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환경 변수

Search Result 25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Pattern Analysis and Predication of Physical Measurement Errors based on Data Mining for Line Tracers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라인트레이서의 물리적 측정오류 패턴분석과 예측기법)

  • Gim, Deok-Hwan;Lee, Jong-Uk;Lee, Chan-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47-52
    • /
    • 2010
  • 실세계와 연동되는 컴퓨팅환경이 가속화 될수록 물리적 오류에 대한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물리적 오류는 자연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며 오류 예측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연현상에서 발생하는 인자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예측할 수 있도록 데이터마이닝을 적용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현실성 입증을 위해 제안한 시스템을 라인트레이서를 모델로 하여 구현해 보았다.

  • PDF

Turbulent Flow over 2-D Rectangular-Shaped Roughness Elements with Various Spacings(Part 2 : Turbulence, Friction Velocity and Integral Parameters) (사각단면을 갖는 환경 거칠기 요소의 거칠기 간격에 따른 유동 변화(제2보 : 난류, 마찰속도 및 적분변수))

  • Hyun B.S.;Suh E.J.;Moon J.S.;Kim G.W.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9 no.2
    • /
    • pp.85-91
    • /
    • 2006
  • This study deals with the flow over a flat plate with repeated roughness elements of 2-dimensional rectangular shape, which can be applied into the study on the natural geographical roughness and the turbulent flow on roughened solid surface. Part 1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ratio between the spacing and the height of roughness elements plays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the flow pattern near wall surface. The present study complements the turbulence characteristics, the utilization of friction velocity as well as integral parameters. Results confirmed that k-type roughness(s/H=7 or 14) is certainly a more effective means than d-type roughness (s/H=3.5) in thickening the viscous region.

  • PDF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Active Object System(DAOS) (분산 능동 객체 시스템(DAOS)의 구현)

  • 이미은;유은자;양유진;음두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472-474
    • /
    • 1999
  • 기존 객체지향 기술의 객체는 상태(data) 정보와 행위(behavior) 정보를 캡슐화하여 실세계의 객체를 표현하지만, 메시지가 전달되어야만 반응하는 수동 객체(passive object)이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분산 능동 객체 시스템(Distributed Active Object System: DAOS) 방식은 CORBA 기반의 분산 환경에서, 객체의 상태 정보와 행위 정보 뿐 아니라 객체 자신의 제어(control) 부분까지 캡슐화한 능동 객체(active object)를 지원하여 실객체를 더욱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자신의 제어란 자신의 상태뿐 아니라 인터페이스 변수(interface variable)로 연결된 타 객체의 상태까지 모니터링하고 그 상태 변화에 따라 스스로 행위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DAOS 방식은 프로그램의 메인에서 메시지 전달을 통한 각 분산 객체들의 제어를 기술하지 않고, DAOSMain 클래스에서 인터페이스 변수들을 사용하여 객체들을 구성적으로 조립하여 시스템을 구축한다. 즉, DAOS 방식은 객체 조립성을 지원하여 분산 소프트웨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어까지 캡슐화된 능동 객체를 지원하여 분산 소프트웨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어까지 캡슐화된 능동 객체를 지원하여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개선한다.

  • PDF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Geumho River Watershed on Stream Water Quality (금호강 유역의 환경특성이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 Park, Kyung-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4
    • /
    • pp.85-98
    • /
    • 2003
  • There has recently been an increasing interest of the watershed management as a solution to a wide range of problems related water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struct the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to monitor the Geumho River watershed, and to evaluate the impacts of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on stream water quality. A detailed GIS database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t the subwatershed units, including 1:25,000 scale topographical maps, detailed soil maps, land use, 10m-resolution DEMs, roads, streams, vegetation index(NDVI) calculated from Landsat TM imagery, rainfall, and soil loss using RUSLE, is compiled for the study area. The set of variables representing watershed urbanization or industrialization, residential and commercial landuse, industrial landuse, and road area have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water quality variables(BOD, COD, SS, T-N, T-P). On the other hand, watershed indicators related to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est cover and vegetation index(NDVI) in each subwatershed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water quality. Three other variables, agricultural landuse, amount of fertilizer and pesticides, and potential soil loss, were not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watershed environment and stream water quality.

