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수문양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 전통 버선본집 자수문양 콘텐츠 분석 (Content analysis of embroidery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Beoseonbongips)

  • 홍희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4호
    • /
    • pp.705-725
    • /
    • 2015
  • A Beoseonbongip is a pouch that holds patterns for making Beoseon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esthetic and symbolic contents of the embroidery patterns by analyzing the kind, combination types, expression and arrangement types of patterns. In total, 140 Beoseonbongip artifacts, which were mostly made in the Joseon Dynasty,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bout 83% of the total had flower patterns. Various kinds of embroidery patterns used for Beoseonbongips were newly identified. About 73% of the total had different kinds of patterns. Pattern combination types were identified by the kinds of patterns, the number of paired patterns, and the traditional painting styles used. The patterns of Beoseonbongips were expressed schematically more than realistically or abstractly. Beoseonbongips with different patterns on the four triangle tips of the front face and Beoseonbongips with the same/similar patterns on two opposite tips of the front face were observed more than the other types. On the back face, the embroidery patterns were symmetrically arranged, showing various division structures. It was inferred that wishes (e.g., marital harmony, fertility, good health and longevity, happiness, and wealth and fame) were expressed through the symbolic patterns embroidered on the Beoseonbongips. In terms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the union with nature, the harmony of yin and yang, symmetric balance, and neatness were also emphasized as a esthetic characteristics of Beoseonbongips.

컴퓨터 자수기를 활용한 일렉트로닉스 커스터마이즈 스마트 가방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bric Electronics' Customized Smart Bag Using Computer Embroidery)

  • 이은규;김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05-112
    • /
    • 2020
  • 본 연구는 2029세대의 페스티벌 사용자를 위한 패브릭 일렉트로닉스 기반의 스마트 가방 개발 연구로 한국전통 문양과 도깨비 문양을 전자회로로 응용한 테크 플랩(음악 미디어 제어 기능/ LED 반응 기능)을 커스터마이즈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사용자의 기호와 상황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기능적·디자인적 전략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 자수기를 활용한 탈부착 모듈형의 커스터마이즈 스마트 가방 플랫폼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에 출시한 하드한 형태의 PCB 스마트 제품과의 차별성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중국흉배와 한국 흉배의 비교 고찰 (A Study of Korean Rank Badge in comparison with Chinese Rank Badge)

  • 정혜란
    • 고문화
    • /
    • 57호
    • /
    • pp.211-231
    • /
    • 2001
  • 이 연구는 중국흉배와 우리나라 흉배의 기원과 발전을 문무관 계급흉배를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여 보았다. 흉배는 계급을 표시하기 위한 표장으로 중국 명대 홍무제때 제정되었다. 흉배모양의 기원은 원대 귀족들이 달고 다니던 의복의 장식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흉배는 각 계급의 상징을 등급별로 정하였고 문관은 새, 무관은 주수(走獸)를 주 문양을 하였다. 우리나라 흉배는 명에서 받기 시작하여 세종대에 이미 많은 물량이 들어왔고, 단종대에 이르러 흉배제도를 채택하게 되었다. 조선 중기까지의 흉배는 중국흉배를 그대로 쓰기도 하고 그 구성과 문양에 있어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 흉배의 시대구분에 있어 우선 기준이 되는 것은 크기로 흉배의 크기는 시대가 갈수록 작아진다. 주문양의 형태, 종속문양의 모양은 시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영조이후 우리나라 흉배는 우리 고유의 흉배 체계를 세우고 중국과 다른 기법과 문양으로 우리만의 독자성을 지니고 발전하여 자수 중에서도 고유하면서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닌 예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 PDF

안경디자인에 있어서 전통문양의 문화적 의미 연구 (Cultural Value of Traditional Pattern in the Eyewear Design)

  • 김대년;장준영;이경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3-17
    • /
    • 2008
  • 목적: 안경의 기능이 점차 문화적, 심리적, 사회학적 측면으로 확대 되는 점에 주목하고, 그러한 요구에 맞는 디자인을 위해 전통문양을 접목하는 방법 연구. 방법: 전통문양의 상징성을 이해하고, 그 중에서 세계적인 보편성을 지닌 팔메트 문양 넝쿨장식문양 등의 문양연구와 전통재료기법의 하나인 자수기법, 조각보 기법 등을 안경의 템플과 안경 클리너 등에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응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과: 세계화는 문화의 교차적 소비현상을 빠르게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세계적인 보편성위에 그 민족의 미적 특질이 잘 드러난 전통문양을 활용한 안경디자인은 오히려 세계 시장의 이러한 속성에 적응하여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자원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문양 및 전통기법을 활용하여 현대화함으로써 안경 디자인의 문화적 가치를 발견하고, 현대 소비자의 문화적 욕구와 접목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안하였다. 결론: 안경은 소비자의 사회적 지위를 표상하고, 현재의 심리적 언어로써 하나의 스타일을 표현해내는 도구가 되었다. 그러므로 전통문양을 활용한 안경디자인은 소비자의 문화적 소비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계기를 마련해주며, 기존의 안경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서구 문화중심의 디자인 개념을 동양적인 미감으로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

