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 친화 공공공간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nature-friendly public spaces for children: a focus on nature experience area project in Germany (아동을 위한 자연 친화적 공공공간 확보의 중요성 고찰: 독일의 자연체험공간 사업을 중심으로)

  • Woojin Le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5 no.4
    • /
    • pp.366-378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ecuring nature-friendly public spaces on the healthy growth of children. Additionally, it examined the case of Germany to extract implications for Korea. The natural environment enhances children's play, physical activity, cognitive abilities, and overall happiness. Therefore, it is generally considered a necessary space that must be provided for domestically, especially for children who experience high academic stress and low levels of happiness. However, as evidenced by Germany's "Nature Experience Area Project," creating nature-friendly spaces for children requires legal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Additionally, such projects should be integrated with key national policies. Furthermore, beyo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caregivers must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s Shown in Interior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 Ulsan (울산광역시 공공시설 실내디자인의 환경친화적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정지향;이규백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4
    • /
    • pp.395-404
    • /
    • 2003
  • Contemporary human beings have tendency to orient themselves to a natural environment while they have adapted themselves to artificial surroundings, which implies that a development of interior space where man, nature and space are in a sympathetic harmony with one another through overcoming non-naturalness and non-humanization is seriously needed. There are two methods in that; one concerns an introd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s into the interior space as its natural factor, and the other involves expressing natural objects or beauties with orderly change commonly seen around in form of artificial design. O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Environment-friendliness″ and how it has evolved itself with time are first considered to search out for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in the interior design. And the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s widely observed in the interior space, the two aspects are studied for our purpose; an introduction of natural factors and an expression with artificial design. For the study, public facilities located in Ulsan were proposed since they accommodated lots of people.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that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space should reflect the factors of beauty and comfort enough to live in, relevant studies should be more activated and specialized. When there are a wide understanding of and a profound work upon introducing natural factors as well as ones of sound design into the interior space, a desirabl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could be created.

  • PDF

A Discourse Analysis to Public Library Ecosystem in Korea (국내 공공도서관 생태계의 담론적 분석)

  • Yoon, Hee-Y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1 no.1
    • /
    • pp.5-27
    • /
    • 2017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various improvements and expanding strategies of the public library ecosystem. For this goal, researcher reviewed and analyzed the realistic landscapes and social recognitions about the public library ecosystem as local public goods, and discoursed the basic principles and structural terrain of public library ecosystem based on natural ecosystem. As a result, researcher proposed multifaceted alternatives (ensure library's identity and publicity applying Law of Karma, strengthen librarian's professionalism on the premise of overcoming the Minerva's syndrome, optimize the library service and collection management based on the Pareto principle, reduce reading room and differentiated program through resolution of Halo effect, eliminate usage bias by life cycle based on the Gauss distribution, acceptance of the digital paradigm and use-friendly spatialization that ruminates the Icarus paradox, incorporate small library into public library system through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Gresham's law, and enforce communication and spread social and cultural value through the practice of the Pompeii paradox).

Deduction of Best Design Factor of Riparian Buffer Zone for Reduction of Non-Point Pollutants (비점오염 부하 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최적 인자 도출을 위한 연구)

  • Kim, Sung-Won;Choi, I-Song;Jung, Sang-Jun;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88-1792
    • /
    • 2007
  • 한강 "수변구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이며, 동시에 본류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개선 공간인 수변완충구역, 또는 지대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변완충지대 효과 분석 및 설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구역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그 밖의 하천 연안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차단과 처리능력을 증진시키고 수변 생태계의 서식처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수변완충지대의 수질정화 기술개발과 생물다양성을 창출하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변완충지의 추가적인 조성과 보완, 시험완충지 생태구조 및 기능 기초조사, 시험완충지 오염부하 저감효과의 실험 및 분석, 수변완충지대 설치 구상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수변완충지대 조성 시 설정 폭을 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수행 지역은 한강수계 지역으로 남한강 수변인 경기도 양평군 병산리에서 실시하였으며, 잔디와 갈대, 갯버들, 혼합지역, 자연그대로의 상태(대조지역)의 5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거리별, 깊이별 샘플을 채취하여 유입수에 대한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변완충지대의 설계 시 필요한 유역의 폭, 면적, 길이 등과 같은 설계인자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Interview - "An architect is a professional who implements 'architecture' as a social public good to... Help support for a better work environment" (인터뷰 - "건축사는 사회 공공재 '건축' 구현하는 전문가… 보다 나은 업무환경 지원에 손 보탤 것")

