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변동성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pati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Responses along Transect Line on a Forest Hillslope in the Cheong-Mi Catchment (청미천 유역 내 산림사면에서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특성의 공간적 및 계절적 변동)

  • Gwak, Yong Seok;Kim, Sang Hyun;Lee, Jung Hun;Lee, Yeun Gil;Jung, Sung Won;Kim, Su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73-473
    • /
    • 2015
  • 토양수분은 수문학적 과정의 시공간적 변동과 수자원 관리 및 계획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원인규명에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의 분포 및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청미천 유역내의 사면에서 10개월 동안의 토양수분들을 측정하여, 토양깊이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토양수분특성은 간단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토양수분의 감쇄기울기 값으로 표현하였다. 추가적 연구로, 측정지점의 위치, 지형, 토성의 토양수분에 대한 반응분석을 하였다. 깊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는 지표층에서의 공간적 분포 경향과는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사면의 지형 및 위치 그리고 토성의 공간적 분포는 토양수분의 시 공간적 분포특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부흐름의 기여를 받는 측정지점에서는 토양수분 변동의 안정화가 진행이 되는 것으로 보이며, 수문학적 경계(Hydrologic Threshold)에 대한 추가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부사면에서의 높은 토양수분 변동성 및 뷸 균질적인 공간적 분포는 우선적 흐름발달의 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Bar Morphological Changes for Navigation Route Design with Environmental Affinity in the Han River Estuary (한강하구 뱃길 개발을 위한 하구역 퇴적상 변동 조사)

  • Yang, Chan-Su;Park, Jin-Kyu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11a
    • /
    • pp.205-208
    • /
    • 2006
  • Based on SAR signatures for bars, bar transformation is investigated from 2000 to 2005, and monitoring of suspended-silt transportations from terrestrial runoff is tried to understand the morphology during the events of severe rain storm. SAR data did not reveal clearly the bar locations because of most of data acquisitions during high tides form 6.8 m to 9.0 m. Even though the problem, it could be said that in the estuary vegetated area and natural levees are developed well, but bars are shifted after an event like a flood. It is also showed that suspended solids such as silt transported through the estuary could contributed highly to a sedimentation environment around Incheon. A navigational route could be designed with a minimum width of about 200m.

  • PDF

Interannual Changes of Bar Morphology in the Han River Estuary Using Satellite Imagery (인공위성에 의한 한강 하구역 퇴적상 경년 변동 특성 조사)

  • Yang, Chan-Su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11a
    • /
    • pp.57-60
    • /
    • 2007
  • The Han River i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Korea by NLL(Northern Limit Line) and its area has been blocked by CCL(Civil Control Line) since the Korean War in 1950. Satellite remote sensing, therefore, is uniquely suited to monitoring bar transformation in the region. In river with bar, the characteristics of its physical condition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bar morphology. In this paper, a monitoring approach of bar transformation in the Han River Estuary is presented using RADARSAT/SAR images from 2000 to 2005 and spatial patterns of bar morphology are presented. It could be said that in the estuary vegetated area and natural levees are developed well, but bars are shifted after an event like a flood. It is also showed that suspended solids such as silt transported through the estuary could contribute highly to a sedimentation environment around Incheon.

  • PDF

Flow duration change in downstream of reservoir by selective deficit supply method (선택적 부족분 공급방식에 따른 댐 하류하천의 유황 변화 분석)

  • Choi, Youngje;Park, Moonhy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2
    • /
    • pp.1021-1030
    • /
    • 2022
  • Currently, South Korea implements water resources management policies focusing on integrated water quantity, quality and hydro-ecology management. In particular, rehabilitation of natural rivers has become a major issue. As for reservoir operation during non-flood season, efforts have been made continuously to apply the Deficit Supply Method that can maximize water supply to address droughts and increase in water demand. When Deficit Supply Method is applied,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reservoir can be maximized. However, downstream water flow would remain constant. In consideration that a natural stream, a long-time-created hydro-ecology, can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low variability, the Deficit Supply Method-based reservoir operation can generate effective water supply. Still, it may trigger adverse effects from the aspects of natural rehabilitation and hydro-ecology recover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s on downstream flow duration through reservoir simulation by comparing the Firm Supply Method, the Deficit Supply Method and the Selective Deficit Supply Method, and examining each method's effects on reservoir opera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Firm Supply Method could maintain water flow variability, but could not maximize water supply capacity. When the Deficit Supply Method was applied, water supply capacity could be increased while remaining vulnerable regarding water flow variability, as a difference between average flow and low flow was negligible at downstream. In comparison, the Selective Deficit Supply Method was found to sustain time-based reliability at 95% or higher, whereas downstream flow duration could be maintained at a level similar to the level generated by the Firm Supply Method.

