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아중심 주제인용분석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Ego-centered Topic Citation Analysis on Folksonomy Research Documents (폭소노미 연구 문헌에 대한 자아 중심 주제 인용 분석)

  • Lee, Jae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9 no.4
    • /
    • pp.295-312
    • /
    • 2012
  •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the ego-centered topic citation analysis, which is a new application of White's ego-centered citation analysis, for analyzing multilayered knowledge structure of a subject domain. An experimental topic cit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folksonomy research documents retrieved from Web of Science. Ego-centered topic citation analyses on folksonomy research domain were conducted in three stages: ego-documents set analysis, topic citation identity analysis, and topic citation imag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go-centered topic citation analysis suggested in this study was successfully performed to illustrate the inner and the outer knowledge structures of folksonomy research domain.

Analyzing folksonomy research documents with ego centered citation analysis (자아 중심 인용 분석을 응용한 폭소노미 연구 문헌 분석)

  • Lee, Jae 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2.08a
    • /
    • pp.153-156
    • /
    • 2012
  • White가 제안한 자아 중심 인용 분석은 연구자를 대상으로 다면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자아 중심 인용 분석을 연구자 단위가 아닌 연구 주제에 대한 분석으로 응용하는 자아 중심 주제 인용 분석 기법을 제안하고, 시험적으로 폭소노미 주제의 연구문헌 집단에 응용하여 관련 연구의 핵심 문헌들과 주요 적용 이론을 반영하는 인용 정체성과 인용 이미지를 파악해보았다.

  • PDF

A bibliometric analysis on deep learning research trends (딥러닝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

  • Lee, Jae 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1-14
    • /
    • 2017
  • 딥러닝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을 자아 중심 주제 인용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서 Web of Science에서 'deep learning'으로 검색된 인용빈도 상위 15건의 논문을 핵심 논문으로 삼고, 이들 핵심 논문 15편을 인용한 논문 집합을 자아 문헌집합으로 삼았으며, 자아 문헌집합들이 인용한 주요 문헌들을 인용 정체성 문헌집합으로 설정하였다. 인용 정체성 문헌집합에 대해 동시인용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문헌, 주요 연구 주제를 파악하고, 영향을 끼친 주요 선행 연구를 파악해보았다.

  • PDF

Deep Learning Research Trends Analysis with Ego Centered Topic Citation Analysis (자아 중심 주제 인용분석을 활용한 딥러닝 연구동향 분석)

  • Lee, Jae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4 no.4
    • /
    • pp.7-32
    • /
    • 2017
  • Recently, deep learning has been rapidly spreading as an innovative machine learning technique in various domains. This study explored the research trends of deep learning via modified ego centered topic citation analysis. To do that, a few seed docume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retrieved documents with the keyword 'deep learning' from Web of Science, and the related documents were obtained through citation relations. Those papers citing seed documents were set as ego documents reflecting current research in the field of deep learning. Preliminary studies cited frequently in the ego documents were set as the citation identity documents that represents the specific themes in the field of deep learning. For ego documents which are the result of current research activities, som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including co-authorship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major countries and research institutes. For the citation identity documents, co-cit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key literatures and key research themes were identified by investigating the citation image keywords, which are major keywords those citing the citation identity document clusters. Finally, we proposed and measured the citation growth index which reflects the growth trend of the citation influence on a specific topic, and showed the changes in the leading research themes in the field of deep learning.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Bibliographic Therapy by Ego-centered Topic Citation Analysis (자아 중심 주제 인용 분석에 의한 독서치료 주제 분야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 Chang, Yun-M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3.08a
    • /
    • pp.37-4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독서치료 주제 연구 문헌을 배출한 학문분야와 주요 연구 내용, 여기에 영향을 미친 문헌의 주제 분야를 도출하고 독서치료 주제 연구 문헌을 바라보는 타 문헌들의 시각을 통해 독서치료 주제 연구 문헌의 성격을 다각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학술지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아 중심 주제 인용 분석을 실행한 결과 독서치료 연구는 문헌 정보학계의 관련 연구를 토대로 하여 임상적 독서치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헌정보학 외에 교육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고 유아 정서지능과 영화치료를 주제로 하는 문헌들에 응용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