  • 육혜민
    • Korean Architects
    • /
    • s.653
    • /
    • pp.32-36
    • /
    • 2023
  • 지난 3월 권영걸 위원장이 국가건축정책위원장으로 취임하며 국가건축정책위원회(이하 국건위)가 새롭게 거듭났다. 제7기 국건위는 자연친화적인 국토환경, 건강한 생태도시 구현을 목적으로 '공원같은 나라, 정원같은 도시'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스마트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의 쾌적성을 높여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국가와 사회의 과제를 건축공간적 해법으로 풀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국가상징공간 조성, ESG+Art 기반 선진 생태도시 모델 제시, ICT 융·복합 기반 '한국형 건축도시' 개발, 지방소멸에 대응한 도시건축 사업 추진 등 네 가지 중핵과제를 설정, 불철주야 노력하고 있다. 지난 7월 28일 권영걸 위원장을 직접 만나 정책 방향을 물어봤다. 한편 권영걸 위원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8월 3일부터 협회 의무가입제도가 도입된 것을 축하드린다. 이를 계기로 건축계 의견을 하나로 모으고, 건축사들의 직업윤리를 강화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건축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건축사들의 직업적 권위가 보호되고 스스로 국가 디자이너이자 신문명 디자이너라는 시각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제반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며 "협회가 그런 길을 인도할 수 있는 역할을 해주시길 바란다. 국건위도 열심히 돕겠다"고 밝혔다.

  • PDF

Study on Reduction Effect of the Non-Point Pollutants through Riparian Buffer Zones (비점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효율적 조성 연구)

  • Choi, I-Song;Kim, Sung-Won;Jung, Sang-Jun;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93-1797
    • /
    • 2007
  • 한강 "수변구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이며, 동시에 본류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개선 공간인 수변완충구역, 또는 지대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변완충지대 효과 분석 및 설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구역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그 밖의 하천 연안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차단과 처리능력을 증진시키고 수변 생태계의 서식처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수변완충지대의 수질정화 기술개발과 생물다양성을 창출하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변완충지의 추가적인 조성과 보완, 시험완충지 생태구조 및 기능 기초조사, 시험완충지 오염부하 저감효과의 실험 및 분석, 수변완충지대 설치 구상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행 지역은 한강수계 지역으로 남한강 수변인 경기도 양평군 병산리에서 실시하였으며, 잔디와 갈대, 갯버들, 혼합지역, 자연그대로의 상태(대조지역)의 5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깊이별로 샘플을 채취하여 유입수와 표면유출, 하부유출을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5 가지 구역 중 잔디 구역의 SS, T-N, T-P, TOC의 제거 효율이 각각 76.7%, 85.2%, 97.6%, 83.3%로 가장 좋은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깊이 별 분석에서는 표면유출에서 하부유출로 갈수록 월등한 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비점오염원에 대한 한강수계의 수자원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수변완충지대의 조성, 유지관리기술의 개발을 통한 수변완충지대의 계획과 설계에 직접적인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수변구역에 설치 가능한 Riparian Buffer Zone의 중요성과 효율성을 알려 현재 하상 저니 준설 및 폭기 위주의 사업에서 생태 공학적 복원을 적극 고려한 정화사업으로 확대 추진하고자 한다.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변비 개선 효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비의 개선이나 대장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유효성분의 보강 등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더불어 산화물질 해독에 관여하는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