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 지형

Search Result 89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valuating Impact of Disaster Pattern Change on Disaster Risk Sectors (재해환경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위험지구 영향평가)

  • Yoo, Ji-Young;Kim, Tae-Woong;Choi, Hyu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76-380
    • /
    • 2012
  • 자연재해위험지구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지 못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지역과 자연재해의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시설을 포함한 주변지역으로서 자연재해대책법 제12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지구를 말한다.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시장 군수 구청장은 상습침수지역 산사태위험지역 등 지형적인 여건 등으로 인하여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하여는 자연재해위험지구로 지정 고시한다. 2010년에 특별 재고시 되어진 재해위험지구 지정현황을 비롯하여 최근 지정해제 등 변경사항을 고려하여 총 683개(2011년 현재)의 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침수위험지구는 401개(전체의 59%), 붕괴위험지구는 128개(전체의 19%), 유실위험지구는 98개(전체의 14%), 취약방재위험지구는 28개(전체의 4%), 고립위험지구는 18개(전체의 3%), 해일위험지구는 10개(전체의 1%)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특별 재고시된 자연재해위험지구(침수위험지구)의 2011년도 현황을 바탕으로 기 지정된 재해위험지구에 대한 대규모 하천정비 및 기후변화에 따른 침수위험의 변화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는 대규모 하천정비 및 기후변화에 따른 기존의 침수영향변화를 복합적으로 검토하여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수계 자연재해위험지구(침수위험지구)의 복합 영향의 범위를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Conversion Tool for Establishing Inventory Database Exposed to Natural Disaster (자연재난 위험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동변환 툴 개발)

  • Kim, Gilho;Kim,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3-403
    • /
    • 2020
  • 국외에서 잘 알려진 Hazus-MH, RiskScape와 같은 자연재난 리스크 모델은 위험지역 내 노출된 자산과 인구의 공간적 분포 및 그 특성을 설명하는 지형공간자료 형태의 자산정보(인벤토리)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연재난 리스크 모델 운용에 필요한 건물, 인구, 농업, 차량 인벤토리 데이터 구조를 국내에서 가용가능한 자료를 기반으로 설계하고, 이들을 연계, 변환하기 위한 툴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동변환 툴은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QGIS를 기반으로 하였고, 개발 툴을 이용하여 2018년 말 기준의 인벤토리를 전국에 대해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현재 시범운용 중인 행정안전부 풍수해 피해예측시스템을 비롯한 자연재난 리스크 모델링 과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imulation Map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the Gayasan National Park using GIS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 추정)

  • Kim, Bo-Mook;Yang, Keum-Chul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4 no.2
    • /
    • pp.115-121
    • /
    • 2017
  • This study estimate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through the occurrence probability distribution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 Gayasan National Park.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ere analyzed to estimate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presence of the Gaya National Park Vegetation survey results showed that 128 communities were distributed. The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actual vegetation and distribution factors such as elevation, aspect, slope, topographic index, annual mean temperature, warmth index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communities at least 0.3 odds were the advent of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with the highest 55.80%,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s 44.05%, 0.09% is Quercus acutissima communities, Quercus variabilis communities are found to be 0.06%. If you want to limi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by factor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Gaya National Park was expected to appear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43.1%)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56.9%).

Evaluation and Analysis on the Effects of Flood Damage Mitigation according to Installation on Deep Underground Rainwater Tunnel (대규모 터널형 빗물저류배수시설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저감 효과 평가 및 분석)

  • Myung Hoon Lee;Jun Han Bae;Jun Bae Hong;Soo Jin Moon;Ji Hyeok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5-365
    • /
    • 2023
  • 우리나라는 지리, 지형 및 기상특성으로 인해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자연재해 피해를 입고 있으며, 재해예방사업의 일환으로 1998년부터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을 통해 자연재해로부터 침수, 유실, 붕괴위험 등 피해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도시화로 인한 우수침투 가능지역 감소와 유역경사 부족에 따른 충분한 관거 경사확보의 어려움으로 저지대에 노면수가 집중되면서 대규모 침수피해(2010. 09, 2011. 07)가 발생되었으며, 신월·신정지구 및 화곡2지구가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선정(2011. 04), 침수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국내 최초의 대규모 터널형 빗물저류배수시설(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을 준공(2020. 05)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 설치에 따른 상습침수구역의 사업 전·후 침수피해 저감효과 검증을 위해 도시유출모형을 구축하여 서울시 방재성능목표 확보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기존 설계 당시 서울시 방재성능목표(30년 빈도, 95mm/hr)는 확보되었으나 이를 초과하는 강우(2010. 09, 98.5mm/hr)가 발생함에 따라 수행된 추가 분석(100mm/hr) 결과, 유역의 침수 완전해소를 위해서는 빗물저류배수시설과 더불어 국부적인 간선관거 개량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출모형 구축 시 최근 개선된 하수관로, 지형특성, 홍수량산정표준침(2019, 환경부)등에 따른 수리·수문특성을 반영하고, 신일펌프장(간이)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현재 기준에서의 침수피해 저감 효과를 면밀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서울시 방재성능목표 뿐만 아니라 100mm/hr에도 침수가 완전 해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월빗물저류배수터널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 평가 및 분석결과를 통해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해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안전·환경효과, 주민만족도 등 다양한 항목에 대하여 상습침수구역 내 주민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신월빗물저류배수터널에 대한 만족도가 충분히 제고된 만큼 향후 시설의 기능적, 운영적 측면에서의 유지관리가 잘 이루어진다면 침수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구현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Value Promotion for Tourism Geology through Survey on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Public Understanding of Earth Science (오대산 국립공원의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 조사를 통한 관광지질학적 가치 증진: 지구과학의 대중적 이해)

  • Heo Chul-Ho;Kim Seong-Yong;Yun Seong-Tae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3
    • /
    • pp.218-23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ssential information about the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Odaesan landscape, in order to efficiently preserve and develop resources selected from among that are highly valuable scholastically and esthetically. A total of 147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were studied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Landscape type mostly discovered was the tectonic topography, followed by the topographies of weathering, river, mountain, lacustrine, and periglacier, respectively in decreasing order. Among the varieties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4 outcrops were utilized as tourist resources and 5 outcrops were considered as valuable sites for scientific research.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for academic research were considered to have practical uses such as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fieldwork for students and thematic geotourism courses for the public.