  • PDF

낙동강 하구의 미생물 분포와 활성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통계적 분석

  • 안태영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5 no.1
    • /
    • pp.10-15
    • /
    • 1989
  • 자연수계 생태계는 해양, 하천, 호수, 지하수 등과 같이 그 특성에 따라 많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중에서 하구는 물리, 화학적 성질은 물론 미생물을 포함한 많은 생물이 끊임없이 변천(transition)하는 생태계의 하나의 꼽을 수 있다. 환경의 변화는 수온, 염분, pH, Eh, 투명도, 부유물질 등의 변화를 포함하는데, 하구 감조수역에서 가장 심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영양염류의 양과 종류, 수온, 염분 등이다(Morita et al., 1973: Rublee et al., 1984).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1985년 7월부터 1986년 12월까지 낙동강에 위치한 3개 정점에서 물리, 화학적 환경, 영양염류, BOD, 세균 및 heterotrophic activity의 28개 변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렇게 측정된 결과를 중회귀 및 요인 분석으로 생태계에서 세균의 분포와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rainfall structure in summer using the stochastic rainfall model (추계학적 강우모형을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여름철 강우사상의 구조적 변동분석)

  • Cho, Hyungon;Kim, Gwangseob;Yi, Jaeeung;Choi, Kg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30-530
    • /
    • 2015
  • 최근 세계 곳곳에서는 호우로 인한 피해와 빈도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한반도 또한 이러한 추세 속에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의 인적, 물적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호우의 시공간 변동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지고 있으나 강우량 및 강도 등 정량적인 분석에만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극치강우의 시간적 구조의 변동을 상세분석하기 위하여 추계학적 강우생성 모형인 NSRPM를 이용한 강우의 군집특성과 강우세포의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Fig. 1).

  • PDF

Improvement of precipitation ensemble forecast by blending radar and numerical model based precipitation (레이더 강수량 및 수치예보 자료를 활용한 앙상블 강우예측정보 개선 방안)

  • Urnachimeg, Sumiya;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0-60
    • /
    • 2020
  •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로 인한 자연재해 규모가 점차 대형화, 다양화되고 있어 이로 인한 피해도 증대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시설과 인구밀도가 높은 도심 지역은 집중호우, 태풍, 홍수 등 자연재해에 취약하여 인적·물적 피해 위험성이 매우 높다. 방재 시설확보 및 개선을 통한 더 높은 안정성 및 기상예보를 통한 대응, 대책을 통한 피해 저감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단일 수치모형 기반의 결정론적 기상예측정보는 기상 상태, 선행시간, 모형 매개변수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매우 크며 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앙상블 수치모델 정보와 기상레이더 자료 기반의 단기 예측정보가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앙상블 수치모델의 불확실성, 기상레이더 기반 예측정보의 짧은 예측 선행시간으로 인해 수문학적 모형에 입력자료로 활용은 어려운 실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점 관측자료의 시간적 연속성, 기상레이더 자료의 공간적 연속성, 앙상블 예측정보의 선행시간 정보를 융합하여 기상예측정보에 대한 불확실성 개선 및 선행시간에 따른 정확도를 높일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앙상블 예측자료인 LENS 자료, 레이더 강수량, ASOS 관측자료 기반으로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분석결과는 예측강수량을 활용하는 분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South Korean Inland Windfarms (한국 육상풍력발전사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 연구 - 58개 환경영향평가서 사례에 대한 정량적 분석 -)