  • PDF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초충도수병>의 직물과 자수 연구 (Study on Fabric and Embroidery of Possessed by Dong-A University Museum)

  • 심연옥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230-250
    • /
    • 2013
  • 동아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초충도수병(草蟲圖繡屛)>(이하 <수병>)은 보물 제59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초충도 회화작품보다 더 정교하고 섬세한 사실적 표현과 다채한 입체적 구성으로 미술사 분야에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수병>이 자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섬유공예적 측면에서의 분석과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수병>의 바탕직물, 자수색사, 자수기법 등을 과학적 기기를 사용하여 조사 분석함으로써 <수병>의 문양소재와 섬유공예적 특징 및 <수병>이 섬유공예사에서 갖는 가치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수병>은 8폭 병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재와 구도는 일반적인 초충도 회화작품과 유사하다. 각 폭의 주제문양은 제1폭에서부터 순서대로 오이, 맨드라미, 원추리, 여주, 패랭이, 수박, 가지, 들국화로 이루어져 있다. <수병>의 문양 중 여주는 현전하는 초충도 회화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소재이다. 제8폭은 곤충, 파충류 등의 문양이 없이 들국화만 단독으로 시문하여 초충도의 전형적인 형식과 차별이 있다. <수병>의 직물은 지금까지 장식용 자수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검은색을 사용하여 다채한 색사를 강조하여 극대로 표현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바탕직물은 5매 공단[무문단(無紋緞)]을 사용하였다. 자수사는 극히 미약하게 꼬임을 준 반푼사를 사용하였으며 꼬임의 방향은 우연이다. 한 가지 색의 단사를 사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두 가지 색을 병사로 사용하거나 합연사한 혼합색을 사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색상은 열화되고 퇴색이 심하여 원래의 색은 알 수 없지만 가장 많이 사용된 색은 황색계열에서 녹색계열의 색이며 청색, 갈색, 자색 등이 비교적 잘 남아있다. 원추리, 패랭이, 딸기 등의 색은 현재 적황색으로 남아 있는데 초충도와 비교해 볼 때 원래는 주황색 또는 홍색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자수의 기법은 대부분 표면평수를 사용하여 면을 채우고 있다. 이를 통해 색사의 낭비를 줄이고자 했던 옛 여인들의 알뜰한 지혜가 엿보인다. 평수는 면을 장식하는 비교적 간단한 자수법이지만 색사를 다양화하고 면을 분할하여, 수직, 수평, 사선평수를 배합하고 때로는 자릿수와 같이 서로 맞물리게 자수하여 다양한 질감과 양감을 표현하였다. 곤충의 몸통은 가장자리수와 이음수, 평수를 혼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특히 가장자리수의 활용이 주목된다. 그 외 이음수로 잎맥 등을 입체감 있게 나타내고, 제7폭의 쇠뜨기는 표면솔잎수를 층층이 자수하여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패랭이, 딸기, 오이 등에는 평수 위에 장식수를 더하여 세세한 묘사를 더했다. <수병>은 회화사, 문화사적으로도 가치가 크지만 한국 자수공예사에 있어서도 우수한 한국적 자수기법과 색채를 사용하여 신사임당 초충도의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점에서 큰 중요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자수 기법을 응용한 컴퓨터 텍스타일 문양 디자인 연구 - 조선시대 십장생 자수 문양을 중심으로 - (A study of Computer Textile Pattern design Development with Korean Embroidery Techniques - Using The Ten Longevity Symbols Embroidery of Chosun Period -)

  • 박서린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9-47
    • /
    • 2008
  • Korean embroidery is the long historical industrial arts of real life and has handed down Korean sentiment up to now. Korean traditional embroidered pattern is designed to wish someone's health and luck, who uses the embroidery on the clothes and the goods in real life. Especially, the ten longevity symbols' design is represented as 10 which means perfection in oriental philosophy, the sun, mountain, cloud, water, crane, rock, turtle, pine tree, the elixir of life and deer; these 10 symbols show how ancient Korean believe and wish perpetual youth. However, fiber material used embroidery relic has difficulty in preserving for long period compared to other relic descended from historical events for long time and their preserved state isn't so good owing to have been used directly in the real life. Therefore, it is essentially embossed to preserve the embroidery relic and pattern, and make DB for the data. With preservation of the pictures about the handicraft, it's necessary to preserve embroidery technique and make DB through digital imagination. Through the process, we can apply Korean embroidery image to cul-duct package and digital image related field, and it will be helpful to make the tradition popular. In this study, through the research for the embroidery technique applied pattern on the embroidery relic of ten longevity symbols, we'll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fication of Korean embroidery image and then develop a worldwide Korean image.