Application Technology of Multi-texturing for Effective Representation of Natural Ground on the 4D System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s (토목공사용 4D 시스템의 효율적인 자연지형 표현을 위한 멀티텍스처링 기법 적용기술 개발)

  • Kang Leen-Seok;Kwak Joong-Min;Jee Sang-Bok;Kim Chang-Hak;Lee Y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349-352
    • /
    • 2004
  • 4D system has applied to construction project as a management tool after the late 1990's. Various 4D system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y have some problems that should be improved. Especially, the 4D system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 needs synthesized 3D model between natural ground condition and physical facility type. It is a different problem comparing with the system for building project. 1'his study suggests an automatically synthesizing methodology between ground triangulate network and design triangulate network. Furthermore the study develops an application methodology of multi-texturing technique defined in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VRML) for skipping the 3D model synthesizing process from the 4D model development processes. The suggested methodology is applied to the prototype of real 4D system. The proposed technique for 3D modeling may be used as an essential methodology for developing 4D system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s.

  • PDF

A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ethod in Medium to Small sized Catchment (중소규모 자연하천 유역에서 홍수범람기법의 비교)

  • Moon, Chang-Geon;Park, Jong-Young;Lee, J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76-1481
    • /
    • 2009
  • 최근 기상이변과 국지성 호우로 인한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국가차원과 더불어 지역단위의 홍수방어대책이 많은 사업을 통해 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 하천기본계획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사업들은 실제 피해지역에 대한 원인과 대책을 제시함과 동시에 홍수 등의 피해가 예상되는 위험지역에 대해서도 그 원인과 대책을 제시해야한다. 따라서 피해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을 예측하고 그 원인을 찾는데 있어 최근 홍수범람해석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면서 다양한 해석모형과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고 현재까지도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홍수범람구역을 결정하기 위한 과정은 GIS Tool에 대한 이해도 부족, 원 자료의 부족, 지형 구축을 위한 자료생성의 어려움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홍수범람구역의 결정을 위한 전산프로 그램의 기능향상은 점차 향상되는데 비해 지형구축 등과 같은 범람해석 프로세스 내에서 상당한 수작업이 요구되는 바 작업소요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으로 인해 실무자들에게 널리 적용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무적 관점에서 홍수범람해석의 요구빈도가 높은 중소규모 자연하천을 대상으로 두가지 해석 기법을 통하여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여 해석 과정 및 결과 등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기법으로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는데 있어 실용성, 신속성 등이 고려된다고 판단되는 Civil 3D를 이용하여 수치지형도 및 측량자료와 같은 원 자료로부터 3D 지형을 구축하고 Civil 3D의 Extension 프로그램인 HEC-RAS Tool과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를 전 후처리에 연계함으로서 각 대상유역별, 빈도별 홍수위에 따른 홍수범람구역과 수심 및 범람지역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 기법으로서 실무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ArcGIS를 이용하여 3D 지형을 구축하고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HEC)와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ESRI)의 협력개발로 개발된 HEC-GeoRAS와 HEC-RAS 모형을 전 후처리에 연계하여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두 가지 기법을 통한 홍수범람해석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정량적, 정성적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두 기법간의 차이점 및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실용적이면서도 정밀한 홍수범람구역의 결정, 홍수범람 예상도 등의 재해지도 작성, 치수경제성 분석 등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al-Time Crowds Control using Steering Behavior (조종 행동을 이용한 실시간 대규모 군중 제어 기법)

  • Park, Kyo-Hyeon;Kim, Dong-Moon;Yoon, Tae-Bok;Lee, Ji-Hy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969-974
    • /
    • 2007
  • 동물이나 곤충, 혹은 사람 같은 군중이 등장하는 장면을 영화나 게임 등에서 종종 볼 수 있다. 이러한 대규모의 군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에이전트별 제어 방식이 아닌 군중적인 움직임을 보일 수 있는 특별한 군중 제어가 필요하다. 자연스러운 군중의 제어를 위해선 지능적인 행동을 보여야하며 움직임은 자연스러워야한다. 또한 게임 등의 실시간 환경을 위해선 연산의 속도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종 행동을 이용한 실시간 대규모 군중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 PDF

Utilization of Unused Energy Resources for Protected Agriculture (시설농업을 위한 미이용 에너지 자원의 활용)

  • 홍지형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 no.1
    • /
    • pp.84-92
    • /
    • 1992
  • 최근에 자원, 에너지문제, 환경문제, 도시문제등 인간생존과 번영을 저해하는 문제가 속출하고 있어 이러한 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농업생산에 있어서 에너지 절약 및 대체에너지(자연에너지, 바이오에너지 및 폐기물에너지)의 기술개발은 화석에너지 사용에 따른 지구환경 악화 방지 뿐만 아니라, 자연과 조화된 고품질, 고부가가치의 농축산물 생산활동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사료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