  • Jeong, Eunha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1
    • /
    • pp.47-62
    • /
    • 2022
  • Wind power has been rapidly growing over last decade in the world as well as in South Korea as a feasible renewable energy source. Providing sustainable energy to all while secur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requires evidence based policy making and innovative solutions. Through analysis of 58 cases of South Kore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Report,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answers to the following two questions. What are the key characteristics for inland windfarm? Is there a way of measur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o compare each location to reduce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 Variables related to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each windfarm case were collected from EIA report and the factor analysis of environmental variables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weight for each variable to buil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ESI) to provide as evidence-based tools for decision making on the location of inland windfarm. 58 cases were categorized as three types 1) Mountain type 2) Ranch Type and 3) Coastal Type depending on their height and degree of naturalness. For analytical research, first, it was successfully calculate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each windfarm case ranging from 1.04 (#33, Ranch type) to -1.44 (#55, Mountain type). Secon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ranch type is most environmentally sustainable (Average ESI = 0.4551), followed by coastal type (Ave ESI = 0.3712) and lastly mountain type (Average ESI = -0.3457).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on inland windfarms and provides substantive policy implication on the renewable energy policies.

Prediction and Applicability of Snow Damage Using Random Forest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한 대설피해액 예측 및 적용성 검토)

  • Lee, Hyeong Joo;Chung, Gun 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99-399
    • /
    • 2019
  • 최근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국지적인 대설과 한파의 발생이력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2018년 1월 8일 미국에 100년만의 한파로 인해 체감온도가 영하 69도까지 떨어지고, 우리나라에서도 같은 해 2월 8일 제주도 폭설과 한파로 인해 교통이 마비되는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대표적인 겨울철 자연재해인 대설 피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대설 피해예측 및 저감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시 군 구 별 과거 피해이력이 적고, 피해가 발생한 지역과 관측소 사이의 거리가 멀어 정확한 피해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설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데이터를 수집한 뒤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하여 대설피해액을 범주형으로 구분하고, 어느 범주에 포함되는지 예측 및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현재 과거 피해자료의 부족, 과거 피해 발생 환경과 현재 피해 발생 환경의 차이, 대설로 인해 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비닐하우스 설계 기준의 변화 등으로 인해 예측 정확도가 높지 않았다. 따라서 대설피해 발생지역의 정확한 기상자료가 확보되고, 변수로 사용한 데이터의 최신화가 진행된다면 본 연구결과의 정확도 향상과 대략적인 대설피해규모 예측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Water cycle evaluation of Bioretention based on hydrologic model (수문모형을 기반으로 한 식생저류지 물순환 평가)

  • Kim, Jae Moon;Baek, Jong Seok;Jang, Young Su;Shin, Hyu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90-290
    • /
    • 2021
  • 급격한 도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물순환체계가 왜곡됨에 따라 자연수재해 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대응방안으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이 대두되고 있다. LID 요소 기술 중 하나인 식생저류지는 도시 유역내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저류 및 침투하여 우수유출수와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오염저감 효과를 지니고 있는 LID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저류지의 우수유출수의 정량적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문해석 프로그램인 K-LIDM(Korea Low Impact Development Model)을 이용하여 유역 내 식생저류지 배열과 저류용량에 따른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강우시나리오는 부산지점의 10년, 30년 발생빈도에 대하여 60분, 120분, 180분 확률강우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모델링 분석결과 식생저류지 배치에 따라 5 ~ 15 % 이상의 유출저감효과가 산정되었으며, 식생저류지 저류용량에 따라 20 % 이상의 유출저감 효과가 산정되었다. 첨두유출 도달시간은 1.13 ~ 1.86배를 지연하는 결과가 산정되었다. 결과를 통해 식생저류지의 배열과 저류용량에 따라 유출량 저감효과와 첨두유출 도달시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 다른 매개변수인 식생저류지의 저류깊이, 지반의 침투능 및 유출부의 직경 등 여러 매개변수들을 고려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식생저류지의 정량적 물순환 평가가 수행될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