Stability Evaluation of Flood Stage with Vegetation River Restoration (하천의 식생복원에 따른 홍수위 안정성 검토)

  • Kim, Byeong-Chan;Song, Joong-Geun;Kim, Min-Jeong;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48-2052
    • /
    • 2009
  • 최근 우리나라는 선진 외국과 같이 하천자연환경 보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은 단순한 치수 및 이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 그대로의 환경적 잠재기능을 복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하천복원은 하도내 식생, 여울과 소, 기타 국부적인 자연 서식처를 제공하기 때문에 하천단면 축소, 하천식생에 의한 흐름과 조도 변화 및 하상의 변동으로 인하여 홍수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역기능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유량자료가 부족한 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생태공학적 접근을 고려한 식생 설치를 상정하여 하천의 식생복원에 따른 홍수위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HEC-RAS를 이용하여 수리학적 요소들을 산출하고, 도출된 값들을 연직 2차원 수리해석에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구간의 식생 전 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식생전 후의 수위차는 $0.00^{\sim}1.25m$로 계산되어 식생으로 인해 최고 1.25m의 수위 상승 효과가 발생하였다. 가용할 자료가 부족한 하천의 식생복원에 따른 수리안정성 검토시 위 두 방법을 연계 이용한다면 하천복원 전후의 수리특성 변화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mate indices and Korea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using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 I. Data de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이용한 기상인자와 우리나라 강수 및 기온의 상관관계 분석 : I. 자료의 분해 및 특성 분석)

  • Ahn, Si-Kweon;Choi, Wonyoung;Kim, Taereem;Heo, Ju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3
    • /
    • pp.197-205
    • /
    • 2016
  • Recently, natural hazards have occurred frequently due to climate change. The research need for predicting variability and tendency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has been increa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within a confidence range since they change due to complex factors with choppy and too many components. If their characteristics having more than one component are decomposed, then it can be useful for determining the variation of such characteristics more accurately. In this study, Korea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were decomposed and their Intrinsic Mode Function (IMF) were extracted from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EMD).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iodicity and tendency.

Analysis of spatial variation for evapotranspiration using ECOSTRESS satellite imagery (ECOSTRESS 위성영상을 이용한 증발산량 공간변동성 분석)

  • Jeon, Min-Gi;Nam, Won-Ho;Ok, Jung-Heun;Hwang, Seon-Ah;Hur,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38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수문·기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각성이 야기되고 있으며, 가뭄, 집중호우, 태풍 등과 같은 자연재해의 발생빈도와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봄철 가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발생지역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증발산량(evapotranspiration)은 기상학과 수문학에 주요한 농업기상 매개 변수로 다루어지며, 작물의 생육·성장에 필요한 물 수요 및 관개용수 산정에 필요한 인자로 가뭄 분석에 활용하는 중요 인자들 중 하나다. 증발산량 자료 구축에는 증발산계 (Lysimeter)를 이용하여 현장 데이터를 실측하는 방법과 구조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증발산량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증발산계가 설치된 지역이 많지 않고 분포도 조밀하지 않으며, 기상, 식생, 토지 피복 등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 증발산량의 특성상 실측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에 물수지 기법, 기상 변수 기반 추정 등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연구가 일반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항공우주국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제트 추진 연구소 (Jet Propulsion Laboratory, JPL)의 The ECOsystem Spaceborne Thermal Radiometer Experiment on Space Station (ECOSTRESS)에서 제공하는 위성영상 중 증발산량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구축한 ECOSTRESS 증발산량 적합성 확인을 위해, 청미천·설마천에서 제공하는 증발산량과 비교 및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시공간적 변동성 분석을 위해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증발산량의 시공간 변동성 결과를 통해 지역별 가뭄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imate of Recent Typhoon Maemi· Kompasu·Tembin (최근 태풍 매미·곰파스·템빈의 평가)

  • Oh, Jong Seop;Ryu, Ji Hyeob;Lim, Ik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8 no.1
    • /
    • pp.29-37
    • /
    • 2015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estimation of fluctuation wind velocity spectrum and turbulence characteristics in the major cities reflecting the recent meteorological with typhoon wind velocity about 2003 (Maemi) 2010 (Kompasu) 2012 (Temb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spectral analysis for longitudinal component fluctuating velocity. In the processes of analysis, the longitudinal velocity spectrums are compared widely used spectrum models with horizontal wind velocity observations data obtained at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KMA) and properties of the atmospheric air for typhoon fluctuating wind data are estimated to parameters with turbulency intensity, shear velocity and roughness length.

