지 주변의 광환경이 해조류의 자외선 내성을 결정해 주는 한 요인이라는 가설을 입증해주었을 뿐 아니라 형광 변화를 이용한 광합성 측정법은 자외선 내성을 타진하는데 있어서 매우 신속하고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두 종의 흥조류(M. manginii, P. decipiens)를 대상으로 태양광선 하에서의 광합성 효율을 관찰한 결과, 정오에 최저 광합성을 보인 반면 저녁에는 광합성 능력이 회복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같은 동적인 광저해 현상(dynamic photoinhibition)은 일종의 광적응 능력으로서 식물이 비교적 강한 태양광선에 노출된 지역에 성공적으로 서식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태양광선내 중파자외선 포함 유무에 따라 광합성 회복 속도에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중파자외선이 포함된 태양 광선 하에서는 광합성의 회복이 느린 반면, 중파 자외선이 제거된 조건에서는 광합성이 비교적 빨리 회복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는 중파 자외선이 광합성 회복 기작을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야외에서 자외선 민감성을 비교한 결과, P. decipiens가 M. manginii에 비하여 자외선 내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두 종 공히 조간대로부터 조하대 상부까지 서식하는 종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내성차이를 보인 이유는 자외선 흡수물질의 정량적인 차이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M. manginii와 P decipiens에서 발견된 자외선 흡수물질의 양은 약 1:2 정도의 비율을 보였는데 이러한 정량적 차이가 자외선 민감성에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계절별 그리고 채집 수심별로 자외선 흡수물질의 정량적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태양광선이 풍부한 여름철에 그리고 고광량이 도달되는 수심 얕은 곳에 서식하는 개체가 더욱 많은 양의 자외선 흡수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외선차단 화장품의 관능적 특성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Sensory Evaluation of Sunscreen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 정수정;심소연;선보경;문성준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5-250
    • /
    • 2001
  • 화장품 사용 시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느끼는 요인은 효과와 촉감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사용을 위해서 쾌적한 촉감은 필수 조건이다. 그런데, 촉감은 사용하는 사람 자신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화장품의 촉감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에 의한 최종평가는 필수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여러 특성의 강도를 측정하는 분석형 관능평가와 소비자의 선호도를 조사하는 기호형 관능평가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두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리는 훈련된 전문패널에 의해 다양한 자외선차단 크림과 로션들에 대한 분석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차단 제품의 관능속성 평가의 주요인은 잔여감 요인과 발림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에 따라 제품들을 2차원 공간 상에 위치하였다. 이 중 몇 제품을 선택하여 20대 후반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기호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상시 실제 화장단계에서 인지되는 자외선차단제품에 대한 용어들은 촉촉함 및 도포균일성 요인/흡수속도 요인의 두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적인 자외선차단제품의 사용감은 너무 촉촉하지도 매트하지도 않으면서, 흡수속도는 빠르고 화장밀림이나 번들거림이 적은 사용감을 나타내는 특성쪽으로 나타났다.

  • PDF

전력기술인이 만들수 있는 전자보안 시스템⑬

  • 윤갑구
    • 전기기술인
    • /
    • 제233권2호
    • /
    • pp.11-16
    • /
    • 2002
  • 많은 사람들이 썬탠을 즐기며 건강해 보일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태양 광선을 많이 쬐면 건강에 해롭다는 것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태양 광선은 자외선 영역 안에서 어느정도 약간 포함되어 있는 파장을 가진 빛을 많이 포함하며 자외선을 과도하게 흡수하면 화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해야 한다.

  • PDF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구형 입자의 개발 (Development of UV-screening Polysilsesquioxane Spheres)

  • 윤경섭;임미선;김영백;정택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5-71
    • /
    • 2005
  • 자외선 차단제로 널리 사용되는 p-methoxycinnamoyl기를 함유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 전구체를 합성하고 그로부터 자외선을 흡수 차단하는 구 형태의 입자를 제조하였다. 여러 가지 제조 조건을 조절하여 100nm에서 수 ${\mu}m$ 사이의 직경을 가진 구를 제조하였으며, 얻어진 구의 피부 도포와 자외선차단 실험을 수행하였다. 직영이 대략 $0.6{\mu}m$인 구를 $10\%$의 농도로 바셀린에 분산시킨 제재를 손등에 도포하였을 때 백화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10\%$ 농도 바셀린 제재의 자외선차단지수, SPF는 5.7로 양호한 편이었다. 또한 자외선을 흡수 차단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구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자외선차단제에 비하여 농도 증가시 SPF의 상승효과가 커, 자외선차단용 기능성화장품 신소재로의 사용이 기대된다.

분광타원해석기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제의 평가방법 연구 (Study on the Sun Screen Test Method using Elipsometer)

  • 김준우;이종수;이지혜;정석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7-141
    • /
    • 2011
  •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의 흡수 기능을 갖는 유기 계열과 반사 기능을 갖는 무기계로 구분된다. 이들은 SPF지수로 평가되는데 in-vivo 실험은 높은 비용과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 in-vitro 평가가 연구에 많이 이용된다. 하지만 in-vitro 평가로 사용되는 SPF 평가 장치는 재현성이 매우 낮아 값에 대한 신뢰가 매우 어렵다. 또한,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한 분석은 재현성은 높지만 투과/흡수/반사의 구분된 결과를 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elipsometer는 높은 재현성과 투과/흡수/반사의 구분된 결과, 다양한 각도에서의 평가의 장점이 있어 자외선 차단제 평가에 매우 유용하다. 이를 위해 상업용 자외선 차단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elipsometer를 이용한 방법의 타당성을 알아보았다.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TiO_2$ 박막제조 (Preparation of UV blocking $TiO_2$ Thin Films by Inkjet Printing Method)

  • 윤초롱;오효진;이남희;;김선재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05-106
    • /
    • 2007
  • 자외선 차단용 $TiO_2$ 박막을 제조하기 위해 수열합성법 중 외부로부터 $N_2$ 가스를 인가하는 방법으로 200 bar의 압력을 유지하여 브룩카이트상의 $TiO_2$ 졸을 합성하였다. 제조된 $TiO_2$ 졸을 잉크젯 프린터로 FTO glass에 프린팅하여 $TiO_2$ 박막을 제조하였고, 합성된 졸과 박막의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합성된 졸의 크기는 30nm 이하로 비교적 균질하였으며 잉크젯 프린팅 후에도 입자 형상 및 크기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코팅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자외선 영역에서의 흡수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깨비부채 뿌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Root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in Rodgersia podophylla A. Gray)

  • 최상윤;강난주;김호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0
    • /
    • 2006
  • 도깨비 뿌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melan-a 세포주에서의 세포독성 및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고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주된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외선에 대한 흡수도를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도깨비 뿌리 추출물을 $100\;{\mu}g/ml$ 농도로 melan-a 세포에 처리시 뚜렷한 독성 없이 멜라닌 생성을 24.6% 감소시켰으며 melan-a 세포로부터 추출된 tyrosinase 활성억제 효과실험에서 농도 의존적인 활성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도깨비 뿌리추출물은 일광화상의 원인인 UV-B 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은 피부 미백 및 자외선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원료로써의 높은 활용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