  • PDF

익산 미륵사지 출토 백제 초화문 자수 문양을 활용한 금박 개발 (The Development of Gold Foil Using Floral Patterns of Embroidery of Baekje Excavated at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 최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177-1192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scope of use for relics by applying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embroidered fabric pieces, such as gold foil, excavated from the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for fashion products. The artifact was a ra decorated with flower and vine patterns, embroidery using gold and red thread, and the unique stitching of Baekje. The pattern was reconstructed, as the embroidery was not well-preserved. This study used two types of gold-foil techniques: laser-cut and stone-stamp gold foil. Considering practicality, the gloss, toughness, custom production possibility, and design implementation were emphasized. The form of the laser-cut gold foil could be transformed; however, a recognition problem with the machine increased the thickness of the stitching. It was used for half-finished goods and commercial casual fashion. The stone-stamp gold foil was finely implemented, but the design was difficult to change. It was used for half-finished silk fabric for making hanbok po and lattice-patterned silk skirts. Applying the developed gold foil to suitable clothing can further enhance the effect.

한국 보자기의 장식성 연구 (Korean Wrapping Cloths as a Decorative Art)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883-1896
    • /
    • 2009
  • 이 논문은 조선후기 보자기에 적용된 다양한 장식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보자기는 물건을 싸거나 음식을 덮는 등 일차적으로는 실생활에 활용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으로 제작되었지만, 보자기 제작은 전래된 상징적 문양의 표현을 통한 현세적 기원의 행위이기도 했으며, 또한 조선의 엄격한 유교 윤리 하에서 여성의 창작 욕구가 자유롭게 발현된 생활 속 여흥의 일부이기도 했다. 한국의 보자기에는 조각 잇기, 자수, 회염, 인염, 오려내기 세공 등 다양한 장식 기법이 활용되었다. 조각 잇기 기법이 활용된 조각보에서는 조선 여인들의 절약습관이 돋보이는데 이는 특히 자원의 재활용을 중시하는 오늘날의 가치와도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다. 자수가 놓인 수보에서는 상징적 문양의 표현을 통한 여인들의 소박한 바램이 읽혀진다. 한국 보자기는 회염이나 인염으로 장식되기도 했는데, 이들은 한국 복식 유물에서는 보기 어려운 장식 기법들이다. 농담을 조절한 다양한 색채의 당채 기법이나 단일색의 먹물 채색, 여러 종류의 도안이 새겨진 목판을 이용한 인염 기법 등이 이용되었다. 음식물이 묻지 않게 하기 위해 때로는 기름 종이로 보자기를 만들기도 했는데, 이러한 식지보에는 오려내기 세공이 장식 기법으로 활용되었다. 오려내기 기법의 원리는 스텐실 염색과 비슷하여 이를 또한 섬유제품 디자인에 활용할 수도 있다.

전통금박 및 금실자수문양을 이용한 패턴디자인 및 금박 이미지의 자카드 직물 개발에 관한 연구 (1) (A Research for Developing Pattern Design Applied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Jacquard Fabrics of Gold Foil Image(1))

  • 이연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9-179
    • /
    • 2009
  • In order to preserve the Korean traditional gold foil, to develop as Korean traditional textile art by utilizing in modem fashion for textile industry, and to examine utility of the material which can be used in the modem wearing, interior goods and fashion terms, Textiles Applied Korean Traditional Gold Foil were develop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portant factors of the gold foil image should be extracted as materials quality, color and pattern, and modem and practical qualities should be proceeded when developing the image of the gold foil into modem quality material. Second, since gloss of fabric developed by a traditional method is somewhat strong, uniformity being a little bit low for hand-made manufacturing, and practical quality is low for high cost, deletion of the gold foil, etc. So it hasn't been appropriate for studying modem fashion material. Third, Jacquard weave has been examined a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in order to present the gold foil image among a number of textile manufacturing techniques Fourth, considering factors deciding the image of the gold foil and a sense of beauty of modem society, gloss of the foil has been lessened by expressing pattern to lower traditional quality and primary color. Fifth, pattern motives of developed materials have been extracted tram traditional gold foil patterns, and materials have been chosen considering of concepts and motives, and dragon pattern, crane pattern and bat pattern, Sixth, wearing, pin-up works, bed linen, fabrics for chairs, ties, bags, shoes, umbrellas, etc. are produced with the developed materials, and practical use and modern quality have been examined. The result is very satisfactory.

  • PDF