Analysis of Bed Change Caused by Hydraulic Structure Using 2-D model (수공구조물에 따른 2차원 모형을 이용한 하상변동 분석)

  • Son, Ah-Long;Son, In-Ho;Han, Kun-Yeun;Kwon, Taek-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35-535
    • /
    • 2012
  • 하천 환경의 변화는 자연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경우 대부분 하천 정비, 골재 채취, 수중보와 하구둑 등 하천시설물의 건설, 그리고 댐 및 교량건설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한 변화가 지배적이다 이렇게 환경이 변화하면 하천의 평형 상태는 파괴되며 하천의 평형 상태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하천의 침식 또는 퇴적이 일어나며 이러한 과정의 총체적인 결과로서 하상변동이 일어나게 된다. 하상변동은 단기적인 면에서는 하천에서의 취수, 배수, 주운동 하천관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장기적인 면에서는 하천시설물의 안정, 홍수위 및 지하수위 변화, 홍수터와 같은 하천부지의 변화 등 하천 및 유역 관리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고 있다 하천의 유황 및 하상재료의 인위적인 변화에 의한 장기적인 하상변동 효과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것은 하천계획 및 관리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하천 정비사업 등에 의한 영향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단기간의 홍수 또는 호우 사상에 대한 단기적인 하상변동 효과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외국에서는 하상변동 예측의 필요성을 일찍이 인식하여 다수의 하상변동 예측모형이 개발되어 하천 실무에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하천 흐름의 등수 역학적 해석을 위해 여러 가지 수치 기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발전되어져 왔다. 현재 국내에서는 측량 자료이용과 모형적용의 용이성을 이유로 1차원 점변 부정류 해석프로그램인 HEC-RAS 모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하천 정비 기본계획 수립에 있어서도 1차원 해석 모형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 서 수행된 하상변동 예측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1차원 모형이므로 하천의 사행의 진행이나 유사의 횡방향 분포 등은 고려할 수 없다. 또한 하상변동 계산 시 이동상 부분의 전체가 균일하게 상승 또는 하향하는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흐름이 급변하는 데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대강살리기 사업이 진행중인 낙동강유역 구미보지점을 대상으로 2차원 흐름 및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 모형을 적용하여 50년, 100년, 200년 빈도별로 모의를 실시, 보설치 전 후의 하상변동을 비교 분석 하였다. 모의 결과 보설치 후의 경우 보 상류단은 전반적으로 퇴적의 양상을 보였으며, 보 하류단의 만곡부의 경우 홍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속 및 소류력이 비슷한 패턴으로 증가하여 침식이 관찰되었다. 특히 보 직하류의 경우 수문을 기준으로 다량의 침식이 있음을 보였으며, 침식이 계속 진행된다면 보유실과 같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침식을 방지 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of River-bed Change Using River Channel Characteristics and A Numerical Model (하도특성량과 수치모형에 의한 하상변동 예측)

  • Yoon, Yeo Seung;Ahn, Kyeo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9 no.3
    • /
    • pp.51-61
    • /
    • 2007
  • In natural river, river-bed change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various factors such as river improvement, change of watershed land use, construction of dam and reservoir, gravel mining, and so on. The knowledge about river-bed change in the river is essential in the river modification, wetlands plan, and maintaining stable alluvial rivers. In this study, river-bed change in the future was predicted by investigating river channel characteristics which play dominant role in the formation of channel and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through river survey and the grain size analysis. The Proposed investigation and model was applied to the Geum river and the Miho stream which have been experienced river degradation due to river aggregate dredging and now seams to be stable. The result of potential river-bed change which was estimated by investigating channel characteristic including slope of channel, friction velocity, and so on is similar to that which was estimated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It was found that the Geum river and the Miho stream will be stable. In the future, if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iver channel which is estimated by the river-bed scour, sediment, and so on, it is possible that river improvement and wetland restoration plan are established stably and natur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